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종교 유전자」 - 제 2장 도덕적 본능

영어영문학과 LIYUE
영어영문학과 GUYUE
불어불문학과 김민주

1. 도덕적 본능에 대한 이론의 진화


- 사회적 동물이 집단 내에서 다른
구성원과 교류하기 위해 이기주의
(self-interest)를 억제하는 규칙을 발
달시켰다.
- 동물에게는 도덕성이 존재하지 않
- 유전적인 기반을 가진 것처럼 보이
는다.
는 자기제어의 규칙(rules of
self-restraint) 때문에 인간이나 침팬
지가 무리 짓는 사회 구조를 만들어
낼 수 있었다.

=> 인간은 유인원 조상들로부터 공감(empathy)과 은혜 갚기(sense of reciprocity) 같은 행동 양식을


계승하여 그것을 도덕적 본능(moral instincts)으로 발달시켰다.

1) 도덕적 판단의 종류 – 조너선 하이트(Jonathan Haidt)


① 도덕적 직관(moral intuition) : 무의식. 직관에 의거한 판단
② 도덕적 추론(moral reasoning) : 직관적 판단보다 느림.
의식에 의한 사실 검토 후에 이차적으로 내려짐.

2) 도덕적 직관
- 직관의 프로세스의 일부는 유전에 뿌리를 두면서 진화에 의해 형성, 다른 일부는 문화에 의해 형성되
었다.
- 도덕적 직관의 프로세스 가운데 유전적인 부분은 뇌 내부에 특별한 신경 회로와 모듈을 만드는 것 같
다.
- 그것들 중 일부는 공감이나 호혜성(reciprocity) 같은 보편적인 도덕 행동을 촉진할 것이다.
* 복내측부가 손상을 입으면 판단력 저하와 반사회적 행동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전두전 피질의 신경 회로는 도덕적 직관의 문화적 형성과 결부되어 있는 것이 분명하다.

>> 도덕적 판단에 관여하는 뇌의 특별한 신경 회로가 존재한다는 것은 도덕성이 유전적인 기반을 가진
능력에서부터 진화해왔다는 사실에 대한 확고한 증거가 될 수 있다. ex) 피네아스 게이지의 예

3) 문화와 도덕성
- 문화의 차이로 인해 어떤 사회에서 도덕적이라고 인정되는 행동은 전혀 달라질 수 있다. ex) 영아살인
- 하지만 일반적으로 도덕성에 있어서 공통점은 차이점보다 훨씬 더 두드러진다.

‘당신이 받기를 원하는 방식대로 행하라.’


2. 도덕적 직관과 노면전차 문제
1) 필리파 푸트(Philippa Foot)의 노면전차 문제
① ②

2) 도덕 원칙
① 접촉 원칙 : 가장 원시적. 누구에게든 신체적인 위해를 가하는 것 금지
② 의도 원칙 : ‘의도적 위해’와 ‘예측 가능한 위해’를 구별
③ 행동 원칙 : 실수나 부작위에 의한 위해보다 적극적인 행동에 의해 가해진 위해가 더 나쁨.

3. 도덕적 감정의 기원
1) 다윈 「인류의 기원」 : 사회성은 포식자에 대한 방어로서 시작
이 목적을 위해 무리를 이루는 동물들도 서로에 대해 자기 행동을 조절할
필요가 있었을 것
“다른 사람을 위해 착한 일을 하는 것, 즉 다른 사람으로부터 나 자신이 받고 싶은 것을
자신이 먼저 하는 것 그것이 도덕성의 기초다” => 집단 선택설로 발전

2) 윌리엄 D. 해밀턴 ‘혈연 선택 이론’ : 자연선택의 관점에서 친족의 유전자를 다음 세대에 남기는 것은
본인의 유전자를 남기는 것과 동일한 정도의 이익이다.

3) 도덕적 감정에 대한 이해의 장벽


① ‘도덕성은 인간과 동물을 가르는 명백한 경계선이다.’라는 생각
② 유전자의 선택은 유전자를 전달하는 개체를 통해 발생할 가능성이 훨씬 더 높다는 생각
(자연선택이 집단의 레벨에서 발생한다는 생각 거부)
③ 초기의 인류가 오늘날의 인간보다 더 폭력적이었다고 하는 것을 믿으려하지 않음.
④ 동물이 복잡한 감정, 특히 긍정적인 감정을 가진다고 하는 것이 오류라고 생각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