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

행정의 개념과 행정학

0. 행정의 개념

: 행정에 대한 개념정의의 어려움


­ 행정의 역할·기능 : 확대·변동
­ 행정의 영역·범위의 한계 불분명
­ 특정국가의 환경적·문화적 제약성

- 광의의 행정
: 조직일반(모든 조직)에 적용할 수 있는 인간 행동, 합리적 행동(노력)의 형태
­ 목표달성을 위해 최소의 비용으로 적정수단 선택, 목표를 달성해 가는 행동(과정)
ex) 공공단체, 사기업체, 민간단체 포함

- 협의의 행정
: 정부관료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활동, 행정부의 구조 및 공무원의 활동
- 국가목적 실현을 위해 인적·물적 자원관리, 정책과정을 중심으로
※ (공익)목적달성을 위한 공공문제 해결 및 공공서비스의 생산·분배와 관련된 정부의
활동과 환경과의 상호작용
※ 행정개념에 포함된 특성 : 공익, 공공서비스, 민관협력, 정치과정 연계

0. 행정의 기능
: 행정부가 법률에 근거하여 실질적으로 처리하는 사무(국민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모든
행위, 국가의 존립유지ㆍ외교ㆍ안보ㆍ국방 등 광범위)

- Marchell E. Dimock의 분류
­ 보호기능 : 국방ㆍ외교ㆍ경찰ㆍ보건ㆍ공해방지
­ 원조기능 : 국제협조ㆍ노동ㆍ농업ㆍ상공업원조ㆍ사회적 약자 지원
­ 규제기능 : 시장에 대한 통제, 부정식품ㆍ약품단속ㆍ풍기단속
­ 봉사기능 : 학교, 공공건물, 문화시설, 공익사업, 공공주택건립

- 행정의 활동영역에 따른 기능 분류
­ 법ㆍ질서유지 기능 : 제1차적 국가기능, 공공복지의 실현을 위한 기능
­ 국방ㆍ외교기능 : 국민의 생명ㆍ재산보호, 외국과의 외교관계
­ 경제적 기능 : 기업ㆍ국민의 경제활동보장, 경제개발증진 기능
­ 사회적 기능 : 국민의 사회적 욕구충족 가능
­ 교육ㆍ문화적 기능 : 교육 및 예술 활동 보장기능

- 1 -
0. 행정의 성격

- 공공적ㆍ정치적 측면
: 사회적 가치의 권위적 배분 과정에 중점
­ 정당ㆍ이익단체ㆍ국민(여론)등의 정치적 압력 하에서 행정관료가 다원적 가치의
조정을 위한 정책과정과 관련

- 관리적ㆍ기술적 측면
: 인간의 합리적 협동행위에 중점
­ 목표달성을 위한 자원(인적ㆍ기술ㆍ재정)의 합리적 동원ㆍ조달과 관련
① 공공성: 사회통합적 성격(관습ㆍ제도ㆍ환경적 요인)
② 공익성: 공익을 실현하기 위한 작용. 국민이 공유하는 가치와 기준, 특수이익에
우선
③ 정치성: (정부)행정은 정치적 환경 속에서 수행. 정책결정 = 행정과정과 정책과
정의 중첩
④ 권력성: 권력 수단이나 강제력에 의하여 사회체제를 유지ㆍ통제시킴
⑥ 합리성ㆍ관리성: 추구하는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최소의 비용으로
(노력으로) 최대의 목적을 달성하려는 노력

0. 행정학 : 행정현상을 기술·설명·예측·통제하는 학문

0.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 종합학문적 성격
: 인접사회과학에서 발전된 이론ㆍ방법들을 활용 ⟶ 행정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발
전, 예) 관련 학문 : 정치학, 법학, 사회학, 경영ㆍ경제학, 심리학

- 분과학문으로서의 행정학
­ 고유한 연구주제(행정현상의 핵심 : 정부관료제, 공공서비스 등)
­ 주제와 관련된 분야의 현상을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론 정립

- 2 -
- 전문직업적 성격
: 전문직업인인 행정가를 양성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함(전문적 훈련, 고유기술·기법,
헌신적 봉사 등에 대한 지식)

- 과학성ㆍ기술성
­ 행정현상과 관련한 이론 구축 : 행정현상에 적용(설명과 예측)
­ 과학으로서의 행정학: 행정현상의 여러 변수들 간의 관계를 논리적ㆍ실증적ㆍ체계
적으로 구성 ⟶ 경험적 이론화 작업(Simon)
­ 기술성(실용성ㆍ실천성ㆍ처방성을 내포) : 행정의 활동자체를 처방ㆍ치료하는 행위
(Waldo), 정해진 목표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성취하는가 하는 방법

- 보편성(일반적 적용)
: 이론에 포함된 일반법칙 ⟶ 보편적인가 ⟶ 적용범위와 관련

- 가치판단ㆍ가치중립성
­ 가치판단(가치판단 개입의 불가피성), 가치중립성: 객관성에 의한 행정

0. 행정(학)의 영역 : 정부

대통령실 조직도

- 3 -
행정부 조직도(19부 3처 19청: 국가보훈처→국가보훈부, 재외동포청, 2023년 6월)

- 4 -
서울시 조직도

0. 행정의 담당자 : 공무원


- 공무원의 분류 : 국가공무원 지방공무원, 경력직 공무원 특수경력직 공무원

국가공무원법 제2조 (공무원의 구분)


① 국가공무원(이하 "공무원"이라 한다)은 경력직공무원과 특수경력직공무원으로 구분한다.
② "경력직공무원"이란 실적과 자격에 따라 임용되고 그 신분이 보장되며 평생 동안(근무기
간을 정하여 임용하는 공무원의 경우에는 그 기간 동안을 말한다) 공무원으로 근무할 것이
예정되는 공무원을 말하며, 그 종류는 다음 각 호와 같다. <개정 2012.12.11>
1. 일반직공무원: 기술·연구 또는 행정 일반에 대한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
2. 특정직공무원: 법관, 검사, 외무공무원, 경찰공무원, 소방공무원, 교육공무원, 군인,
군무원, 헌법재판소 헌법연구관, 국가정보원의 직원과 특수 분야의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으로서 다른 법률에서 특정직공무원으로 지정하는 공무원
3. 삭제 <2012.12.11>
③ "특수경력직공무원"이란 경력직공무원 외의 공무원을 말하며, 그 종류는 다음 각 호와
같다. <개정 2012.12.11>
1. 정무직공무원
가. 선거로 취임하거나 임명할 때 국회의 동의가 필요한 공무원
나. 고도의 정책결정 업무를 담당하거나 이러한 업무를 보조하는 공무원으로서 법률
이나 대통령령(대통령실의 조직에 관한 대통령령만 해당한다)에서 정무직으로 지
정하는 공무원

- 5 -
2. 별정직공무원: 비서관·비서 등 보좌업무 등을 수행하거나 특정한 업무 수행을 위하여
법령에서 별정직으로 지정하는 공무원
3. 삭제 <2012.12.11>
4. 삭제 <2011.5.23>
④ 제3항에 따른 별정직공무원의 채용조건·임용절차·근무상한연령,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국회규칙, 대법원규칙, 헌법재판소규칙, 중앙선거관리위원회규칙 또는 대통령령으로 정
한다. <개정 2011.5.23, 2012.12.11>
[전문개정 2008.3.28.] [시행일 : 2013.12.12.] 제2조

- 인사청문회제도

0. 공무원의 규모

2022년 6월 30일 기준

- 6 -
※ 파킨슨 법칙(Parkinson’s Law) : Northcote C. Parkinson(1955)
“공무원의 수는 해야 할 업무의 경중이나 그 유무에 관계 없이 일정비율 증가한다.”
- 공무원의 수가 증가하는 이유
① 제1공리 : 부하 배증의 법칙
: 공무원 A가 과중한 업무에 허덕이게 될 때 그는 자기 동료를 B를 보충 받아
업무를 반분하기를 원치 안고 보조해줄 부하 C를 보충 받기를 원한다.
② 제2공리 : 업무 배증의 법칙
: 업무가 증가되면 과거 A혼자서 일할 때와 달리 지시, 보고, 승인, 감독 등의
파생적 업무가 창조되어 본질적인 업무의 증가 없이 업무량이 배증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 업무배증 → 부하배증 → 업무배증 → 부하배증 현상이 계속 됨.

※ 피터의 원리(The Peter Principle) : Laurence J. Peter & Ramond Hull(1969)


- 무능력수준까지 승진하려는 경향
“ 저 사람은 저 능력으로 어떻게 저기까지 올라갔을까?”
“ 저 사람 예전엔 대단했는데 요즘은 왜 저러지?”
- 위계조직 안에서 일하는 모든 사람들은 자신의 무능력 수준에 도달할때 까지 승진하
려는 경향이 있다.
- 하지만 결국 자신에게 어울리지 않거나 벅찬 일을 맡고 나서야 이전의 명성을 먹칠하
면서 멈추게 된다.
- 하위 직급에서 능력을 발휘해 진급을 하게 되는 경우 본래의 업무 외에 관리직급으로
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상위직급으로 나아갈수록 요구되는 역량이 많아
지는데 이에 필요한 시간이 부족하여 준비하지 못함으로써 무능력자가 됨.

- 7 -
0. 정부의 재정 : 정부예산

- 8 -
- 지방재정규모(2022년)-출처: 2022년도 지방자치단체 통합재정개요

지방재정의 특징
1) 국가재정 대비 재정규모 취약
2) 자체수입 감소 및 의존재원 증가
3) 지방세출 증가(사회복지 지출의 증가)

- 9 -
단원연습 : 행정과 행정학

1. 행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행정은 정부의 단독행위가 아니라 사회의 다양한 주체들이 함께 참여하는 협력행위로
변해가고 있다.
② 행정은 사회의 공공가치 실현을 목적으로 한다.
③ 행정은 민주주의의 원칙에 따라 재원의 확보와 사용에 있어서 국회의 통제를 받는다.
④ 행정은 권력적 속성을 갖지 않는다.

2. 다음 중 행정학의 학문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행정학은 원인과 결과의 규칙성을 발견하는 기술성을 중시하는 학문이다.
② 행정학은 전문직업적 성격을 포함한다.
③ 행정학은 실천적이고 도구적 성격이 강한 응용학문이다.
④ 행정학은 종합 학문적 성격을 지니고 있어 정체성에 대한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되
어 왔다.
⑤ 행정학의 연구에서 가치와 사실을 구분할 수 있어도 가치판단 문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3.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에서 기술성과 과학성, 특수성과 보편성, 가치중립성과 가치판단성


으로 나눌 때 서로 연관된 것끼리 연결이 바른 것은?
① 기술성 - 보편성 - 가치중립성 ② 과학성 - 특수성 - 가치중립성
③ 기술성 - 특수성 - 가치판단성 ④ 과학성 - 보편성 – 가치판단성

4. 다음 중 국가공무원법 및 지방공무원법 상 특수경력직 공무원에 해당하는 사람을 <보


기>에서 모두 고르면? (2017년 국회직 8급)

- 보 기 -
ㄱ. A 파출소에 근무 중인 순경 甲
ㄴ, B 국회의원 의원실에 근무 중인 비서관 乙
ㄷ, 국토교통부에서 차관으로 근무 중인 丙
ㄹ, C 병무청에서 근무 중인 군무원 丁
ㅁ, 청와대에서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으로 근무하는 戊

① ㄱ, ㄴ, ㄹ ② ㄱ, ㄷ, ㅁ ③ ㄴ, ㄷ, ㅁ ④ ㄴ, ㄹ, ㅁ ⑤ ㄱ, ㄷ, ㅁ

5. 우리나라 행정환경의 주요 행위자들 간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국회는 국민의 대표기관으로서 민주주의 원칙에 합당하게 행정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를 감시하고 통제하는 권한을 가진다.
② 정부는 국회에 법률안을 제출할 수 있고, 대통령은 법률에서 구체적으로 범위를 정하
여 위임받은 사항과 법률을 집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에 관하여 대통령령을 발할
수 있다.
③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은 행정의 활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④ 대통령은 국회가 확정한 본예산에 대하여 재의를 요구할 수 있다.

- 10 -
6. 공무원의 수가 업무량에 관계없이 일정비율로 증가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피터의 원리(Peter principle) ② 과두제의 철칙(iron law of oligarchy)
③ 딜론의 원칙(Dillon's rule) ④ 파킨슨의 법칙(Parkinson's law)

7. 우리나라 경력직공무원에 해당하는 사람을 모두 고른 것은?

ㄱ. 담당업무가 특수하여 자격, 신분보장, 복무 등에 있어서 개별 특별법이 우선 적


용되는 공무원
ㄴ. 비서관, 비서 등 보좌업무 등을 수행하는 공무원
ㄷ. 기술, 연구 또는 행정 일반에 대한 업무에 종사하는 공무원
ㄹ. 선거로 취임하는 공무원
ㅁ. 국회의 동의를 거쳐 임명하는 등 주로 정치적 판단이나 정책결정을 필요로 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
ㅂ. 실적과 자격에 따라 임용되고 그 신분이 보장되며 평생 동안(근무기간을 정하여
임용하는 공무원의 경우에는 그 기간 동안을 말한다) 공무원으로 근무할 것이
예정되는 공무원

① ㄱ, ㄴ, ㄹ ② ㄱ, ㄷ, ㅂ ③ ㄴ, ㄷ, ㅁ ④ ㄴ, ㄹ, ㅁ ⑤ ㄷ, ㅁ, ㅂ

8. 다음 중 특수경력직 공무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 국회8급)


① 특수경력직 공무원은 경력직 공무원과는 달리 실적주의와 직업공무원제의 획일적 적
용을 받지 않는다.
② 특수경력직 공무원도 경력직 공무원과 마찬가지로「국가공무원법」에 규정된 보수와
복무규율을 적용받는다.
③ 교육·소방·경찰 공무원 및 법관, 검사, 군인 등 특수 분야의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
은 특수경력직 중 특정직 공무원에 해당한다.
④ 국회 수석전문위원은 특수경력직 중 별정직 공무원에 해당한다.
⑤ 선거에 의해 취임하는 공무원은 특수경력직 중 정무직 공무원에 해당한다.

9. 국회 인사청문회 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지방교행 9급)


① 국회의 인사청문회는 인사청문특별위원회와 소관상임위원회로 구분하여 실시하고 있
다.
② 국회의 인사청문회의 진행은 원칙적으로 공개되어야 하나 예외적으로 공개하지 않을
수 있다.
③ 소관상임위원회 인사청문에서 상임위원회가 경과 보고서를 채택하지 않는 경우에 대
통령이 후보자를 임명하는 것을 실정법으로 막을 수 있다.
④ 대법원장 헌법재판소장 국무총리 감사원장 및 대법관과 국회에서 선출하는 헌법재판
소 재판관 및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은 인사청문특별위원회에서 인사청문이 이루
어진다.

10. ( )안에 들어갈 말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국가공무원법 상 행정각부의 장관은 ( 가 )공무원 중 ( 나 )공무원이다.
(가) (나) (가) (나)
① 경력직 일반직 ② 경력직 특정직
③ 특수경력직 정무직 ④ 특수경력직 별정직

- 11 -
11. 지방공무원법 상 특정직공무원이 아닌 것은?(2019 서울7급)
① 기술에 대한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
② 공립 대학 및 전문대학에 근무하는 교육공무원
③ 자치경찰공무원
④ 지방소방공무원

12. 대통령 직속 행정위원회에 해당하는 것은?(2021 경찰간부)


① 공정거래위원회 ② 국민권익위원회 ③ 방송통신위원회 ④ 금융위원회

13. 공무원의 구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18년 지방직 9급-하)


① 일반직공무원은 경력직과 특수경력직으로 구분된다.
② 지방소방사는 특정직공무원에 해당된다.
③ 행정부 국가공무원 중에서는 일반직공무원의 수가 가장 많다.
④ 국가정보원 7급 직원은 특수경력직공무원에 해당된다.

14. 정무직 공무원과 직업관료 간의 일반적인 성향 차이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17년 지방직 9급)
① 정무직 공무원은 재임기간이 짧기 때문에 정책의 필요성이나 성패를 단기적으로 바라
보지만 직업관료는 신분보장이 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
② 정무직 공무원은 행정수반의 정책비전에 따른 변화를 추구하고 직업관료는 제도적 건
전성을 통한 중립적 공공봉사를 중시한다.
③ 정무직 공무원은 직업적 전문성(professionalism)에 따라 정책문제를 바라보고 직업
관료는 정치적 이념에 따라 정책 문제를 정의한다.
④ 정책대안을 평가할 때 정무직 공무원은 조직 내부의 이익보다 정치적 반응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직업관료는 본인이 소속된 기관의 이익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15. 우리나라의 공무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국가직 9급-하반기)


① 특수경력직 공무원은 경력직 공무원 이외의 공무원으로서 실적주의와 직업공무원제의
획일적인 적용을 받지는 않는다.
② 법관 검사 외무공무원 경찰공무원 소방공무원 교육공무원 군인 군무원 헌법재판소 헌
법연구관 국가정보원 직원 등은 경력직 공무원 중에서 특정직 공무원에 해당한다.
③ 선거로 취임하거나 임명할 때 국회의 동의가 필요한 공무원은 특수경력직 공무원 중
에서 정무직 공무원에 해당한다.
④ 고위공무원단은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의 실장, 국장 및 이에 상당하는 보좌기
관에 임용되어 재직 중이거나 파견 휴직 등으로 인사관리되고 있는 국가공무원과 지
방공무원을 말한다.

- 12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