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

3 주 민주주의

2021 년 1 학기 정치학의 이해
목차
1 . 민주주의의 정의
2 . 최소주의적 관점
3 . 실질주의적 관점

2
민주주의의 정의 : 두 가지 관점
1. 최소주의적 ( 절차적 ) 관점 :
 제도와 절차를 기준으로 레짐을 분류하는 관점 .
1) Przworski
2) Dahl and Polity IV dataset

2. 실질주의적 관점 :
 제도나 절차 자체가 아니라 , 그 제도나 절차를 통해 만들어 낸 어떤
결과물을 놓고 레짐을 분류하는 관점 .
 선거민주주의 , 자유민주주의 , 참여민주주의 , 숙의 (deliberative)
민주주의 , 평등민주주의 등 .
1. 최소주의적 관점
(1) Przeworski
“Democracy is a system in which parties lose elections (10). Masses delegate
their views to elites who represent them. Interests are thus organized into mo-
nopolistic, coercive groups. Conflicts are never resolved, only temporarily
satisfied. Outcomes are not known ex ante: each party does the best it can,
then rolls the dice to see who will win. …… Democratization is an act of sub-
jecting all interests to competition, of institutionalizing uncertainty (14).”
From Democracy and the Market (1991)

4
1. 최소주의적 관점
(1) Przeworski, Cont’d
 정부 구성의 방식과 경쟁의 정도에 따라 레짐을 구분 .
1 ) 경쟁적인 선거로 정부가 구성되어야 함 (Governmental offices should be
elected).

2 ) 선거의 경쟁성 (Contestation):


① 사전적 불확실성 (Ex ante uncertainty): 선거의 결과를 미리 알 수 없음 .
② 사후적 불가역성 (Ex post irreversibility): 선거의 승리자가 실제로 권력을 잡아야
함.
③ 반복성 (Repeatability): 앞의 조건에 맞는 선거가 규칙적 (regular and known inter-
vals) 이고 정기적으로 시행되어야 함 .
1. 최소주의적 관점
(2) Dahl
 Polyarchy (1971): 레짐을 두 개의  실제 역사적 예시 ?
차원으로 분류함 .
 경쟁성 (Contestation): 시민들이
원하는 정책과 결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누구나 자유롭게 경쟁하는 조직을 만들
수 있거나 참여할 수 있는가 ?
 포괄성 (Inclusion): 민주적 과정에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가 ?
 Polyarchy 는 경쟁성과 포괄성의 두
차원이 모두 높은 레짐을 의미함 .
최소주의적 접근법을 이용한 자료
Polity IV from Marshall, Gurr and Jaggers.
 1800 년부터 매년 최근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나라의 레짐 분류 .
A Polity Score=the democracy score – the autocracy score.
Democracy : +6 to +10,
Mixed Regime (Anocracy): 5 to -5,
Autocracy : -6 to -10.
코딩규칙 : 5 가치 차원에서의 개별 점수 확인
①The competitiveness of executive recruitment
②The openness of executive recruitment
③The constraints that exist on the executive
④The regula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⑤The competitiveness of political participation
2. 실질주의적 관점
 최소주의적 관점에 따른 정부선출의 절차나 제도를 통해서 만들어낸
레짐의 결과물로 레짐을 분류하는 관점 .
 민주주의의 공고화 (a consolidation of democracy) 혹은 민주주의의 질
(the quality of democracy) 이라고 표현되기도 .
 장점과 단점 .
 선거나 정부 구성은 민주주의의 최소 조건 , 그렇다면 나머지는 ?
 어떤 결과를 만들어야 하는가 ?
 얼만큼 도달해야 하는가 ?
 민주적 절차를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가치를 구체화해야 함 .
선거민주주의 , 자유민주주의 , 참여민주주의 , 숙의민주주의 ,
평등민주주의 등 .
실질적 관점의 예시
 참여민주주의 :
 투표나 단발적 참여가 아닌 일상적 상시적 적극적 참여 .
‘ 시민들이 정치참여를 통해 스스로를 사적인 개인을 넘어서는 공적
시민으로 이해하는 방법을 배우고 , 지적 도덕적으로 성장하게 된다 .’(
서울대교수진 :26)

 숙의민주주의 , 토의민주주의 (deliberative democracy):


 공적 사안에 대한 결정이 열린 토론과 의견 교환을 통한 상호정당화의
과정을 거치는 방식 .
 신고리원전 공론화조사 이후 한국에서 몇 번의 실험 경험 .

9
우리가 다루지 않는 것
 민주주의의 역사

 민주주의의 정치사상적 배경

 민주주의의 작동원리

 민주주의의 성과

 민주주의의 위협
10
민주주의의 성과
 한국 민주주의 역사에서 끊이지 않는 질문 : 민주주의와 권위주의
중 무엇이 더 좋은가 ?
 For what?
 By How?

 현재적 이슈를 생각해봅시다 .


 시사인 , 653 호 (2020 년 3 월 23 일자 ), 천관율 기자 :
 “ 재난에 대처하는 지도자의 자세”
https://
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562&fbclid=IwAR1KrSDJ
a0RLK2aCKHv0B4HoJwkDLump6mb2h6JC8C-O0P2qbMKN2mjgfOQ
1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