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정의란 무엇인가 2 장 요약>

32230336 김가원

공리주의와 그 반박에 대해 살핀다.

 영국 선원의 구명보트 사건-

1. 파커의 죽음은 도덕적으로 정당한가? 계산에 앞서 도덕적/원칙적으로 살인 및 식인은


용납 불가한 문제이다.

2. 공리주의에 의한 이익을 판단할 때 정신적/감정적인 가치에는 값을 어떻게 매겨서


편익을 판단할 것인가? 모든 사회적 요소를 고려해서 사회적 편익을 계산해야한다.

 공리주의: 공리를 극대화하는 행위가 옳다. 개인 vs 사회의 갈등 상황에서 사회를 지지하여


최대다수의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을 추구.

 제러미벤담의 공리주의: 자연권 풉. 감정(고통/쾌락)이 우리의 행위를 지배, 결정한다.

 벤담에 대한 반박

1. 개인의 권리를 존중하지 않는다.

 다수의 행복을 위해 소수를 희생시키는 것이 도덕적으로 옳은가? -개인의 권리를 무시하는


도덕적 오류 발생. 모든 인간적 가치를 수치화할 수 있다는 발상으로 인간의 존엄성을
무시함.

 고문은 정당한가?

찬성 공리주의자: 추후의 인명피해와 다수의 고통을 막기 위해서는 정당함

반대 공리주의자: 고문을 통해 신뢰성 있는 정보를 얻기 어려움. 따라서 공동체가 더


안전해진다는, 즉 공리가 증진된다는 보장이 없으며 고문당할 수 있다는 것을 모두
인지하게 되어 사회적 불안감이 증가하여 공리 감소.

반대 비공리주의자: 도덕원칙에 근거해 고문이 인권을 침하해고 존엄성을 훼손하기 때문에


반대.

 <오멜라스를 떠난 사람들>에서 아이의 처우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 – 시 전체의 행복 vs


아이의 인권

2. 모든 사람의 기호를 동등하게 계산하여 모든 도덕적 행위를 통일된 단위로 바꾸는


과정에서 누락되는 것이 있을 것이다.

 담배회사 필립모리스/연료탱크 보호장치 부착 – 비용 편익 계산을 통한 공리주의의 계산에


어디까지 포함해야하는가? 해당 회사들의 비용편익 분석은 오로지 회사의 입장에서,
회사가 중시하는 가치만을 기준으로 이루어짐.

 벤담(양적 공리주의) vs 밀 (질적 공리주의)

 밀의 공리주의에 대한 반박 해명 시도

1. 자유 옹호 >> 개인의 자유를 존중하다보면 장기적으로 공리가 극대화된다.

But 공리증진과 관계없이 권리를 침해당한 당사자에게는 부당하다는 것 간과.

2. 고급 쾌락 >> 더 질적으로 우수한 쾌락이 있다.


But 사람들은 심슨을 더 즐겁게 여기지만 셰익스피어 작품을 더 가치있다고 여김.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