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

제 2 주 국제체제의 형성과 변화

Formation and Change of the Second Week International System


I. 서론 Introduction
○ 국제정치의 시대적 구분 Periodic classification of international politics
- 비엔나체제, Concert System / Vienna, Concert System
- Bismarckian System
- 1 차대전 이후 Versaille System Versaille system after World War I
- 2 차대전 이후 냉전체제 post-World War II Cold War regime
- 신냉전체제 New Cold War Regime

○ 국제정치의 역사를 시대별로 구분하는 근거는 무엇인가?


What is the basis for dividing the hist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by era?
- 국제질서의 본질을 구성하는 것이 무엇인가에 근거하는 것 based on what constitutes
the nature of the international order.
- 국제체제란 무엇인가, 국제체제의 기원은 언제부터인가에 대한 답이 있어야 구분 가능
What is an international system? When does it originate?
II. 국제체제의 정의. Definition of the International System
○ 광의의 정의 Definition of broad meaning
- 세계 문제에 있어서 정치, 경제, 사회, 지리, 기술적 관계에 관한 일반적인 패턴 General
patterns on political, economic, social, geographical and technological relations in global affairs.
- 어떤 특정 시점에서 국제관계가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환경(setting) General setting in
which international relations take place at a certain point in time

○ 보완적 설명 Complementary explanation


- 두나라 이상이 존재할 때 국제정치가 이루어지는 것 To have international politics when
more than two countries exist
- 한 나라만이 주권을 행사하는 강국이고, 다른 나라는 하나의 강국에 종속된 경우:
제국체제(empire system) If only one country is a powerful country exercising sovereignty, and
the other is subordinate to one power: the Empire system.
- 과거 동양의 국제정치체제는 중국만이 주권을 가진 국가, 주변국은 중국에 종속되는
조공국가(?) In the past, the international political system of the East was a country with
sovereignty only China, and neighboring countries were tributaries to China(?)

○ 국제정치 또는 국제체제란 적어도 두나라 이상의 독립적(independent)이고 주권적


(sovereign)인 정치집단이 존재하는 경우 형성되는 것 International politics or international
system is formed when at least two independent and sovereign political groups exist.
- 공존한다고 해서 그 자체만으로 국제체제가 형성되는 것은 아님 - 국제사회
(international society)와 다름 Coexistence does not in itself create an international system. -
Different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 구조를 형성하는 단위들이 규칙적인 패턴이 있고, 행동의 모습 및 그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경우 그 구조를 체제라 말할 수 있음 If the units forming the structure have a regular
pattern and the behavior and the consequences can be predicted, the structure can be referred
to as the system
- 국제관계를 국제체제라고 부르기에는 아직 미흡 Not yet enough to call international
relations an international system

-그럼에도 불구, 국가들의 행동에는 최소한의 규칙성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제질서라는 말을 사용 Nevertheless, use the word international order in that it can find
minimal regularity in the actions of countries.

○ 국제체제는 두나라 이상이면서 국가와 국가의 관계가 상호작용하는 경우라야


국제체제라고 말할 수 있음 The international system can be said to be an international
system only when there are two or more countr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tries
interact.
- 한 나라의 행위가 다른 나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경우 두 나라의 관계는 국제체제를
구성하지 못함: 로마제국과 당은 같은 국제체제에 존재하는 국가가 아님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fail to form an international system if one country's actions do not
affect another: the Roman Empire and the Party are not countries that exist in the same
international system.

- 즉, 국가와 국가들이 모여 국제체제라고 불리기 위해서는 독립된 권위를 가진 다수의


국가들이 존재하고 이들 사이에 어떤 규칙성을 가진 상호관계가 존재할 것 In other
words, in order for states and states to come together and be called an international system,
there will be a number of countries with independent authority, and there will be some
regularity between them.

○ 국제체제는 다음의 다섯가지 특징을 보유 The international system has five


characteristics:
1. 국제체제는 경계(boundary)가 있다 The international system has boundaries.
2. 정치 단위는 고유한 특징을 가진다. A political unit has its own characteristic
3. 국제체제는 그 힘의 분포상황에 따라 특이한 구조를 형성한다 The international system
forms an unusual structure depending on the distribution of its forces.
4. 국제체제에는 가장 보편적인 국가간의 행동방식이 존재한다. In the international
system, there is the most common mode of action between countries
5. 국가간의 행동을 규정하는 현재적, 잠재적 규칙이 있다. There are present and potential
rules that define actions between countries.
※ 위의 다섯가지 요소에 큰 변화가 있을 경우 국제정치체제에 변화가 초래 Significant
changes in the above five factors will result in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political system.

○ 국제체제는 항상 변화한다 The international system always changes


- 변화된 국제체제는 새로운 모습의 국제정치의 규칙(rule)을 형성한다
- 강대국은 새로운 국제정치의 규칙을 제정하여 자신의 국가이익을 극대화
- The changed international system forms a new-looking rule of international politics.
- Powerful countries establish new rules of international politics to maximize their national
interests

III. 국제체제의 속성 Properties of the International System


○ 무정부적 속성(anarchy) Anarchic attribute (anarchy)
- 가장 기본적인 속성은 국가보다 상위의 주권기관 부존재 The most basic attribute is the
absence of a sovereign authority higher than the state.
- 주권국가: 다른 나라로부터 자국의 권리에 제약을 받지 않음; 일정 영토를 소유하고 그
영토 내에 거주하는 주민들에 대해 최고의 권력을 행사 sovereign state: not constrained by
its own rights by other countries; exercise supreme power over residents who own certain
territories and reside within them.
- 국제사회란 국가보다 상위의 기관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무정부 상태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anarchy because there is no higher authority than the state.

- 국제사회에서 무정부적 속성이 없어지면 국제체제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음 The


international system no longer exists when anarchical attributes are removed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 자족과 전쟁(self-help and war)
- 국가보다 상위의 주권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갈등의 평화적 해결은 불가능 Since
there is no higher sovereignty than the state, a peaceful resolution of the conflict is impossible.

- 국가들의 이익은 상충하고 상충하는 이익을 조정해 주는 권위있는 상위의 기구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모든 국가들은 문제 해결을 위해 자신의 힘에 의존 Since there is no
authoritative upper-level body that coordinates conflicting and conflicting interests, all
countries rely on their own power to solve the problem.

- 국내사회에서는 문제해결을 권위를 인정받는 상위 기관에 호소(경찰, 법원) In domestic


society, an appeal to a higher authority for solving problems (police, court)

- 국제체제는 상위 기관이 없기 때문에 전쟁이라는 수단을 선택 The international system


chooses the means of war because there is no higher authority.

IV. 국제체제의 기원 Origin of the International System


○ 언제부터 국제체제가 발생했나? When did the international system start?

- 수천년이 넘지만 오늘날과 같은 즉 근대 국제체제가 형성된 역사는 짧다- Over


thousands of years, but the history of the modern international system, like today, is short.
- 기껏해야 16 세기가 시작할 무렵이라고 하지만 다양한 해석 존재 At best, it's the
beginning of the 16th century, but there are various interpretations.
- Wallerstein 은 16 세기부터 자본주의 경제체제 등장, Jack Levy 는 민족적 측면에서
국체제제적 요인 등장, Paul Kennedy 는 정치경제군적 측면에서 세계 정치체제가
형성되기 시작했다고 주장 Wallerstein has emerged from the 16th century with capitalist
economic systems, Jack Levi with national and national factors, and Paul Kennedy claims that
the global political system has begun to form in terms of political, economic and military.

○ 일반적 근대 국제체제의 출발점 Starting point for the general modern international system

- 1648 년 30 년전쟁이 끝나고 Westphalia Treaty 체결부터 From the end of the Thirty Years
War in 1648, the signing of the Westphalia TREATY,

- 신교 국가들은 가톨릭 국가들과 국제적으로 동등한 권리를 보유하기 시작했고, 영토에


근거한 근대적인 주권국가 승인 Protestant countries have begun to have internationally
equal rights with Catholic countries and approve modern sovereign states based on territory.

○ 국민국가(nation state) 등장은 최근 The appearance of a national anthem has recently been
made
- 1776 년 미국의 독립, 1789 년 프랑스 혁명을 통해 왕정이 붕괴되고 공화정 시작 이후-
American independence in 1776, the French Revolution in 1789, when the monarchy collapsed
and the republic began.
- 왕이 통치하지 않는 최초의 나라 등장 The first country that the king does not rule appears.
- 국민국가를 현대 국제정치의 기원으로 한다면 19 세기 후반부터 현대 국제정치체제의
시작 If the national anthem is the origin of modern international politics, the beginning of the
modern international political system from the late 19th century.

- 그러나 대부분의 외교사 교과서는 1815 년 비엔나회의(Congress of Vienna)를 현대


국제체제의 시작으로 인정- But most foreign history textbooks recognize the 1815 Congress
of Vienna as the beginning of the modern international system.

V. 국제체제의 변동과 발전 Variation and Development of the International System


1. 국제정치의 변동 Variation in international politics
○ 국제정치 학자의 최대 관심은 국제체제의 변동 The biggest concern of international
political scholars is the change in the international system.

- 국제질서 변동은 불안정 야기, 불안정은 큰 전쟁을 수반, 새로운 국제질서 탄생


Changes in international order cause instability, instability entails a great war, the birth of a
new international order.

- 국제정치 학자는 국제정치의 변화를 비교 분석 International political scholars compare


and analyze changes in international politics.
1815
○ 1815 년 이후 5 개의 시대로 구분 Categorized into five periods after 1815
- 비엔나회의(1815)에서 비스마르크에 의한 독일 통일(1870) German reunification by
Bismarck (1870) at the Vienna Conference (1815)
- 독일 통일 이후 1 차 대전(1914) World War I (1914) after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 1 차대전 이후(1919)부터 2 차대전(1939): 베르사이유체제 After World War I (1919) to
World War II (1939): Versailles system
- 2 차대전 이후 냉전체제 post-World War II Cold War regime
- 냉전 이후부터 현재 From the Cold War to the present.
2. 비엔나체제(1815-1870)
○ 프랑스혁명 French Revolution
- 프랑스혁명 이전의 군사력은 왕에 의해 고용된 용병에 의한 군사력, 왕의 이익을 위해
전투 The military force before the French Revolution, by mercenaries employed by the king,
fighting for the king's interests.
- 프랑스 혁명은 민중이라는 요소를 도입 The French Revolution introduces the elements of
the people.
- 프랑스혁명을 통해 국민국가가 등장, 국민이 주인이며 국민들이 애국심으로 나라를
위해 전쟁 The national anthem appeared through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people were
the masters and the people fought for the country with patriotism.

- 나폴레옹은 국민들의 애국심에 호소하여 나폴레옹 전쟁 Napoleon appealed to the


patriotism of his people and fought the war
○ 비엔나회의 Vienna Conference
- 나폴레옹 전쟁 이후 종전처리와 유럽의 새로운 질서를 구축 After the Napoleon War, the
end of the war and the establishment of a new order in Europe.

- 나폴레옹 몰락 이후 유럽에는 새로운 강대국 등장: 해양세력 영국, 강력한 육군의


러시아 After Napoleon's fall, a new power emerged in Europe: Britain, a maritime force, a
powerful army.

- 영국은 해군력을 바탕으로 유럽에서의 힘의 균형을 추구, 러시아는 대륙에서의 패권과


해양에서의 세력균형을 추구 Britain seeks a balance of power in Europe based on naval
power, while Russia seeks supremacy on the continent and balance of power on the ocean.

- 영국은 중부유럽 국가인 프러시아를 강화시켜 세력균형을 추구, 스페인을 지원하여


남미에서 미국을 견제, 독일을 지원하여 러시아의 서유럽 진출을 견제 Britain seeks a
balance of power by strengthening Prussia, a central European country, and supports Spain to
check the U.S. in South America and Germany to check Russia's advance into Western Europe.

- 유럽 각국은 전쟁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국제체제 형성 열망 European


countries aspire to form a new international system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war.
- 국제적 협조체제(concert of Europe)와 세력균형을 통해 평화를 유지할 수 있다는 믿음
the belief that peace can be maintained through the concert of Europe and the balance of
power.

- 1815 년부터 1870 년까지 지속


3. 비스마르크체제(1871-1914) bismarck System
○ 1871 년 보불전쟁부터 1914 년 1 차대전까지 From the Bobul War of 1871 to the First
World War of 1914
- 비스마르크의 정치력에 의해 평화 세력균형 유지 Maintaining a peaceful balance of
power by Bismarck's political power.
- 프러시아의 국력 증가, 독일통일 완성, 독일제국 건설 Increase of Prussia's national
power, complete German reunification, and build a German empire.
- 철과 혈에 의한 독일통일 달성 Achieving German unification by iron and blood
- 보불전쟁에서 프랑스 격파하여 독일제국 선포, 알자스 로렌을 프랑스로부터 할양,
프랑스는 전쟁배상금(50 억 프랑) 지불, 프랑스-독일의 대립갈등- Defeat France in the War
of the Bovles and declare the German Empire, discount Alsace Lauren from France, pay war
compensation (five billion francs), and confrontations between France and Germany.

○ 비엔나회의 vs 비스마르크체제 Vienna Conference vs. Bismarck System


- 비엔나회의는 러시아가 주도한 신성동맹 등 이상적 측면 The Vienna Conference is ideal,
such as the Holy Alliance led by Russia
- 강대국이 모여 회의한 회의체제 The conference system where the great powers gathered
and met.
- 비스마르크체제는 비스마르크에 의해 주도된 동맹과 협상에 의한 체제 Bismarck
system is a system of alliances and negotiations led by Bismarck.

- 프랑스는 현상타파 국가, 독일은 현상유지 국가 nce is a status quo state, Germany is a
status quo state

4. 제 1 차 세계대전과 베르사이유체제(1919-1939) World War I and the Versailles


○ 비스마르크체제는 유럽 국가들간의 비밀협상 및 동맹조약을 통해 안정 유지 The
Bismarck regime remains stable through secret negotiations and alliance treaties between
European countries.

- 반면, 열강의 각축과 국력의 변화는 대전쟁으로 해소 불가피한 상황으로 발전 On the


other hand, the angular axis of the great powers and the change of national power are bound
to be resolved by a great war.

- 비스마르크체제 붕괴, 비유럽국가까지 가세하는 1 차대전으로 발전 The collapse of the


Bismarck regime and the development of World War I to non-European countries.
- 1 차대전을 통해 새로운 방법으로 체제를 조직하고 형성하려는 노력 태동 Initiating
efforts to organize and form a system in a new way through World War I
○ 국제체제의 대변혁 Transformation of the international system
-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 러시아, 오토만제국은 1 차 대전이후 붕괴 또는 속성 변화
Austria-Hungarian Empire, Russia, and Ottoman Empire collapsed or changed their attributes
after World War I.

- 미국이 새로운 강대국으로 등장, 윌슨은 자신의 이상주의적 원칙에 의해 국제정치를


재구성 시도 As the United States emerges as a new power, Wilson attempts to reconstruct
international politics based on his idealistic principles.

- 프랑스는 독일에 대한 복수를 위해 독일 약화 시도 France attempts to weaken Germany


to avenge Germany.
- 비엔나체제 이후 100 년만에 베르사이유 체제 등장 The Versailles system appeared 100
years after the Vienna regime.
- 국제정치의 주역이 바뀌는 것은 물론 국제평화를 위한 본질적인 방법(세력균형과
동맹)도 변화 Changes in the main role of international politics as well as the essential methods
for international peace (balance of power and alliance)

○ 베르사이유체제 Versailles system


- 국제정치를 주도하는 국가는 유럽국가가 아닌 국제체제 The leading country in
international politics is not a European country but an international system.

- 미국이 강대국으로 등장했고 국제정치의 주도국 The U.S. has emerged as a major power
and a leading member of international politics
- 미국 이외에 체제의 성격을 완전히 달리하는 공산주의 국가 소련의 등장, 비유럽
국가인 일본의 등장 The emergence of the Soviet Union, a communist country that completely
differs in the nature of its regime other tha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 non-European
country

- 즉, 베르사이유체제는 힘의 구조, 주도국의 구성에서 변화 In other words, the Versailles


system changes in the structure of power, in the composition of leading countries.

○ 국제평화에 대한 접근이 세력균형에서 집단안보로 변화 Changes the approach to


international peace from balance of power to collective security
- 국제연맹이라는 국제기구 탄생 the birth of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called the League
of Nations.
- 국제분쟁, 군축 등 포괄적 문제 Comprehensive issues such as international disputes,
disarmament, etc.
- 침략국에 대해 평화를 사랑하는 모든 국가가 공동대응한다는 이상주의적 접근 an
idealistic approach to an aggressor that all peace-loving nations jointly respond to it.
- 동맹, 비밀조약이 아니라 민족자결의 원칙 아래 세계평화를 수립한다는 원칙 the
principle of establishing world peace under the principle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 not
alliance or secret treaty

- 반면, 모든 국제체제 구성국이 동일한 생각을 한 것은 아님 On the other hand, not all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system have the same idea.
- 국가 이익의 성격, 국력의 본질 등에서 차이 존재하는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국제체제는 실패할 수밖에 없음 An international system that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reality of differences in the nature of national interests and the nature of national power is
bound to fail.

- 불안과 위기의 지속 Continuation of anxiety and crisis.


- 윌슨의 이상과 국제정치의 현실에 괴리 존재 There is a gap between Wilson's ideal and
the reality of international politics.
- 독일의 재무장, 일본, 이태리의 군국주의 Germany's rearmament, Japan, and Italy's
militarism.

5. 2 차대전과 냉전체제(1945-1989) World War II and Cold War


○ 2 차대전은 사상 최악의 대전쟁 World War II is the worst war in history
- 국제체제에 획기적인 변혁 초래 Bring about a breakthrough in the international system.
- 얄타체제: 2 차대전 이후의 세계를 논의한 회의 Yalta regime: Conference discussing post-
World War II world
- 양극체제: 미국과 소련 두 강대국이 국제정치를 주도 Anode system: Two major powers,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lead international politics.
- 냉전체제: 미국과 소련의 갈등이 전쟁으로 비화되지 않은 채 고도의 긴장 지속 Cold
War system: U.S.-Soviet conflict continued without turning into a war.
○ 냉전체제
- 이념을 달리하는 두 개의 초강대국에 의해 주도되는 국제체제 an international system
led by two ideological superpowers.
- 과거 영국, 프랑스 등 강대국과는 속성이 다르다는 점에서 초강대국 a superpower in
that it has different attributes from other powers such as Britain and France in the past.
- 정치, 경제 및 이념적으로도 세계 주도국 a world leader politically, economically and
ideologically as well.
- 이익의 범위가 전세계적: 변방에서의 전쟁에도 미국과 소련의 갈등이 내재, 대리전쟁
(proxy war) The range of interests is global: the conflict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is inherent even in wars on the periphery, proxy war.

○ 동맹과 집단안보체제 구성 Formation of alliances and collective security systems


- 미국과 소련은 자국의 세력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해 동맹과 집단안보 추구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seek alliance and collective security to expand their sphere of
influence.
- 비엔나체제의 회의체제, 베르사이유체제의 집단안보, 비스마르크체제의 동맹체제가
혼재된 국제체제 a conference system in Vienna, collective security in Versailles, and an
international system mixed with the alliance system in Bismarck.
- 두 강대국은 서로 경쟁하는 가운데 이익을 극대화, 전쟁 억지위한 방편으로 집단안보,
동맹, 회의 등 강구 the two superpowers are competing against each other, maximizing their
profits and seeking collective security, alliances, meetings, etc. as a way to deter war.

○ 국제연합 등장 The United Nations appears


- 국제연맹의 실패를 교훈 삼아 강대국을 위주로 하는 집단안보체제 A collective security
system centered on powerful nations, taking lessons from the failure of the League of Nations.

- 미국은 NATO, 소련은 Warsaw Pact 체제 형성 The United States forms NATO, the Soviet
Union forms a Warsaw Pact system.
- 양자동맹: 미일/한미방위조약 등 Two-way alliance: U.S.-Japan/Korea-U.S. Defense Treaty,
etc.
○ 미국과 소련은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힘을 자제해서 사용 The U.S. and the Soviet Union
use their own power in a controlled manner.
- 전쟁을 제한적으로 사용 Limited use of war
- 무기도 제한, 전쟁의 범위도 제한 Limits on weapons, limits on the scope of war
- 전쟁에서 이기는 것이 아니라 전쟁을 억지하는 것이 목적 The goal is not to win the war,
but to deter it.

VI. 결론: 오늘의 국제체제 CONCLUSION: Today's International System


○ 냉전이후 시대 Post-Cold War Era
- 1990 년 동부유럽 공산진영 및 소련 붕괴로 냉전 종식 the end of the Cold War with the
collapse of the Communist camp in Eastern Europe and the Soviet Union in 1990.

- 탈냉전시대 the post-Cold War era.


- 몰타체제: 부시와 고르바초프가 회담한 지중해의 몰타섬(Malta Island) Malta regime:
Malta Island in the Mediterranean where Bush and Gorbachev met.
- ‘테러와의 전쟁’시대'War on Terrorism' Era.
○ 탈냉전시대 De-cold war era
- 미국의 국력이 압도적인 일극체제(unipolar system) Unipolar system with overwhelming
U.S. national power
- 미국은 유일 초강대국이매 패권국(hegemonic power) The U.S. is the only superpower and
hegemon power
- 테러 Terrorism
- WMD 확산 WMD proliferation
- 종교, 민족, 인종분규 Religion, ethnicity and ethnic strife.
- 자원문제를 둘러싼 분쟁 Disputes over resource issues
○ 불안정한 한반도 Unstable Korean Peninsula
- 북한의 WMD 개발 North Korea's WMD development
- 제한적, 국지적 도발 Limited, localized provocation
○ 세계화의 시대 Age of globalization
- 국가간 무력과 군사력 경쟁이 아닌 경제경쟁의 시대 an era of economic competition, not
of arms and military competition among nations.
- 상호의존성 증대, 그러나 평화 촉진과는 약한 연계 Increase interdependence, but weak
link to promoting peace
- 1 차대전이 발발했던 1914 년에도 경제적 상호의존은 높은 상황 Economic
interdependence is high even in 1914 when World War I broke out.
- 테러는 삶의 양식을 바꾸는 계기: 미국인의 삶이 자유롭지 못하도록 변화 Terrorism is
what changes the way of life: change so that American life is not free.
- 불안과 긴장이 지속되는 상황
- a situation in which anxiety and tension persist.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