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위법성론]

위법성조각사유: 객관적요건(위법성조각사유의 상황의 존재)+주관적요건(상황에대한 의식+정당화를 지향하는 의사)


만약 주관적요건 결여시(우연방위) 결과불법 결여, 행위불법 인정 즉 불능미수로 판단

정당방위: 자기 또는 타인의 법익에 대한 현재의 부당한 침해를 방지하기 위한 상당한 이유있는 행위


1. 정당방위 상황(자기 또는 타인의 법익에 대한 침해):
침해의 객관적 존재 필요(오상방위=위전착, 책임조각사유)
개인적 법익만 해당. 사회적, 국가적 법익은 X
침해의 현재성 필요. 예방적정당방위 인정X(현재성 결여). 지속적위험(판례인정, 교과서불인정)
침해의 부당성 필요. 부당한 침해 개념은 넓게 인정(전체 법질서나 사회정의에 어긋나는 경우)
2. 방위하기위한 행위(방위행위+방위의사)
방위행위: 수비적방어->반격방어
방위의사: 주관적 정당화요소, 없었다면 불능미수(우연방위)
3. 상당한이유(상당성): 적합한 방법으로, 최소한의 손상만 야기하며, 객관적 법질서의 목적 범위 내에서 방어
정당방위제한: 경미한침해 / 법익간의 현저한 불균형 / 책임무능력자의 공격 / 밀접한 인적관계에 있는 자의 공격
4. 도발: 의도적도발은 정당방위X

긴급구조(타인을 위한 방위행위): 정당방위 요건 동일하게 적용

과잉방위->형 감경/면제 가능
질적과잉방위: 과잉방위 가능
양적과잉방위: 현재성 결여로 정당방위/과잉방위 될 수 없음. 다만 심리적 긴장상태로 연속했을 경우 가능
야간기타불안스러운상태 과잉방위: 책임조각사유(기대불가능성)

긴급피난: 자기 또는 타인의 법익에 대한 현재의 위난을 피하기 위한 상당한 이유가 있는 행위


1. 긴급피난 상황(자기 또는 타인의 법익에 대한 현재의 위난)
개인적, 사회적, 국가적 법익 모두 포함(이후 상당한 이유에서 엄격하게 판단)
위난: 부당성불요. 현재성도 정당방위보다 폭넓게 인정(예방적, 지속적도 현재성 인정)
오상위난은 인정 안되고 위전착(책임조각)이됨
자초위난-의도적일경우 긴급피난X. 유책적일 경우 가능
2. 위난을 피하기 위한 행위(피난행위+피난의사)
피난행위: 공격적피난행위(관계없는 제3자의 법익침해), 방어적피난행위(위난유발자의 법익침해)
피난의사: 위난상황&보호법익>침해법익&방법의적절성 인식으로 충족->결여시 불능미수
3. 상당한이유(상당성)
보충성: 피난이 위난에 빠진 법익 보호를 위한 유일한 수단이며, 제3자의 법익에 가장 경미한 손해를 미칠 것
균형성: 보호법익이 침해법익보다 본질적으로 우월해야함. 동등도 안됨
적절성: 적절하지 않은 피난행위(다른 방법이나 법적절차로 피할 수 있는 경우, 법질서의 기본원리에 위배되는 경우)

정당행위: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 행위


대법원이 쓰는 기준 2가지
1. '국민일반의 건전한 도의적 감정', '사회윤리 내지 사회통념'
2. 행위의 동기나 목적의 정당성 / 수단방법의 상당성 / 보호이익과 침해이익의 균형성 / 긴급성 / 보충성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