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5

4 주 권위주의

2021 년 1 학기 정치학의 이해
목차

 권위주의의 정의
 권위주의의 유형
 권위주의의 생존전략
지난 퀴즈 복습

2
권위주의에 대한 정의

 정의 : 민주주의가 아닌 모든 레짐
 최소주의적 접근법에 기반 .
“ 경쟁적 선거”의 유무
 전체주의 (totalitarianism) 와 구분하기도 함 .
 왜 여집합적 정의인가 ?
 다양한 권위주의 국가들이 공유하는 핵심적 개념 부재 .
 역사적 발전순서가 있다고 보는 정치발전론 ( 혹은 역사 제도주의 ) 의 관점 상
권위주의는 임시적 형태 .
 그러나 대략 2000 년대 초반 이후 권위주의에 대한 연구 급증 . “
비교권위주의론 (Comparative Authoritarianism)”
 왜?
3
Huntington (1991)
Wave Year Countries
First wave of democratization 1828-1926 Argentina, France, Iceland, Ireland, Italy, Switzerland, UK and
USA.
First reverse wave 1922-1942
Second wave of democratization 1943-1962 Austria, Brazil, Costa Rica, India, Israel, Italy, Japan, Malaysia,
Nigeria, Sri Lanka, Turkey, Uruguay and West Germany.

Second reverse wave 1958-1975 Argentina (1966), Brazil (1964), Uruguay (1973) and other Latin
American countries’ military interventions

Third wave of democratization 1974-1990 Portuguese (1974), Greece (1974) and Spain (1977) -> East Asia
in late 1980s. -> East Europe and South Africa.

Another wave?
출처 : Clark et al (2018)
유형 (1) 왕정독재

왕실 가족 및 친인척 네크워크에 의해 권력을 장악하고 유지하는


정권 .
 높은 선명성 : 내부자와 외부자 구분 확실 . kinship+ marriage
 높은 안정성 :
근대왕정독재는 다른 독재에 비해 안정적 . 왕정독재에서 민주주의로
전환되는 경우는 거의 없음 (1991 년 네팔 민주화 뿐 )
 높은 탄압과 혼란
보통은 내전이나 더 억압적 정치체제로 전환됨 . 예멘 , 에디오피아 ,
아프카니스탄 등

6
(2) 군사독재
 무력으로 권력을 획득한 고위 장교나 장교들의 무리 (junta), 혹은
군사위원회에 의해 운영되는 레짐 .
 낮은 안정성 : 통치기간이 짧고 민주화되는 경우가 많음 .
1946~1996 년 사이 30% 의 군사독재가 민주주의체제로 전환되었으나 , 15.6%
의 문민독재와 4.5% 의 왕정독재만 민주화됨 . 특히 냉전 이후 민주화 사례 증가 .
 왜?
 기율 , 단결 , 독립을 중시하는 군대문화 : 군부 내 갈등시 민정이양을 선택 .
 무력이라는 권력기제가 있으므로 권력이양 이후에도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고 믿고 민주화 협상에 우호적 .
 냉전 이전 제 1 세계들이 좌파정권의 탄생을 막기 위해 군사독재를 옹호 은
묵인했다가 냉전 이후 국제사회의 민주화 압박증가
 해외원조에 의존했던 군사독재인 경우 더욱 민감 .
7
(3) 문민독재
 독재자의 identity 가 왕족이나 군인이 아닌 형태의 권위주의 .
 일인독재와 일당독재로 재분류 .

① 일인독재 ( 개인독재 )
 최고지도자 개인이 주요 정책과 인사를 독점하는 체제 .
 정치제도를 의도적으로 무력화시킴 . ( 정적을 막기 위해 )
 비밀경찰 , 언론억압 , 소수의 정권지지집단 , 개인숭배 .
 체제전환은 독재자의 급작스런 사망 , 내부 측근의 분열과 배신 , 혹은
경제적 대재앙 ( 불황 이상의 경제위기 ) 경우가 많아 안정적인
민주주의전환보다 정치적 혼란이 이어지는 경우가 더 많음 .
8
(3) 문민독재 중 ②일당독재
 용어구분 : 일당우위체제 (predominant-party system), 패권정당
(hegemonic party).
 하나의 정당이 권력기구와 정책결정과정 모두를 실질적으로 지배하는
정권 .
 형식상 선거를 하지만 일당제이거나 ,
 다당제를 허용한다해도 위성정당이거나 야당이 negligible 한 경우 .
 구소련이나 중국 , 북한의 공산당일당독재 , 멕시코의 제도혁명당 (PRI)
등.
 중국처럼 당내 파벌 싸움이 일종의 check and balance 기능을 하기도 함 .
대만 민주화 이전 국민당처럼 당 내 반대파의 제도적 개혁을 수용하기도 .

9
권위주의의 안정성
 정권지지연합 (support coalition) 의 성격에 따른 분류 .

 권위주의의 안정성 : Cheibub, Gandhi and Vreeland (2010) 가 1946


년부터 1996 년까지의 권위주의 전환 유형을 연구함 .
 권위주의는 같은 유형의 다른 독재자로 대체되는 경우가 더 많음 .
 독재자의 자연사나 민주화전환을 빼면 ,
 70% 의 군사독재자는 다른 군사독재자로 ,
 65% 의 문민독재자는 다른 문민독재자로 ,
 50% 의 왕정독재자는 다른 왕정독재자로 교체됨 .

10
우리가 하지 않는 것
 선거권위주의
 형식상 민주주의와 유사한 선거와 의회를 가지고 있지만 , 최소주의적
접근법에 맞는 민주주의가 아닌 경우 .
 앞의 세 가지 분류와 다른 차원 .
 왜 독재자가 선거를 허용하는가 ?

 개별 권위주의 국가들의 특성
 권위주의의 형성 원인
 민주화 전환과정

11
퀴즈 1 답안예시

12
퀴즈 1 답안예시

13
퀴즈 2 답안예시

14
퀴즈 2 답안예시

C 영역에 일본이나 의원내각제로 답한 경우가 있는데… .

15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