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5

정치경제란 무엇인가?

• 정치경제(political economy)란 용어는 한 국가의 정치제도, 경제제도, 법


적 제도가 가지는 상호의존성을 의미함

– 제도들은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간에 영향을 미침

– 해당 국가의 경제상황 전반에 영향을 미침


정치제도 (Political System)
• 정치제도(political system)란 한 국가가 가진 정부시스템을 의미

• 두 가지 차원에서 비교

– 집단주의 vs. 개인주의

– 민주주의 vs. 전체주의


집단주의(Collectivism)
• 집단주의(collectivism)란 개인적 목표보다 전체적 목표를 더욱 상위로 강조
하는 정치제도를 의미
–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 (Plato, 기원전 427-347년)에서 비롯

• 근대 사회주의자들은 그 중 집단주의의 아이디어를 빌려옴 (e.g. Karl Marx)


– 기본적은 생산, 유통, 교환의 수단들을 국가가 소유해야 한다고 주장
– 국유화를 통하여 기업들이 개인자본가들이 아닌 전체 사회를 취하여
운영되도록 보장한다고 주장
집단주의(Collectivism)
• 공산주의자(communist)
– 사회주의가 무력혁명과 독재적 지도체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고 봄
– 1970년대 말 전세계 인구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
– 1990년대 중반에 들어와 전세계적으로 퇴조하였음
e.g. 중국, 북한, 쿠바

• 사회민주주의자(democratic socialist)
– 사회주의를 민주적 방법을 통하여 실현함
– 많은 국가들이 자유시장 경제로 변환하면서 퇴조되었음
– 국영기업들이 민영화(privatized) 되었음
e.g. 1970년대 오스트리아, 프랑스, 독일, 영국, 노르웨이, 스웨덴 등
개인주의(Individualism)
• 개인주의(individualism)는 개인들이 스스로 원하는 경제적, 정치적 목적을 추
구하는데 있어서 자유를 누려야만 한다는 사상

–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 기원전 384-322년)


– 개인적 다양성과 개인소유가 더 바람직하다고 주장
– 공유재산은 효율적 관리를 받지 못하는데 개인소유 자산은 주의 깊은 관
리가 이뤄지기때문에 후자가 더 생산적
– 민주적 정치제도와 자유시장 경제체제를 지지
e.g. David Hume, Adam Smith, John Stuart Mill, Milton Friedman 등
민주주의(Democracy)
• 민주주의(democracy)란 국민들이 직접 국가를 통치하거나 또는 국민들이 선
출한 대의원들이 국가를 통치하는 정치제도

– 민주주의와 개인주의는 함께 가는 경향이 있음


– 고대 그리스 민주주의는 시민들이 의사결정에 직접 참여해야 한다는 믿음
– 오늘날의 국가들은 대의민주주의(representative democracy)를 채택
– 대의민주주의에서 국민들이 정기적으로 자신을 대변할 대의원들을 선출
전체주의(Totalitarianism)
• 전체주의(totalitarianism)란 한 개인 또는 정당이 국민의 모든 생활영역에서
절대적 통제권을 가지면서 반대파 정당들의 활동을 억압하는 통치형태

1. 공산주의적 전체주의(communist totalitarianism)

2. 종교적 전체주의(theocratic totalitarianism)

3. 부족적 전체주의(tribal totalitarianism)

4. 우파적 전체주의(right-wing totalitarianism)


경제제도(Economic System)
1. 시장경제(market economies)
– 모든 생산활동은 개인들이 담당
– 소유하고 생산은 수요와 공급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
– 정부의 역할은 민간 생산자들간에 치열하고 자유로운 공정경쟁을 촉진시키는 것

2. 계획경제(command economies)
– 정부가 소비할 재화와 용역이 무엇이고, 얼마나 생산하여 얼마에 판매할 것인가를 결정
– 모든 기업들은 국가에서 소유하고 사회공익에 맞도록 정부에서 자원을 배분
– 원가를 절감하고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동기를 잃게 되어 경제적 활력이 사라짐

3. 혼합경제(mixed economies)
– 어떤 산업들은 사적 소유가 허용되지만 다른 산업들에서는 정부가 생산시설을
직접 소유하여 경제활동에 참여함
– 정부는 국가경제에 중요한 기업들을 국영화함
법적제도(Legal System)
• 법적제도(legal system)란 법률 또는 규정이 집행되는 과정을 통하여 행동을
규제하고 고충을 시정하는 체제를 의미함

1. 관습법(common law) - 전통, 판례, 관습 등에 기초

2. 성문법(civic law) - 조문화된 상세한 법률 규정들에 기초

3. 신성법(theocratic law) - 종교적 가르침에 따라서 법률을 제정


법적제도(Legal System)
• 계약(contract)이란 거래의 조건을 규정하고 그에 관련된 당사자들의 권한과
의무를 상세히 규정하는 문서

• 계약법(contract law)은 체결된 계약의 준수를 보장하기 위해 제정된 일련의


법률을 의미
– 관습법에 따라 작성된 계약서는 발생 가능한 상황을 매우 상세하게 규정
– 성문법에 의거한 계약서는 대개 간단하며 상세한 내용이 적음

• 국제물품 매매계약에 관한 유엔 협약(CISG)


– CISG협약은 다른 국가들에 위치한 판매자와 구매자 간에 일반적인 상거래 계약을 체결하고 실
행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사항들에 대하여 동일한 규정을 설정
– 협약내용을 국내법과 동등한 수준으로 준수할 것이라는 확신을 줌
– 가입국이 70개국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

• 중재법정(arbitration court) e.g. 국제상공회의소 국제중재재판소


재산권과 부패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
• 재산권(property rights)이란 특정한 자원 및 그로부터 발생하는 소득의 사용
에 대한 법적 권리를 의미

• 사적 행위(private action)
– e.g. 절도, 해적행위, 갈취

• 공공적 행위(public action)


- 합법적 장치 e.g. 지나친 세금부과, 인허가에 대한 높은 수수료 등
- 불법적 방법 e.g. 뇌물요구

• 부패가 높을수록 외국인투자와 국제무역이 감소하고, 경제성장률도 낮아짐


• 해외부패방지법(foreign corrupt practices act)
– 미국 자국 기업들이 해외에서 사업 권을 획득하거나 사업을 영위하고자 정부관료에게 뇌물을
제공하는 행위를 불법으로 규정
재산권과 부패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

2-13
지적재산권 보호
• 지적 재산(intellectual property): 지적인 활동을 통해 형성된 자산

1. 특허(patents)
– 새로운 제품이나 프로세스의 발명가에게 이를 정해진 기간 동안 독점적으로 생산하거나,
특허 자체를 판매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

2. 저작권(copyrights)
– 저자, 작곡가, 극작가, 예술가, 출판업자 등이 자신의 제품을 원하는 대로 출판하고
배포할 수 있는 배타적인 법적 권리

3. 상표권(trademarks)
– 공식적으로 등록된 디자인이나 명칭으로서 이를 통하여 상인이나 생산자는 자신의 제품을
구별되도록 하고 차별화
지적재산권 보호
• 침해에 대한 기업의 대응 방법

– 지적재산권 보호가 취약한 국가에 진출하지 않음

– 직접적 법적 대응을 선택

– 자국 정부에 대한 로비를 통하여 지적재산권 보호를 위한 국제조약들이 해외 각국에서


보다 잘 준수되도록 요구
제품안전과 제품물책임
• 제품안전법(product safety laws)은 제품이 반드시 준수해야 할 안전기준을
정하는 것

• 제조물책임(product liability)이란 특정 제품이 상해, 사망 또는 피해를 초래


했을 경우 이를 판매한 기업이나 개인이 책임을 지는 것을 의미함

• 만일 본국에 비해서 외국의 제품안전 기준이나 제조물책임 규정이 미약할 경


우, 기업은 현지의 미약한 기준을 따를 것인지 아니면 보다 엄격한 본국 기준
을 준수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함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