You are on page 1of 54

1 장 1 절 행정의 이해

교재 소개 및 내용

• 행정학입문
• 대영문화사 , 2019
• 박영수 , 김영옥 , 배향자 ,
이종수
목차

1 절 행정의 의의
• 행정의 개념
• 행정의 과정
• 정부의 기능
“ 행정학”을 공부하는 이유 ?
마땅히 해야만 하는 일
① 광운대 총장명의 학위 취득

② ‘ 행정’을 보는 눈 : 시민의 권리 , 의무
좋은 정부 , 좋은 나라
- 어떤 일을 하거나 누릴 수 있는 힘이나 자격
- 재산권 , 신분권 ( 친권 , 상속권 등 ), 정치권
③ 문제해결능력 등

④ 직업교육

⑤ 교양학점 취득
“ 행정”
생각‧느낌 ??
경험 ??
행정 관련 동영상

• 미복귀전공의 ‘행정 · 사법처리’…


무더기 면허 정지 현실화 ?
2024 년 3 월 4 일
• https://youtu.be/w8_12mp4w_o?si=L9RSwdT
q2Y25wimJ
23:53
 사회구성원인 우리는
매일 행정현상을 경험

 이러한 행정현상을 학문으로 연구


 행정학

 행정학개론행정학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
제 1 절 행정의 의의 : 13

1. 행정의 개념

• 행정 ( 行政 ): 나라의 일을 행한다 .

• Public Administration: 공공행정

• Business Administration: 경영
1. 행정의 종합적 개념 : 13

① 공익 증진

https://www.google.co.kr
1. 행정의 종합적 개념

② 공공문제 해결을 위해 정책 형성∙집행


 공공문제의 요건

- 사회구성원 중 다수와 관련
- 개인 또는 사회에 피해
- 개인의 힘으로 해결 X 정부
- 공익을 위한 목적으로 존재하는 기관
- 정부 ( 중앙정부 , 지방자치단체 )
- 정부의 투자 , 출자 , 재정지원 등으로 설립 , 운영
1. 행정의 종합적 개념

③ 공공부문의 활동
1. 행정의 종합적 개념

①______________________

②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③_____________________
2. 광의의 행정 개념 : 13

 목표달성을 위해 고도의 합리성을 수반한


협동적인 인간 노력의 한 형태

① 합리성
• 목표달성을 위해 비용을 최소화 ,
적절한 수단을 선택

② 모든 조직 : 학교 , 종교 , 군 , 기업 , 정부 등
3. 협의의 행정 개념 : 13
- 국가의 생존과 번영을 위해 양보할 수 없는 목적으로

헌법 , 법률 , 선언 등에 명시되어 있음
 정부관료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활동

- 국가 목적 실현을 위한 사람과 물자 관리
or
- 정책 결정과 집행을 중심으로 하는 정치적 과정
4. 최근 행정의 경향 : 13

 Governance( 협치 , 공치 ) 강조
-정부가 일방적으로 서비스 제공 X
-정부가 시장 , 시민사회 등의 민간부문과 협력
 서비스 제공
- 사례 ?
1) 행정과 정치와의 관계 -13

 동전의 양면

- 행정현상은 정치와 밀접하게 연관

- 행정학 : 정치권력을 배경으로 정책 형성 , 집행


- 정치학 : 정치 권력을 형성과 유지
1) 행정과 정치와의 관계 -X

 정치와 행정과의 관계

 정치행정일원론→정치 = 행정
- 행정역할 : 법률안 기초 , 시행령‧시행규칙 제정 , 정책 집행
 미국 7 대 Andrew Jackson 대통령이 주장
- 재임기간 : 1829~1837

- 서부출신 최초 , 정규교육 X

- 10 대 후반에 법공부법조인대통령
1) 행정과 정치와의 관계 : 14
약탈품 , 전리품
 정치와 행정과의 관계

 엽관제 (spoils system) 의 폐해


 20 대 James A. Garfield 사망
- 재임기간 : 1881~1881
 법률 ( 정책 ) 결정은 입법부
집행은 행정부
 정치행정이원론→정치≠행정
1) 행정과 정치와의 관계 : 14
 정치와 행정과의 관계

 20C 초 세계대공황 (1929 년 )

 32 대 Franklin D. Roosevelt
- 재임기간 : 1933-1945
NewDeal Policy

 정치행정일원론→정치 = 행정
2) 행정과 경영과의 관계 -14

① 행정과 경영의 유사점

 정책 집행을 위하여
사람‧물자를 동원‧활용
 대규모 조직 : 관료제적 성격
- 계층제 , 전문화 , 분업 등
 협동행위
2) 행정과 경영과의 관계 -14

① 행정과 경영의 차이점

행정 경영
공익 사익
엄격한 법적 규제 느슨한 법적 규제
정치적 성격 있음 정치적 성격 없음
형평성 비형평성
독점성 0 독점성 X
관할영역 , 영향 넓음 관할영역 , 영향 좁음
5. 행정의 속성 -14

• 공익증진 , 공공문제 해결을 위해

• 정책 형성 , 집행

• 공공부문에서 이루어지는 활동
6. 행정의 과정 - 15

 L. Gulick 의 최고관리층의 기능 : POSDCoRB


- Planning( 기획 ), Organizing( 조직화 )

- Staffing( 인사 ), Directing( 지휘 )
- Co-ordinating( 조정 ), Reporting( 보고 )
- Budgeting( 예산 )
7. 정부의 기능 -X

1) 개념

• 광의의 정부 : 입법부 , 행정부 , 사법부

• 협의의 정부 : 행정부
20 대 : 2 원 5 처 4 실 7 위원회 19 부 19 청 (56 개 )
대통령 ( 윤석열 )

- 2022 년 20 대 선거 당선
- 행정부의 수장
- 대검찰청 검찰총장 출신
국무총리 ( 한덕수 )

- 2022 년 5 월 ~ 48 대
- 국회의 동의 , 대통령 임명
- 대통령 보좌 , 행정부 2 인자
- 국무위원 , 행정각부 장관에 대한 상급기관
- 지방행정기관 지휘감독
- 국무총리 보좌기관 : 비서실 , 국무조정실 ,
공보실
- 국회의원 겸직 X
2 원 : 국가정보원

- 대통령 직속기관
- 국가안전보장에 관련되는 정보 , 보안 ,
범죄수사에 대한 사무 담당
- 국내보안 ( 산업 , 테러 , 사이버 등 ) 정보
- 국외정보의 수집 , 작성 , 배포
- 북한이탈주민 보호
2 원 : 감사원

- 국가의 세입 , 세출 감사  국회 보고
- 회계감사 : 국가 , 지방자치단체 , 정부투자기관
등의
38,000 여 기관
- 직무감찰 : 공무원직무 , 법령 , 제도 등의 모순
5 처 : 대통령경호처

 대통령경호실처로 승격
 경호대상
- 대통령과 그 가족
- 대통령당선인과 그 가족
- 대통령권한대행과 그 가족
- 퇴임 후 10 년 이내의 전직대통령과 그 배우자
- 방한하는 외국의 국가원수 또는 행정수반과 배우자
5 처 : 인사혁신처
- 행정부 소속 공무원 업무 총괄
- 채용 , 인재개발 , 성과관리 , 근무환경 ,
공직윤리

5 처 : 법제처
- 법령심사 , 법령해석 , 법령정비 등
5 처 : 국가보훈처
- 국가유공자와 그 가족에 대한 정책 수립
- 독립 , 호국 , 민주화 관련 기념과 정신 계승
- 장기복무제대군인 사회정착지원

5 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 식품과 의약품의 안전한 먹거리
1) 정부의 기본적 기능 -17
• 정부가 하는 일
• 국민 개개인의 생활 전반에 영향

① 기본적인 기능
•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
• 국민의 자유로운 활동 보장
 개인과 기업활동 규제 ( 범죄 , 공해발생 등 )
 복지서비스 제공
② 활동영역별 정부의 주요 기능 -17

• 법과 질서 유지 : 법무부 , 행정안전부 등

• 국방 및 외교 : 국방부 , 외교부 , 법무부 , 행정안전부 등

• 재정 , 경제적 : 기획재정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환경부 , 농림축산식품부 , 산업통상자원부

고용노동부 , 국토교통부 , 해양수산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② 활동영역별 정부의 주요 기능 -17

• 사회복지 : 사회적 약자 보호

보건복지부 , 여성가족부 , 고용노동부


• 교육 , 문화 : 교육부 , 문화체육관광부 등
③ 활동 과정의 성질별 정부의 기능 -17

* 기준
- 정책 형성‧집행 // 규제‧조장‧중재 및 조정

• 정책 형성 : 정책을 기획 , 결정
- 법률안 기초 마련 , 시행령∙시행규칙 제정 등
• 집행
- 결정된 정책을 집행
- 누가 집행 ???
③ 활동 과정의 성질별 정부의 기능 -18

• 규제
- 국민들의 생활을 금지 , 제한
- 경제적 : 공정거래규제 , 인‧허가 , 부동산투기억제 등
- 사회적 : 노동자 및 환경 , 소비자보호 등
[ 눈물로 통과시킨 김용균법 ]
- 충남 태안화력발전소 외주 하청업체 비정규직 직원
-2018 년 12 월 10 일 설비 점검 시 사고로 사망

-’ 위험의 외주화’ 방지를 비롯해

산업 현장의 안전규제를 대폭 강화한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안


-2018 년 12 월 27 일 국회를 통과 , 2020 년 1 월 16 일부터 시행
③ 활동과정의 성질별 정부의 주요 기능 -18

• 조장 : 특정분야 산업이나 활동을 조장 , 지원


- 재정지원 , 기술∙교육 지원 등
- 예 : 사회적 기업 , 사회복지기관 , 벤처기업 등
• 중재 및 조정
- 사회 내 이해당사자 간 분쟁 시 중재
- 노사분쟁 ( 경제사회노동위원회 ),
- 이익집단 간 , 환경분쟁 등
2) 변화하는 행정환경과 정부기능 변화 -18

 정부를 둘러싼 환경
- 경제적 , 정치적 , 사회적 환경
 정부 ( 행정 ) 는
그 사회의 지배적인 형태와
특성의 영향을 받는 사회적 구성물
 정책의 우선순위 변화
 경제와 행정 ( 정부 )-19

• 경제적 환경 : 경기 호‧불황 , 원유가격 및 금리변동



• 정부가 민간의 경제활동 관여 정도에 따라
- 19C: 자유방임국가
정부의 활동이 국방 , 외교 , 법과 질서유지
기능
경제생활에 관여 X
 경제와 행정 ( 정부 )-19

-20C 중반 : 복지국가
사회적 강자에 의한 독점과 착취 : 시장실패
현상
 시장에 정부개입의 필요성 대두
 복지국가 등장
 경제와 행정 ( 정부 )-19

-1980 년대 이후 : 방만한 복지정책과 큰정부


 재정부담 완화 , 정부실패 교정
필요
 신자유주의 이념 확산
 정부기능 축소 , 민간경제 규제완화
 경제와 행정 ( 정부 )-19

-1990 년대 제 3 의 길 : 신자유주의 폐해
 경제성장 + 사회정의 비중
비슷하게
• 제 1 의 길 : 복지국가
• 제 2 의 길 : 신자유주의
 정치와 행정 -20

- 정치체제의 영향을 크게 받음
- 정치권력은 행정 전반에 영향을 미침
- 정치행정일원론 , 정치행정이원론 등
- 위임입법 , 입법부의 통제 정도
- 정당 ( 여대야소 , 여소야대 )
 사회와 행정 -20

• 사회체제에 따라 정부기능 상이
-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 봉건사회와 산업사회 등
 체제에 따라 행정에 미치는 영향이 다름
• 사회집단의 가치 반영
- 인적자원은 사회의 여러 집단으로부터 충원
 사회집단의 가치 반영 : 양성평등 · 지방인재 채용목표제 등
- 사회의 요구에 반응해야 함
 사회이념과 규범에 따름 : 일‧가정양립 , 노약자 · 임산부석
 우리나라 행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 -20

① 민주화
- 1987 년 6 월항쟁 (6/10-29) 16:52
https://youtu.be/IA119wQWX2U

- 대통령직선제로 개헌
-  노태우 당선군사정권 종식 X
- 입법부의 국정감사권 도입
- 대통령의 국회해산권 , 비상조치권 삭제
- 시민참여 확대 : 투명성∙합리성↑ , 질 높은 서비스
 우리나라 행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 -21

② 정보화
• 20C 이후 산업사회정보사회 ( 지식사회 )
 사고방식 , 가치관 , 의식구조 , 생활방식 등 변화
• 쌍방향 미디어 출현
- 일방적 , 집권적분산적 , 네트워크 시스템
• 소품종 다량생산다품종 소량생산
• 쌍방향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 참여민주주의 , 정부기능의 축소와 분권화 ,
전자행정서비스 제공 등
 우리나라 행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 -21

③ 세계화
• 1980 년대 신자유주의 등장
- 기업조직과 활동이 세계적으로 확장
 금융과 노동력의 자유로운 이동
- 환경오염 , 인권 , 군비통제 등을 위해
국제기구 , 국제협약 활동개별국가 역할 축소
 우리나라 행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 -22

④ 분권화
• 1991 년 지방자치제 도입
- 중앙정부지방정부 권한 분산
- 광역자치단체 17 개
특별시 1, 특별자치도 3
광역시 6, 도 6
- 기초자치단체 226 개 ( 시 , 군 , 구 )
 광역자치단체 17 개

• 특별시 (1): 서울
• 특별자치시 (1): 세종
• 특별자치도 (3): 제주 , 전북 , 강원
• 광역시 (6): 인천 , 대전 , 광주 , 대구 , 부산 , 울산
• 도 (6): 경기 , 충북 , 충남 , 전남 , 경북 , 경남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