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8

[교양] 소비자와 마케팅

Topic 2

소비자 권리, 책임 그리고 소비자주권

소비자학과
구혜경
이런 경험 있나요?
생각해봅시다!

우리에게 어떤 권리가 있나요?

소비자로서, 우리에겐 어떤 권리가 있나요?


소비자의 권리

소비자권리의 개념
• 소비자가 소비자주권의 달성을 위하여 법적/도덕적으로 소비자에게 보장되어야
하는 이상적인 상태로서 소비자가 기대 또는 요구할 수 있는 구체적인 조항으로 표현

케네디(1962), “소비자의 이익보호에 관한 특별교서”


• 안전할 권리(right to safety)
• 알 권리(right to be informed) 오늘날 소비자권리의 기본
• 선택할 권리(right to choose) 미국 소비자운동의 원동력
• 의사를 반영할 권리(right to be heard)

IOCU(1980), “케네디 4대 소비자권리 + 3가지 더 추가”


• 보상받을 권리
• 교육받을 권리 1995년에 국제소비자기구(CI)로
명칭 변경, UN자문기구
• 쾌적한 환경을 누릴 권리
# 1985, 7대 소비자권리에 ‘기본적인 욕구충족의 권리’를 첫 번째로 추가하여
‘소비자보호를 위한 UN 지침’에 포함시키는 결정적 역할
소비자기본법

[제1조] 목적
소비자의 권익을 증진하기 위하여
소비자의 권리와 책무, 국가ㆍ지방자치단체 및 사업자의 책무, 소비자단체의 역할 및
자유시장경제에서 소비자와 사업자 사이의 관계를 규정함과 아울러
소비자정책의 종합적 추진을 위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소비생활의 향상과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 1980년 (소비자보호법)  2007년 (소비자기본법)


소비자의 권리 : 우리나라(소비자기본법 제4조 - 8대 권리)
소비자의 권리 : 우리나라(소비자기본법 제4조 - 8대 권리)

안전할 권리 알 권리 선택할 권리 의견을 반영할 권리

보상받을 권리 교육 받을 권리 단체를 조직할 권리 쾌적한 환경에서 살 권리


소비자의 책임

소비자책임
• 법적 의무라기보다는 소비자의 도덕적(윤리적)인 차원임

일반적인 소비자 책임(이기춘) 국제소비자연맹(IOCU, 1980)


• 소비자역할의 인식 • 비판의식
• 소비자정보의 이용 • 적극적 참여
• 상품의 올바른 사용 • 생태학적 책임
• 정당한 의사표시(소비자저항) • 사회적 책임
• 도덕성 • 단결

소비자권리와 관련한 소비자의 특수한


책임을 생각해봅시다!
Ex) 안전할 권리 -> 제품표시와
매뉴얼을 주의 깊게 읽음
소비자의 책임 : 우리나라(소비자기본법 제5조 - 3대 책임)

① 소비자는 사업자 등과 더불어 자유시장경제를 구성하는 주체임을 인식하여


물품 등을 올바르게 선택하고, 제4조의 규정에 따른 소비자의 기본적 권리를
정당하게 행사하여야 한다.

구매의사결정과정 생활화, “블랙 컨슈머 & No Show” No No!

② 소비자는 스스로의 권익을 증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구매의사결정과정 생활화, 소비자 교육에 적극적 참여,


소비자 정보원의 생산과 소비 기능 강화 필요

③ 소비자는 자주적이고 합리적인 행동과 자원절약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소비생활을 함으로써 소비생활의 향상과 국민경제의 발전에 적극적인
역할을 다하여야 한다.

합리적인 소비행동, 책임 있는 소비 행동
 사회와 환경을 고려하는 소비행동 강화
[참고] 블랙 컨슈머
[참고] 노쇼!

예약 부도 캠페인 만들기
- UCC
- 카드뉴스
[참고] 매너 소비자

2019 트렌드코리아 키워드

Manners Maketh the Consumer


소비자 주권의 이해

Q. 주권(sovereignty)이란?
소비자 주권의 이해

“소비자의 선택이 시장을 통하여

사회 전체의 자원배분을 결정하는 것으로

민주사회에서 국민들이 정치적인 주권을 가졌듯이

시장경제에서 소비자들이 경제적인 주권을 가지는 것을 의미”

Adam Smith(국부론),
“소비는 모든 생산의 유일한 목적이며
생산자의 이익은 소비자의 이익을 증진시키는 범위
안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Dollar Vote (Samuelson)


소비자 주권과 화폐 투표
소비자가 하는 화폐투표의 결과는?

많은 득표를 받은 상품, 기업은 계속적 투자를 통해 좋은 상품을 개발/마케팅

소비자 입장에서는 “사후적”으로 시장에 나온 투표 후보군에 대한 선별을 통해


소비자의 의사를 반영함.

소비자의 화폐투표 결과들이 모이고,


이를 예측하는 것이 소비트렌드 예측
- 왜 예측하려고 하는가?
소비자 주권의 개념

법률상의 권리기 보다는 규범적 개념임.

경제구조상 정해진 개념으로 자본주의 경제구조에 있어


양 주체인 소비자, 생산자의 상호관계에서 최종 의사결정의 힘이 소비자에게 있음을 의미

단순히 소비생활에 있어서 다양한 대안이 제공됨으로써 선택의 자유가


보장된다는 의미가 아니라,
소비자 개개인의 자유롭고 자주적인 선택권이 시장 구조를 통해서 궁극적으로
생산자들이 어떤 제품을 생산할 것인가를 결정한다는 의미
소비자 주권의 개념

• 자급자족 시기
• 시장이 존재하지 않음
소비자주권, 문제
산업혁명 이전
• 소비자 욕구 수준이 낮음 논의 없음

• 소비자 주문에 의해 생산량 결정


• 소비자-생산자 관계가 구체적이며
소비자주권, 문제
인간적인 관계 유지
주문 생산 시기 • 소비자문제 발생 원인은 개인적 수준
사회적 쟁점화
이상으로 사회 문제화 하지 않고 되지 않음
자체적으로 해결하는 수준

• 본격적인 대량 생산
• 산업과 시장경제 발전 안전, 적정가격, 정보
• 사회발전의 논리가 대량생산과 왜곡 등의
대량 소비를 통한 부의 창출을 소비자문제가
산업혁명 이후 기본으로 함 사회구조적으로 발생
• 생산자 : 기업 이윤 증진 위해 수요 ‘소-생’관계가 적대적
예측하고 수요 창출 필요성 인지  주권 논의가
• 소비자 : 물질 풍요 사회에서 욕구 수준
요원해짐
상승, 부의 축적, 과시소비 등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