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정의란 무엇인가 1 장 요약>

정의에 대한 접근법을 제시하고 정의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검토해보도록 함.

 가격폭리 처벌법 – 재난 상황에서 생필품 가격 폭리

찬: 구매의사는 재난 상황에서 생긴 것이기 때문에 비자발적이므로 시장 내 자유로운


교환이 아니라 강탈이다. 구매자의 이중고로 인한 사회적 효용 감소.

반: 수요의 증가로 인한 가격 상승일 뿐. 생산자의 효용 증가. 생산자 유인으로 인한 신속한


재난 복구 가능.

 상이군인 훈장의 요건 – PTSD 같은 정신적 상해도 포함?

찬: 정신적 상해도 일상에 어려움을 줌. 대체 상이군인 훈장이 기리는 미덕이 무엇인가?


정신적 상해도 희생이다.

반: 피를 흘린 것이 요건이 되어야 함. 강인한 정신력을 미덕으로 여기는 군대 문화에서는


정신이 건강했던 사람도 전쟁의 폭력으로 인해 정신적 부상을 입을 수 있음을 부정.

 정의에 대한 3 가지 접근법

1. 복지(;사회적 효용, 행복)의 극대화 - 개인 및 사회의 효용 극대화 중시

 공리주의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중시), 결과 중시

* 이 책에서 ‘복지’의 의미는 welfare 보다는 social utility 에 가까워 보임.

2. 자유의 존중 - 개인의 자유와 권리 존중을 중시

 자유지상(방임)주의(자발성) vs 공정성 중시(평등, 차별 철폐)

3. 미덕의 추구 - 미덕 및 좋은 삶과 연관시켜 판단, 도덕적/종교적 이상 중시

정의를 행복의 합계나 자유보장으로 단순히 설명할 수 없다고 봄.

공동체주의(공동체 구성원의 좋은 삶과 공동선을 중시), 목적 중시

상황에 따라 옳다고 생각되는 판단과 그 판단의 원칙이 달라짐, 상이한 도덕 원칙의 충돌로 인해
도덕적 딜레마가 발생함.

 예시: 트롤리 딜레마(공리주의 vs 절대적 도덕 윤리), 아프가니스탄의 염소 목동(절대적


도덕 윤리 및 종교적 규범 vs 직업 윤리))

도덕적 변증법: 특정 견해 > 근거 > 근거의 원칙 > 반례

도덕적 사고 = 견해와 원칙 사이에서 접점 찾기

플라톤<국가론> 중 동굴의 비유 ; 도덕적 진실은 혼자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여럿이 함께 노력해


얻는 것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