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8

정신병리학

[6차시]

한양사이버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원 상담및임상심리전공


학습목차

1. 우울장애

2. 우울장애 임상양상

3. 우울장애 병인론

학습목표

• 우울장애의 하위유형과 취약요인을 파악할 수 있다.

• 우울장애의 임상양상을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생리적 측면으로 구분한다.

• 우울장애의 병인론을 다양한 이론적 입장에서 설명할 수 있다.

• 우울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역기능적 사고와 인지적 오류를 설명할 수 있다.


1. 우울장애

기분과 기분장애

기분(mood)

• 개인의 생활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감정 상태

• 기분의 고저/변동은 누구나 경험하는 자연스러운 현상

• 기분 : 감정 = 기후 : 날씨 = 지속적 : 일시적

기분장애(mood disorder)

• 정상적 수준의 기분 변화와 달리,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극단적인 양상

• 기분의 지나친 저조 = 우울 삽화(depressive episode)

• 기분의 지나친 고양 = 조증 삽화(manic episode)


1. 우울장애

[출처: http://health.mw.go.kr/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1200]
1. 우울장애

우울장애 하위유형

• DSM-5(2013)의 분류

- 주요 우울장애(Major Depressive Disorder) : 2주 연속, 심각한 우울


- 지속성 우울장애(Persistent Depressive Disorder) : 2년 이상, 경미한 우울
- 월경 전기 불쾌장애(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 파괴적 기분조절곤란장애(Disruptive Mood Dysregulation Disorder)

• 핵심증상은 유사하지만, 우울의 ‘심각성’ 및 ‘지속기간’이 차별됨

• 통칭하여, 흔히 우울증(depression)으로 부르는 경향


1. 우울장애

우울장애 하위유형

• 전통적 분류

- 외인성 우울증 vs. 내인성 우울증


- 단극성 우울증 vs. 양극성 우울증
- 신경증적 우울증 vs. 정신증적 우울증

• 산후 우울증, 계절성 우울증, 가면성 우울증

• 평생 유병률 = 약 20-30%

• 시점 유병률 = 약 5-10%
[출처: http://ko.wikipedia.org/wiki/%EC%9A%B0%EC%9A%B8%EC%A6%9D]
1. 우울장애

취약요인

• 유전적 요인: 부모, 형제, 친척 등이 우울증을 지닌 경우

• 사회적 요인: 친밀한 관계가 빈약한 경우

• 환경적 요인: 부정적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과도한 경우

• 연령적 요인: 청소년기(신체적/심리적 변화, 정서적 동요)

• 성별적 요인: 여성 > 남성

취약성-스트레스 모형(Vulnerability-Stress Model)


: 취약요인 + 촉발사건  우울증
2. 우울장애 임상양상

(1) 정서적 증상

• 일시적으로 우울한 것이 아니라, 우울한 기분이 상당한 기간 동안 지속됨


 우울 삽화(depressive episode) : 2주 vs. 2년

• 우울(憂鬱)
- 슬픔, 불행감, 불만감, 죄책감, 좌절감, 절망감, 공허감, 무력감, 외로움, 고독감
- 흥미 저하, 즐거움 저하, 의욕 저하, 무가치감, 부적절감
- 무표정/무감각한 정서, 눈물, 한숨
- 자극에 대한 반응성 저하
- 일상생활 침체, 대인관계 위축
- 아동/청소년의 경우, 분노, 짜증, 과민, 불안정, 신체증상
= 가면성 우울증(masked depression)
2. 우울장애 임상양상

(2) 인지적 증상

• 부정적/비관적 사고의 증폭
[참고] 황금비율 = 긍정 : 부정 = 1.6 : 1.0

• 주의집중 곤란, 기억력 감퇴, 판단력 저하, 우유부단, 결정지연, 실행곤란

• 죽음/자살에 대한 사고 증가, 삶의 버거움/힘겨움 주목

• 내용(content), 방식(style)의 변화: 수렴적, 초점적, 판단적, 절대적, 당위적

인지삼제(認知三題; cognitive triad) = 자기, 타인/세상, 미래


1. 자기에 대한 부정적 사고: 무능, 열등, 무가치
2. 타인에 대한 부정적 사고: 비정, 냉담, 적대
3. 미래에 대한 부정적 사고: 비관, 절망, 허무
2. 우울장애 임상양상

(3) 행동적 증상

• 착수 곤란: 일을 시작하는 것이 어려움  미루기, 지연시키기

• 유지 곤란: 일을 지속하는 것이 어려움  회피하기, 떠넘기기

• 활력 저하, 생기 저하, 쉽게 지치고 피곤

• 반응속도 저하, 심신운동 지체

• 흥미 상실, 사회활동 회피, 대인관계 위축

• 자기파괴적 행동, 자해행동, 자살사고, 자살계획, 자살시도

성취감(mastery), 즐거움(pleasure)을 느끼기 어려움  우울증의 지속


Q. 우울증의 치료?
A. 성취감,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활동 = 행동활성화(BA: behavioral activation)
2. 우울장애 임상양상

(4) 생리적 증상

• 체중의 변화: 식욕 저하  체중 감소

• 수면의 변화: 수면 곤란  불면증

[참고] 비전형적 양상: 체중 증가, 과다 수면

• 성욕 감퇴, 성기능 저하

• 면역기능 저하, 신체증상 동반

대인관계에 부정적 영향
초기에는 돌봄 유발, 후기에는 거절 유발  우울증 심화
2. 우울장애 임상양상

(5) 연령별 특성

신체적 불편감, 또래관계 위축


아동
짜증, 신경질, 과민성

파괴적/공격적 행동, 섭식장애, 약물남용, 주의집중 곤란


청소년
초조감, 불안감, 친구관계 곤란, 학업성적 저하, 자해행동

인지적 증상 현저
노인
기억력 감퇴, 지남력 장애
3. 우울장애 병인론

(1) 정신분석적 입장

Freud

• 분노가 무의식적으로 자신에게 향해진 현상: 분노의 내향화(inward anger)

• 사랑하던 대상의 무의식적 상실(loss)에 대한 반응: 실제적 + 상징적 상실

• 사랑하던 대상의 상실(예: 사별, 이별, 거절)


 중요한 일부가 상실된 슬픔
 분노의 대상이 사라졌기 때문에, 무의식에 잠복
 분노가 자신에게 향해짐 = 자기비난, 자기파괴, 죄책감/자책감
 자기-가치감 손상, 자아기능 약화
 우울증
3. 우울장애 병인론

(1) 정신분석적 입장

Abraham(1949)

• Q. 분노가 (대상이 아니라) 자신에게 향해지는 이유?

• 어머니 = 사랑의 대상 + 미움의 대상  양가적(ambivalent)

• A. 대상의 상실이 유발하는 반응


: 사랑의 대상이 자신을 버렸다는 생각  분노감
: 미움의 대상을 자신이 해쳤다는 생각  죄책감, 우울감
: 자신의 탐욕  대상의 파괴 = 우울적 자리(depressive position)
3. 우울장애 병인론

(2) 행동주의적 입장

취약성-스트레스 모형

• 우울증은 진공상태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

• 부정적 생활사건 = 스트레스 = Distress + Ustress

주요한 사건 누구라도 큰 좌절감을 경험할 수 있는 충격적 사건


(major) 예) 사망, 질병, 실직, 파산, 구속, 이혼 등

사소한 사건 반복/누적되면 고통을 유발할 수 있는 경미한 사건


(minor) 예) 갈등, 언쟁, 분실, 비난, 불쾌, 불친절, 불이행 등

사회적 지지 삶을 지탱하도록 돕는 심리적/사회적/물질적 지원의 부족


부족 예) 소속감/친밀감/정보/도움/격려의 부족, 궁핍 등
3. 우울장애 병인론

(2) 행동주의적 입장

Lewinsohn(1985): 조작적 조건형성

환경 자체의 문제(예. 처벌적/통제적 양육태도)


긍정적 강화 상실
부정적 생활사건 발생  유쾌감 감소, 불쾌감 증가

사회기술 부족, 대처능력 빈약


강화 유인행동 감소
타인/환경으로부터 강화를 이끌어내지 못함

우울  타인의 돌봄, 관심, 위로를 얻어내는 기능


우울행동 강화
일시적 우울 완화, 장기적 우울 지속

부정적 경험 민감성 + 긍정적 경험 둔감성


선택적 정보처리
반추(rumination) vs. 향유(savoring)
3. 우울장애 병인론

(2) 행동주의적 입장

Coyne(1999): 대인관계 상호작용, 정서적 전염(emotional contagion)

• 우울한 사람은 타인의 관심, 도움, 돌봄을 강요함


 타인에게 부담스럽게 여겨짐
 타인은 오히려 무관심해지고 거리를 두게 됨
 더욱 거부/따돌림 당한 느낌에 사로잡힘
 자신의 부정적 특성을 재확인함
예) “나는 사랑받을 만한 사람이 아니야”
예) “나는 남을 불편하게 만드는 사람이야”
 자기-존중감의 실추
 우울증

[출처: https://www.psychologytoday.com/us/articles/201906/protect-yourself-emotional-contagion]
3. 우울장애 병인론

(2) 행동주의적 입장

Seligman(1975): 학습된 무기력(learned helplessness)

• 피할 수 없는 충격을 경험할 때 동물의 반응  인간의 우울증과 유사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Learned_helplessness]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