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6

안전보장학 개론

한반도 안보의 미래

국방기술학과
안보 개념과 연구 동향

1 국 가 의 불 안

2 안 보 연 구 동 향
국가의 불안

개 요

안 보 개 념

위 협 과 안 보

이 익 과 안 보

취 약 성 과 안 보
개 요
안보환경의 변화

탈냉전 이후 전통적 위협 소멸
새로운 초국가적 위협의 등장
- 분쟁의 빈번한 발생
- 대량파괴무기 확산, 테러리즘
- 지구온난화, 질병

국제사회의 대응
전통적 위협이 덜한 국가 : 새로운 위협에 초점
전통적 위협이 상존하는 국가 : 전통적 위협+새로운 위협에 동시 대응
※ 한국 : 북한ㆍ주변국의 전통적 위협+새로운 위협 대응의 어려움 증대

안보환경 변화 대처, 안보 개념 정의 필요
안보 개념 (1/4)

위험(danger)과 안전(safety)
‘위험’ 이란?
- 해로움이나 손실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상태
- 비의도적ㆍ기계적 실수, 자연재난으로부터 발생

‘안전’ 이란?
- 기술적ㆍ공학적ㆍ자연적 위험으로부터 손상을 입지 않는 것

‘재난’ 이란?
- 인위적 사고로 인한 손상이나 자연적 현상에 의한 대규모 피해가 발생
개념 비교
Danger(위험) Risk(위험) Disaster(재난)
ㆍsafety와 같이 사용 ㆍbenefit와 같이 사용 ㆍ쓰나미, 태풍 매미, 대지진
ㆍ공장, 공사장, 공원 등 ㆍ주로 경제 분야에서 사용 ㆍ삼풍백화점ㆍ성수대교 붕괴 등
Safety Management(안전관리) Risk Management(위험관리) Disaster Management(재난관리)
안보 개념 (2/4)

위협(threat)과 안보(security)
‘위협’ 이란?
- 자신에게 부정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상대방의 의도, 행동 가능성
- 범죄자, 적국, 초국가적 위협 등 사회적 행위주체의 의도적 행위가 손상의 원천
- 정치적ㆍ군사적ㆍ사회적ㆍ심리적 문제로 인해 발생
‘위험’ vs ‘위협’
- 의도성의 유무
- 위험&안전 vs 위협&안보
‘안보’ 란?
- 의도적인 위협으로부터 주체를 보호하는 것
개념 비교

Safety(안전) Security(안보)

ㆍ비의도적인 위험(danger)으로부터 주체 보호 ㆍ의도적인 위협(threat)으로부터 주체 보호


안보 개념 (3/4)

안전(safety)과 안보(security)

‘Security’의 2가지 의미
① 안전 : 상태의 의미
② 안전보장 : 상태+정책적 의미
※『국제연합 헌장』: “......to maintain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일본 학자들의 개념 정립
- 안전 : 비의도적 위험 가정 ☞ Safety
- 안전보장 : 의도적 위협 가정 ☞ Security

‘安寧’과 ‘安保’
- 안녕 : 안전과 같이 상태의 의미
- 안보 : 안녕을 보장하는 정책의 의미
안보 개념 (4/4)

안보의 어원과 정의
어원 : 라틴어 Securus 또는 Securitas
- se (free, ~이 없다) + cure (care, 근심 또는 걱정)의 합성어
※ ‘free from the care’ = ‘근심 또는 걱정이 없는 것으로부터의 자유’
정의

월퍼스 ‘객관적인 의미에서는 획득된 가치에 대한 위협이 존재하지 않는


(Arnold
것이며, 주관적 의미에서는 이러한 가치가 공격받을 염려가 없다는

Wolfers)
것을 측정하는 잣대’

상태의 의미에서는 ‘국가이익에 대한 위협의 부재’


재정의 정책의 의미에서는 ‘국가이익을 보존하고 향상시키기 위해 국내외의
위협을 감소시키고 취약성을 감소시키는 행위’
위협과 안보 (1/4)

전통적 위협

냉전시대 안보연구 경향
- 國家安保와 軍事力 使用에 한정
- 전통적 의미 : 국가안보=군사안보
- 위협 = 능력(군사력)+의도

적대국에 대한 위협의 평가시 판단기준


- 적대국의 능력과 의도를 동시에 고려
※ 적대국의 의도만을 호의적인 것으로 판단하면 심각한 안보문제 발생
- 대표적 사례 : 1938년의 “뮌헨 협정”(Munchen Agreement)

전통적 안보연구
- 적대국의 군사력을 위협의 주요 원천으로 보고 자국의 취약성 감소에 초점
- 새로운 위협 부상에도 불구, 여전히 강력한 영향력 행사
위협과 안보 (2/4)

위협에 대한 한계 설정
냉전의 종식 ☞ 안보 의제의 확대
- 새로운 위협 출현 : 1970년대 오일쇼크, 지구적 환경에 대한 관심 증대
- 위협의 원천 : 군사분야를 넘어 타 분야로 확대
※ 위협 : 적대국의 군사력, 내부의 혁명운동, 대량살상무기 확산, 테러리즘,
희소자원의 한계, 핵발사 사고의 가능성, 국가 통화의 붕괴 등
- 위협 영역 한정의 필요성 : 모든 위협이 안보 의제화되는 것을 방지

안보와 안전의 경계선 : 의도적 위협 or 비의도적 위험


- But, 비의도적 위험은 안보위협이 아닌가?
※ 몰디브 침수, 체르노빌 방사능 누출 사고 등
- 비의도적인 인위적 사고ㆍ자연적 현상에 의한 위험은 새로운
위협에서 제외
※ 일상적 사건ㆍ사고, 비의도적 재난과 자연재난
☞ 위험과 안전, 재난과 재난관리에 포함
위협과 안보 (3/4)

위협의 강도
위협의 강도

구 분 높은 강도 낮은 강도
위협의 구체성 구체적 포괄적
공간적 근접성 공간적으로 근접 공간적으로 이격
시간적 근접성 시간적으로 근접 시간적으로 요원
현실화 개연성 높은 개연성 낮은 개연성
이익침해의 가능성 높은 가능성 낮은 가능성
역사적 경험여부 많은 경험 경험 없음
국가 간의 우호성 낮은 우호성 높은 우호성

• 위협평가의 어려움 : 위협에 대한 과대평가와 과소평가


- 과대평가와 과소평가의 딜레마 (자원낭비와 공격대비 실패)
- Sarajevo Syndrome
- Munich Syndrome
위협과 안보 (4/4)

위협의 과대평가와 과소평가


위협평가의 어려움
• 주관성이 많이 개입 : 위협에 대한 과대평가와 과소평가 문제 대두
- 과대평가와 과소평가의 딜레마 (자원낭비와 공격대비 실패)
* 과대평가시 ⇒ 한정된 자원의 불균형적 사용, 대중의 공포, 공세적이고 침략적인
국가의 이미지, 사소한 위협에 대한 과잉반응
* 과소평가시 ⇒ 소극적인 정책으로 ‘전쟁패배’의 가능성

• 위협에 대한 과대평가 증후군 ⇒ 사라예보 증후군(Sarajevo Syndrome)


- 상대방의 능력과 의도를 과대평가하는 것
- 의도의 과대평가에 초점

• 위협에 대한 과소평가 증후군 ⇒ 뮌헨 증후군(Munich Syndrome)


- 상대방의 의도를 과소평가하는 것
- 제2차 대전시 영국과 프랑스는 히틀러의 침략의도를 과소평가함
이익과 안보 (1/3)

가치와 이익
관련 용어 : 가치, 이익, 목표
- 한국의 경우 : 가치(최상위 개념) → 목표 → 이익(목표달성 수단)
- 국가목표와 국가이익의 비차별성

-자유민주주의 이념하에 국가를 보위하고 조국을 평화적으로 통일하며 영구적 독립을


보전한다.
한국의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고 국민생활의 균등한 향상을 기하여 사회복지를
국가목표 실현한다.
-국제적 지위를 향상시켜 국위를 선양하고 항구적인 세계 평화에 기여한다.

-국가안전보장(국민, 영토, 주권 수호를 통해 국가존립 보장)


-자유민주주의와 인권 신장(자유, 평등, 인간의 존엄성 등 기본적인 가치와 민주주의
한국의 유지ㆍ발전)
-경제발전과 복리증진(국민경제의 번영과 국민의 복지향상)
국가이익
-한반도의 평화적 통일(평화공존의 남북관계 정립과 통일국가 건설)
-세계평화와 인류공영에 기여(국제역할 확대와 인류보편적 가치 추구)
이익과 안보 (2/3)

이익의 강도
이익의 분류
- 생존적(survival) 이익 : 국가의 생존과 관련
- 사활적(vital) 이익 : 국가의 안전 또는 동맹국의 안전과 관련
(경계 : 군사력 동원 여부)
- 중요한(major) 이익 : 국가의 해외 자산, 중요 천연자원 접근과 관련
- 주변적(peripheral) 이익 : 해외 자국민의 기업이익, 자국민의 안전과 관련

이익의 강도
- 국가의 정책결정과 행동 여부에 따라 측정

이익 측정의 어려움
- 위협ㆍ이익의 실체와 침해여부 평가의 한계
- 객관적인 이익의 실체와 정책 결정자들의 주관적 인식에 따라 달라짐
- But, 국가는 내외부 위협에 대해 국익을 향상시키기 위해 ‘안보’ 정책 추진
이익과 안보 (3/3)

이익의 왜곡

대표적 사례 : 미국의 대이라크전


- 현실주의자들의 주장 : 미국의 생존적ㆍ사활적 이익 침해이므로 이라크 공격
ㆍ후세인이 대량살상무기를 테러분자에게 제공 또는 향후 미국을 향해 대량살상무기를
탑재한 미사일 발사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
- 비판주의자들의 주장 : 미국의 생존적ㆍ사활적 이익 침해는 아님
ㆍ이라크의 대량살상무기 보유 능력 비판, 테러 집단으로의 이전 가능성이나 미국에
대한 공격 가능성은 낮다고 주장

정책결정자들의 위협ㆍ이익의 강도 조작
- 비판주의자들의 주장 : 중요한 이익이 사활적 이익으로 포장됨
ㆍ천연자원 확보(중요한 이익)를 위하여 대량살상무기의 위협(생존적 이익)과 테러리즘을
연계(사활적 이익)시켜 이라크 침공
취약성과 안보 (1/3)

능력과 취약성

행위주체의 불안 유발 요인
- 인간 또는 국가를 위협하는 객체의 존재
- 특정 위협을 극복할 수 있는 능력(capability)의 한계
- 능력의 한계 ☞ 취약성(vulnerability) = 위협(threat) - 능력(capability)

취약성 용어 사용의 유용성


- 안보 딜레마 유발요인 제거
ㆍ능력의 한계 극복을 위한 능력의 향상 ☞ 상대방 인식에 부정적 영향, 군비경쟁 유발
- 취약성 : “상대방과 균형을 맞춘다”
ㆍ상대방의 부정적 대응 회피 가능

취약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능력, 취약성의 강도
취약성과 안보 (2/3)

주관적 평가와 전쟁
인지심리학적 접근방법
- 전쟁 원인 : 상대방의 능력ㆍ의도, 자신의 능력을 주관적으로 평가하여 발생

대표적 학자
- 스테신저 (John J. Stoessinger) : 지도자들의 오해
① 지도자 자신에 대한 오해 ② 적의 성격파악에 대한 오해
③ 적 의도에 대한 오해 ④ 적 지도자의 능력과 적 능력에 대한 오해

- 레비 (Jack S. Levy) : 적 능력ㆍ적 의도ㆍ제3국에 대한 오해


ㆍ군사적 과신 : 적 능력 과소평가, 자국의 능력 과대평가, 제3국 개입 과소평가
ㆍ적 의도 속에 포함된 적 능력 과대평가
ㆍ작용-반작용의 사이클 + 위기 악순환 ☞ 상대방 공격 유도

- 블레이니 (Geoffrey Blainly)


ㆍ “전쟁은 상대방에 대한 상대적 힘에 대해 의견이 다를 때 시작되며, 싸우고 있는
국가들이 그들의 상대적 힘에 동의했을 때 종료된다.”
취약성과 안보 (3/3)

취약성의 강도

취약성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구 분 높은 강도 낮은 강도

위협의 과소 여부 많은 위협 적은 위협

동맹의 유무와 강고성 여부 자립, 자주 강고한 동맹

정치ㆍ사회적 단결의 정도 높은 분열성 높은 단결성

기후의 문제 온화한 기후 극단적인 기후

지형의 문제 용이한 기동 어려운 기동

자원의 외부 의존도 여부 높은 의존성 낮은 의존성


안보 연구 동향

개 요

국제관계 이론과 안보 대안

전략연구, 평화연구, 안보연구

안 보 연 구 의 확 대 경 향

안보연구 분석수준 과 저술경향


개 요

안보 연구 동향

안보 연구의 범주
- 전략연구 : 현실주의적 시각
- 평화연구 : 이상주의적 또는 자유주의적 시각
- 안보연구 : 신자유주의적 또는 구성주의적 시각

학습중점 / 문제제기
국제관계 이론과 안보 대안
안보연구는 전략연구 및 평화연구와 어떤 차이점이 있는가?
안보 연구 경향은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

안보연구의 확대에 따른 의제와 보호 대상간의 관계 고찰


국제관계 이론과 안보 대안 (1/8)

국제관계 이론과 위협 및 취약성

위협과 취약성, 그리고 안보 대안

- 현실주의 : 위협은 항상 존재한다는 가정하, 취약성 감소 주장

- 자유주의 : 위협은 협력을 통해 감소 가능

- 신자유주의 : 위협과 취약성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고 주장

- 구성주의 : 위협은 문화적ㆍ제도적인 것에 의해 구성되기도 하지만 행위 주체

들이 이를 재구성할 수 있다고 주장
국제관계 이론과 안보 대안 (2/8)

현실주의와 국가안보 (1/2)

국가안보에 대한 현실주의적 시각
- 투키티데스, 마키아벨리, 홉스, 모겐소, 왈츠 등
- 가정
ㆍ국가 : 국제체제 기본 단위, 유일하고 합리적인 행위자
ㆍ국가간 관계 : 갈등적, 희소성의 조건 존재, 무정부 상태
ㆍ권력의 행사 : 분쟁해결의 정치적 수단
ㆍ군사력 : 권력의 정치적 수단 중 하나
ㆍ위협에 대한 생존 : 자조(self-help), 자위(self-defense)
- 대안 : 세력균형, 자주국방, 동맹 등

안보딜레마(security dilemma)
- 국제관계의 무정부적 구조로 인해 군비증강 필요
- 딜레마의 궁극적 해결 불가능
국제관계 이론과 안보 대안 (3/8)

현실주의와 국가안보 (2/2)


국제 협력에 대한 현실주의의 시각
- 국제 협력 : 부정적
ㆍ상대적 이득의 문제, 배반의 가능성
※ 그리코(Joseph Grieco)
“지금의 협력이 쌍방에게 상호적 이익을 제공한다 할지라도 각자에게 돌아가는
이익의 양이 다르기 때문에 상대적 이득이라는 배분의 문제가 생기는데, 이 차이가
국력의 차이로 이어져 상대방을 위해(危害)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이상, 상대적 이
득을 적게 얻은 측은 많이 얻은 상대방의 국력강화를 두려워할 수 밖에 없다.”

- 국제관계 : 영합(zero-sum) 게임

수인의 딜레마(prisoner’s dilemma)


- 상대적 이익의 존재, 배반의 가능성, 비영합적 상황에서 협력의 어려움
- 안보딜레마와 유사
국제관계 이론과 안보 대안 (4/8)

자유주의와 국가안보

국가안보에 대한 자유주의적 시각
- 그로티우스, 로크, 칸트, 도이치, 윌슨 등
- 가정
ㆍ국가 : 유일한 행위자는 아니며 비합리적 의사결정자
※ 개인, 국제기구, NGO 등도 행위자임
ㆍ국제관계 : 협력적
ㆍ절대이익 창출 가능 : 협력을 통해 비영합적인 공동의 이익 창출 가능
ㆍ문명의 확대 : 국제 분규에 대한 평화적 수단 선호, ‘민주부전론(民主不戰論)’
ㆍ군사력 : 국제 분규의 유일한 수단은 아님
ㆍ국제규범 : 국가들의 위협적인 행동 제약 가능

- 대안 : 국제법, 군비통제, 집단안보, 통합 등


국제관계 이론과 안보 대안 (5/8)

신자유주의와 국가안보
국가안보에 대한 신자유주의자들의 시각
- 코헤인, 나이 등
- 신자유주의적 제도주의 : 현실주의와 자유주의의 가정 결합
- 가정
ㆍ국가 : 유일하고 합리적인 행위자
ㆍ국제체제 : 무정부적 체제하에서도 국제협력 가능
ㆍ레짐(regime) 창설 : 위협과 취약성 감소, 안보딜레마 및 수인의 딜레마 해결 방안
- 대안 : 협력안보, 공동안보, 포괄적 안보 등

안보 딜레마와 수인의 딜레마 극복


- 안보 딜레마 극복 : 군비통제, 검증, 신뢰구축, 위기관리 레짐 등
- 수인의 딜레마 극복
ㆍ상대적 이득의 문제 : 협력 창출과정에서 중요한 정보 제공
ㆍ배반의 가능성 : 미래의 그림자, 다차원적 상호의존 그물망, 정보 상호교환, 협력적 규칙
국제관계 이론과 안보 대안 (6/8)

구성주의와 국가안보
국가안보에 대한 구성주의자들의 시각
- 웬트(Alexander Wendt)
ㆍ“지식의 분포(distribution of knowledge)”라는 시각으로 국제구조 해석
- 국제정치는 국가간 믿음과 기대는 사회적 구조에 의해 결정
- 홉스적 무정부 상태와 로크적(경쟁자) 또는 칸트적(친구) 무정부 상태의 차이
ㆍ”행위자-구조(agent-structure)” 문제
- 구조와 구성단위들이 상호 영향
- 국제제도에 편입, 행동 : 사회적 정체성을 획득하는 것

- 구성주의의 핵심 주장
ㆍ문화적 환경이 국가의 안보이익을 정형 또는 국가 안보정책을 정형(shape)
ㆍ문화적 환경이 국가의 정체성을 정형
ㆍ국가 정체성의 차이 또는 변화는 제이익 또는 정책들에 영향
ㆍ국가 정체성의 윤곽은 레짐이나 안보공동체와 같은 규범구조(문화적 환경)에 영향
ㆍ국가 정책들은 문화적 구조와 제도적 구조를 재생산하고 재구성
국제관계 이론과 안보 대안 (8/8)

국가안보에 대한 시각의 비교

국가안보에 대한 대안 비교

구 분 현실주의 자유주의 신자유주의 구성주의

국제
무정부 상호의존 무정부+상호의존 상호 구성
관계

핵심
국가이익 개인/지구적 이익 국가/지구적 이익 문화/제도
관심

협력 부정적, 배반 우려, 긍정적, 절대적 이익 긍정적, 레짐을 통해 배반 사회적 정체성에


관계 상대적 이익 중시 중시 과 상대적 이익 극복 가능 따라 협력

안보
취약성 감소 위협 감소 위협/취약성 감소 위협/취약성 감소
중점

안보 자주국방, 동맹, 국제법, 집단안보, 문화적 기반 확장,


다자안보협력
대안 세력균형 군비통제, 통합 집합 정체성 구축
전략연구, 평화연구, 안보연구 (1/3)

전략연구
현실주의적 시각
- 국가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군사력을 어떻게 운용할 것인가에 초점

전략연구의 역사
- 핵무기 개발 : 억지, 제한전쟁, 위기관리, 대량보복, 유연반응 등
- 데탕트 시대 : 전략연구 쇠퇴
- 구소련의 아프간 침략 계기 전략연구 활성화 : 핵 억지 전략의 문제점, 전략정보

전략연구의 비판
- 군사적 수단의 강조 : 국제관계의 평화적ㆍ협력적 측면 간과
- 정책 지향적 연구 : 단기적 관점, 경험적인 연구
- 외부 위협에만 관심 : 내부 위협이나 국가 스스로가 개인 위협의 주체 등한시
- 패권국의 현상유지적 성향 반영 : 서방세계 방어 위한 정책적 필요의 산물
- 다양한 출처의 안보 위협 무시 : 정치, 경제, 사회 등 위협 등한시
전략연구, 평화연구, 안보연구 (2/3)

평화연구

이상주의 또는 자유주의적 시각
- 폭력의 원인 규명, 폭력 예방, 평화를 누릴 수 있는 조건 연구

평화의 개념
- 소극적 평화(negative peace) : 개인적ㆍ물리적 폭력의 부재
- 적극적 평화(positive peace) : 사회ㆍ경제적 측면의 구조적 폭력의 부재

평화연구의 역사
- 냉전 가속화 & 핵전쟁 위험 고조 : 평화연구 본격화
- 1970년대 : 개인ㆍ사회ㆍ경제적 측면의 연구로 확대
- 신냉전 : 비핵방어, 공동방어, 군산복합체 비판
- 탈냉전 : 분쟁해결ㆍ예방, 인간안보, 문화적ㆍ생태학적ㆍ환경적 측면의 평화 등
전략연구, 평화연구, 안보연구 (3/3)

안보연구
안보연구의 역사
- 탈냉전 이전까지 주요 개념 미정립
- 1970년대 데탕트 도래 : 경제 문제가 안보 문제의 주요 관심사로 등장
- 1980년대 안보연구 논의 활성화 : 배리 부잔(Barry Buzan)
- 1990년대 : 비판적 안보연구 학파 등장

논쟁의 결과
- 안보 개념의 확대 : 분야의 확대, 수준의 확대
- 전략연구와 평화연구의 확대에 따라 안보연구와 중첩

전략연구, 평화연구, 안보연구의 비교

구분 전략연구 평화연구 안보연구

ㆍ폭력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 ㆍ폭력을 어떻게 없앨 것인가? ㆍ힘과 평화의 중간


초점
ㆍ취약성 감소 ㆍ위협 감소 ㆍ위협과 취약성 감소
안보연구의 확대 경향 (1/3)

안보개념의 확대
의제의 확대(Broadening the Agenda)
- 군사적 분야 → 비군사적 분야(정치, 경제, 사회, 환경 등)로 확대
- 군사적 위협 → 초국가적 위협 포함
* 환경오염, Trafficking, 재난, 질병, 기후변화 등

주체의 확대(Extending the Subject)


- 단일 국가 → (양자), (집단), 공동, 다자

대상의 확대(Extending the object)


- 국가 → 국가, 개인, 지역체제 및 국제체제 등

전통주의자들의 반대
- 안보 의제의 확대는 안보의 중점을 흐릴 수 있다.
안보연구의 확대 경향 (2/3)

안보 분야 또는 의제의 확대

안보 분야의 확대
- 군사안보+정치ㆍ경제ㆍ사회 및 문화ㆍ환경안보 등 연구대상 또는 분야 확대

안보 의제의 확대
- 잠재적국의 위협+초국가적 위협 : 포괄안보가 이 범주에 해당
* 테러리즘, 마약 및 소화기 밀매, 인신매매, 불법이민, 질병, 지구온난화, 사이버테러, 태풍,
지진, 기아 또는 과잉인구 등

안보 분야 및 의제 확대의 한정 필요성
- 모든 일상생활이 안보 의제 : 진정한 안보 문제 인식 곤란
- 안보 의제 확대의 한정 : 인위적 의도가 미포함된 위험은 제외
* 단순한 실수에 의한 사고나 자연 재난, 질병 등은 제외
안보연구의 확대 경향 (3/3)

안보 보호대상 및 주체의 확대 문제
보호대상에 따른 분류
- 인간(개인) 안보, 국가안보, 집단안보, 지역안보, 국제안보 등
- 인간안보 : 1994년 UNDP(유엔개발계획) 『인간개발 보고서』에서 개념화
- 국제안보 : 초국가적 위협에 대한 국제사회의 공동 대응
주체에 따른 분류
- 안보의 주체 : 지역기구, 국제기구, 국제사회
- 공동안보, 협력안보 등
- 주체와 보호대상(객체) 간의 관계
주체와 보호대상(객체) 간의 관계

구분 국가안보 인간(개인)안보 국제안보


ㆍ선진국 : 국가 ㆍ비군사적 위협 : 국제기구, 지역기구
주체 국 가
ㆍ후진국, 내전중 국가 : 국제사회 ㆍ테러리즘 : 국가, 국제사회
객체 국 가 개 인 개인, 국가
안보연구 분석수준과 저술경향 (1/3)

안보연구 분석 수준
국제체제적(international system) 수준
- 국제체제 : 그 이상의 체제 없음, 체제단위들의 최대 규모 집성체

단위체(unit) 수준
- 단위체 : 국제체제의 근간, 응집력, 독립적 집단

개인(individual) 수준
- 개인 : 가장 하위의 행위자
기타
- 국제체제&단위체 : 지역적 하부체제(EU, ASEAN), 기능적 하부체제(NATO, OPEC)
- 단위체&개인 : 관료체제, NGO 등 하부 단위체 존재

분석 수준에 대한 논쟁
- 현실주의와 긴밀한 관계 ⇒ 설명의 결과를 국가로 환원시키는 경향 때문임
* 예) 체제수준(국제체제의 구조) → 단위체수준(자조(self-help))
안보연구 분석수준과 저술경향 (2/3)

차원별 안보의 확대
국가 중심적 경향
- 국가 차원을 중심으로 국제차원과 개인차원으로 확대
<그림> 위버의 모래시계 안보 모델

다양한 동학
국제차원

국가차원 안보 개념의 중심

국내차원 다양한 동학

* 출처: Ole Waever, “Securitization and Desecuritization,” in Ronnie D. Lipschutz ed.,


On Security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5), p. 50.
안보연구 분석수준과 저술경향 (3/3)

안보연구 저술 경향
논리적 정렬의 필요성
- 안보 개념, 확대된 의제와 보호 대상

안보 연구가들의 저술 경향
- 분야별 안보 의제
- 쟁점별 안보 의제
- 안보대상 중심
- 구체적 쟁점 중심
- 국제 또는 지구적 차원의 구체적 쟁점별
-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분야별 안보의제의 규범 구성
본 저서의 저술 경향 ⇒ ‘국가안보’에 초점
- 안보의 주체가 ‘국가’, 안보의 객체도 ‘국가’
- 국익보호와 향상을 위해 위협과 취약성 감소정책 추구에 초점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