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8

DSM-5 진단분류 이해

진단분류의 장점

• 해당 분야의 연구자나 종사자들이 일관성 있게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용어 제공
• 연구자나 임상가에게 효과적인 정보 제공
• 정신장애에 대한 과학적 연구와 이론개발을 위한 기초
제공
• 심리장애를 지닌 환자들 간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인식하는 데 도움
• 치료효과를 예상하고 장애의 진행과정 예측
진단분류의 단점

• 분류나 진단을 통해서 환자의 개인적 정보가 유실되고


환자에 대한 고정관념이 형성
• 환자에게 낙인 부여
• 예후나 치료효과에 대한 선입견을 제공
• 환경적 영향을 무시
• 창조적 사고를 억제
DSM-5 진단분류 체계
DSM-5 의 정신장애 범주들
• 신경발달장애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 정신분열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증적 장애
(Schizophrenia Spectrum and Other Psychotic
Disorders)
• 양극성 및 관련장애 (Bipolar and Related Disorders)
• 우울장애 (Depressive Disorders)
• 불안장애 (Anxiety Disorders)
• 강박 및 관련장애 (Obsessive-Compulsive and Related
Disorders)
• 외상 및 스트레스 사건 관련 장애 (Trauma-and
Stressor-Related Disorders)
• 해리장애 (Dissociative Disorders)
• 신체증상 및 관련장애 (Somatic Symptom and Related
Disorders)
• 급식 및 섭식 장애 (Feeding and Eating Disorders)
DSM-5 의 정신장애 범주들
• 배설장애 (Elimination Disorders)
• 수면 - 각성장애 (Sleep-Wake Disorders)
• 성기능장애 (Sexual Dysfunctions)
• 성 불편증 (Gender Dysphoria)
• 파괴적 , 충동통제 및 품행장애 (Disruptive, Impulse
Control, and Conduct Disorders)
• 물질 - 관련 및 중독장애 (Substance-Related and
Addictive Disorders)
• 신경인지장애 (Neurocognitive Disorders)
• 성격장애 (Personality Disorders)
• 성도착 장애 (Paraphilic Disorders)
• 기타 정신장애 (Other Mental Disorders)
신경발달장애
하위장애 개념
지적장애 지능이 비정상적으로 낮아서 학습 및 사회적 적응에 어려움을
(intellectual disability) 나타내는 경우 . 지능지수가 70 미만으로 현저하게 낮은 경우
의사소통장애
의사소통에 필요한 말이나 언어의 사용에 결함이 있는 경우
(communication disorder)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서 장애를 나타낼 뿐 아니라
자폐스펙트럼 장애
제한된 관심과 흥미를 지니며 상동적인 행동을 반복적으로
(autism spectrum disorders)
나타내는 장애
주의력결핍 / 과잉행동장애 주의집중의 어려움과 더불어 매우 산만하고 부주의한 행동을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나타낼 뿐 아니라 자신의 행동을 적절히 통제하지 못하고
disorder) 충동적인 과잉행동을 나타내는 경우
특정 학습장애 정상적인 지능을 갖추고 있고 정서적인 문제가 없음에도
(specific learning disorder) 불구하고 지능수준에 비하여 현저한 학습부진을 보이는 경우
나이나 지능수준에 비해서 움직임 및 운동능력이 현저하게
운동장애 미숙하거나 부적응적인 움직임을 반복적으로 나타내는 경우로서
(motor disorder) 여러 하위유형으로 구분된다 . 발달성 운동조정장애 , 정형적
동작장애 , 틱장애로 구분된다 .
정신분열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

하위유형 개념
분열형 성격장애
경미한 정신분열 증상이 성격의 일부처럼
(schizotypal personality
지속적으로 나타남
disorder)
망상장애 다른 적응기능은 비교적 온전하지만 망상이
(delusional disorder) 특징적으로 나타남
단기 정신증적 장애
정신분열 증상이 1 개월 이내로 짧게 나타남
(brief psychotic disorder)
정신분열형 장애 정신분열 증상이 1 개월 이상 6 개월 이내로
(schizophreniform disorder) 나타남
조현병 ( 정신분열증 )
정신분열 증상이 6 개월 이상 지속
(schizophrenia)
분열정동장애
정신분열 증상과 양극성 증상이 함께 나타남
(schizoaffective disorder)
양극성 및 관련 장애

하위유형 개념

제 1 형 양극성 장애
조증 삽화가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Bipolar Ⅰ disorder)

제 2 형 양극성 장애
우울증과 더불어 경조증 삽화만 나타나는 경우
(Bipolar Ⅱ disorder)

순환감정장애 조증상태와 우울증 상태가 경미한 형태로 2 년


(Cyclothymic disorder) 이상 지속적으로 나타남
우울장애

하위유형 개념

주요우울장애
심각한 우울증상이 나타남
(major depressive disorder)

지속성 우울장애
(persistent depressive disorder, 경미한 우울증상이 장기적으로 나타남
dysthymia)

월경전기 불쾌장애
월경전에 우울증상이 나타남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파괴적 기분조절곤란장애
(disruptive mood dysregulation 불쾌한 기분을 조절하지 못함
disorder)
불안장애
하위유형 개념

범불안장애 미래에 경험하게 될 다양한 상황에 대해서 과도한


(gerneralized anxiety disorder) 불안과 걱정을 나타냄

특정공포증 특정한 대상 ( 예 : 뱀 , 개 , 거미 ) 이나 상황 ( 예 : 높은
(specific phobia) 곳 , 폭풍 ) 에 대한 공포를 지님

특정한 장소 ( 예 : 쇼핑센터 , 극장 , 운동장 ,


광장공포증 (agoraphobia)
엘리베이터 , 지하철 ) 에 대해서 공포를 느낌

사회불안장애 다른 사람 앞에서 어던 일을 해야할 때 심한 불안과


(social anxiety disorder) 공포를 느낌

갑작스럽게 엄습하는 강렬한 불안과 공포가 주된


공황장애 (panic disorder)
증상임

중요한 애착 대상과 떨어지는 것에 대한 심한 불안을


분리불안장애 (separation anxiety)
나타냄

선택적 무언증
특수한 사회적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말을 하지 않음
(selective mutism)
강박 및 관련 장애

하위유형 개념
강박장애 불안을 유발하는 부적절한 강박사고에
(Obsessive-Compulsive and 집착하면서 불안을 완화시키기 위한 강박행동을
Related Disorders) 반복적으로 나타내는 장애
신체변형장애 신체 일부가 기형적으로 이상하게 생겼다는
(body dysmorphic disorder) 생각에 집착함
저장장애
불필요한 물건을 과도하게 수집하여 보관함
(hoarding disorder)
모발뽑기장애
(trichotilomania, hair-pulling 자신의 머리털을 반복적으로 뽑음
disorder)
피부 벗기기 장애
(excoriation disorder, 자신의 피부를 반복적으로 벗김
skin-picking disorder)
외상 및 스트레스 사건 관련 장애
하위유형 개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외상 사건을 경험하고 나서 그러한 사건에 대한 기억의
(posttraumatic stress 침투 증상과 더불어 회피적 행동이 1 개월 이상 나타나는
disorder) 경우

외상 사건을 경험하고 나서 그러한 사건에 대한 기억의


급성 스트레스 장애
침투 증상과 더불어 회피적 행동이 1 개월 이내로
(acute stress disorder)
나타나는 경우

반응성 애착장애
5 세 이전의 아동이 정서적으로 위축된 상태에서 다른
(reactive attachment
사람과 접촉하는 것을 두려워하고 회피하는 경우
disorder)

탈억제 사회관여장애
아동이 처음 본 어른에게 부적절하게 과도한 친밀감을
(disinhibited social
나타내거나 낯선 사람을 주저없이 따라가려하는 경우
engagement disorder)

분명하게 확인될 수 있는 심리사회적 스트레스 사건 (


적응장애 실연 , 사업의 위기 , 가족갈등 , 새로운 학교로의 진학 ,
(adjustment disorder) 결혼 , 직장에서의 좌절 , 은퇴 등 ) 에 대한 반응으로
부적응적인 감정과 행동을 나타냄
해리장애

하위유형 개념

해리성 기억상실증 자기의 과거를 전부 잊어버리거나 특정 기간


(dissociative amnesia) 동안의 기억을 망각

해리성 정체감 장애 한 사람의 내부에 두 개 이상의 독립적인


(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정체감과 성격을 지님

이인증 / 비현실감 장애
평소와 달리 자신과 주변 현 실에 대해서 매우
(depersonalization/derealization
낯설거나 이상한 느낌을 받음
disorder)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
하위유형 개념

신체증상장애 한 개 이상의 신체적 증상에 과도하게 집착함으로써 심각한


(somatic symptom disorder) 고통과 일상생활의 부적응을 초래하는 경우

실제로 건강에 큰 문제가 없음에도 자신의 몸에 심각한


질병불안장애
질병이 있다는 생각에 집착하며 과도한 불안을 나타내는
(illness anxiety disorder)
경우로서 건강염려증이라고 불리기도 함

전환장애 신경학적 손상을 암시하는 운동기능과 감각기능의 이상을


(conversion disorder) 나타내는 경우를 의미함

신체적 또는 심리적 증상을 의도적으로 만들어 내거나


위장하여 병원에서 환자로 치료받기를 원하는 경우로서
허위성장애 이러한 증상으로 인하여 아무런 현실적 이득 ( 예 : 경제적
(factitious disorder) 보상 , 법적 책임의 회피 등 ) 이 없음이 분명하며 다만 환자
역할을 하려는 심리적 욕구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될 때
이러한 진단이 내려짐
급식 및 섭식 장애
하위유형 개념

체중증가와 비만에 대한 극심한 두려움을 지니고 있어서


신경성 식욕부진증
음식섭취를 현저하게 감소시키거나 거부함으로 써 체중이
(anorexia nervosa)
비정상적으로 저하되는 경우를 뜻함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양을 먹는 폭식행동과 이로 인한
신경성 폭식증
체중증가를 막기 위한 구토 등의 보상행동이 반복되는 경우를
(bulimia nervosa)
말함

폭식장애 신경성 폭식증과 마찬가지로 폭식행동을 나타내지만


(binge eating disrder) 보상행동은 하지 않으며 흔히 과체중이나 비만임
아동기에 흔히 나타나는 부적응적인 급 식장애 중 먹으면
이식증 (pica)
안되는 것 ( 종이 , 천 , 머리카락 , 흙 , 벌레 ) 을 먹는 것

반추장애 아동기에 흔히 나타나는 부적응적 급 식장애 중 음식물을


(rumination disorder) 반복적으로 되씹거나 토해내는 행동을 나타내는 경우

회피적 / 제한적 음식섭취 장애


아동기에 흔히 나타나는 부적응적 급식장애 중 지속적으로
(avoidant/restrictive food intake
먹지 않아 심각한 체중감소가 나타나는 경우
disorder)
배설장애

하위유형 개념

5 세 이상의 아동이 신체적인 이상이 없음에도


유뇨증 (enuresis)
옷이나 침구에 반복적으로 소변을 봄

4 세 이상의 아동이 대변을 적절치 않은 곳 (


유분증 (encopresis)
옷이나 마루 ) 에 반복적으로 배설함
수면 및 각성장애 1

하위유형 개념

자고자 하는 시간에 잠을 이루지 못하거나 밤중에


불면장애 (insomnia disorder)
자주 깨어 1 개월 이상 수면부족상태가 지속

과다수면 장애 충분히 수면을 취했음에도 졸린 상태가 지속되거나


(hypersomnolence disorder) 지나치게 많은 잠을 자게 되는 경우

주간에 갑자기 근육이 풀리고 힘이 빠지면서 참을 수


수면발작증 (narcolepsy)
없는 졸림으로 인해 부적절한 상황에서 수면상태에
-기면증
빠지게 되는 경우

호흡 관련 수면장애
수면 중 자주 호흡곤란이 나타나 수면에 방해를 받게
(breathing-related sleep
되는 호흡 관련 수면장애
disorder)
수면 및 각성장애 2
하위유형 개념

일주기 리듬 수면 - 각성 장애 야간근무로 인해 낮에 수면을 취해야 하는 경우처럼 평소의


(circadian rhythm sleep-wake 수면주기와 맞지 않는 수면상황에서 수면에 곤란을 경험하게
disorder) 되는 경우

비 REM 수면 - 각성 장애
수면중에 잠자리에서 일어나 걸어다니거나 자율신경계의
(non-REM sleep arousal disorder)
흥분과 더불어 강렬한 공포를 느껴 자주 잠에서 깨어나는 경우
– 몽유병

악몽장애 (nightmare disorder) 수면 중에 무서운 악몽을 꾸게 되어 자주 깨어남

REM 수면 행동장애 REM 수면기간에 소리를 내거나 옆 사람을 다치게 할 수 있는


(REM sleep behavior disorder) 움직임을 반복적으로 나타냄

초조성 다리 증후군 다리에 불쾌한 감각을 느껴 다리를 움직이고자 하는 충동을


(restless legs syndrome) 반복적으로 느낌

물질 / 약물 유도성 수면장애
약물의 중독이나 금단증상으로 인해 심각한 수면장애가
(substance/medication-induced
나타남
sleep disorder)
성기능 장애

하위유형 개념

남성 성욕감퇴 장애
(male hypoactive sexual desire 최소한 6 개월 이상 성적인 욕구를 지속적으로 느끼지 못함
disorder)

발기장애 (erectile disorder) 성적 활동을 하는 동안 발기에 어려움을 겪게 됨


성행위 시에 너무 일찍 또는 자신이 원하기 전에 사정을 하게
조루증 (premature ejaculation)

지루증 (delayed ejaculation) 성행위 시에 사정이 되지 않거나 현저하게 지연됨
여성 성적관심 / 흥분 장애
성적 활동에 대한 관심이 현저하게 저하될 뿐 아니라 성행위
(female sexual interest/arousal
시에 성적인 흥분이 적절하게 일어나지 않음
disorder)

여성 절정감 장애
여성이 성행위 시에 절정감을 경험하지 못함
(female orgasmic disorder)

생식기 - 골반 통증 / 삽입장애
(genito-pelvic pain/penetration 성행위 시에 생식기나 골반에 현저한 통증을 경험함
disorder)
성 불편증

성 불편증 (Gender Dysphoria): 자신에게 주어진 생물학적 성과 자

신이 경험하고 표현하는 성 행동 간의 현저한 괴리로 인해서 심한

고통과 사회적 적응곤란을 나타내는 경우


파괴적 , 충동통제 및 품행장애
하위유형 개념
적대적 반항장애 - 분노 , 논쟁 , 복수 어떤 사람과의 상호작용에서 화를 잘 내고 논쟁적이거나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도전적이며 앙심을 품고 악의에 찬 행동을 나타내는 경우
난폭하고 잔인한 행동 , 기물파괴 , 도둑질 , 거짓말 , 가출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사회적 규범을 위반하는
품행장애 (conduct disorder)
행 동 을 지 속 적 으 로 나 타 내 는 경 우 로 청 소년 들이 흔 히
나타내는 비행행동
반사회적 성격장애 성인의 경우 사회적 규범이나 타인의 권리를 무시하는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행동양상을 반복적으로 나타내는 경우
간헐적 폭발성 장애 공격적 충동이 조절 되지 않아 심각한 파괴적 행동으로
(intermittent explosive disorder) 나타남 . 아주 드물게 나타남 . 그러나 중독의 위험 .
남의 물건을 훔치고 싶은 충동을 참지 못해 반복적으로
도벽증 (kleptomania)
도둑질을 하게 되는 경우
불을 지르고 싶은 충동을 조절하지 못해 반복적으로 방화를
방화증 (pyromania)
하게 되는 경우
물질 - 관련 및 중독장애

하위유형 개념 및 하위유형
중독성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물질 사용 장애 (substance use
생겨나는 다양한 부적응적 증상을
disorder)
포함한다 .
물 질 중 독 (substance
물질장애 intoxication)
물질유도성 장애 물질 금단 (substance withdrawal)
(substacne-induced disorders) 물질 / 약물 유도성 정신장애
(substance/medication-induced
mental disorders)
12 개월 이상 지속적인 도박
더 많은 돈을 거는 행위 ,
비물질 장애 도박장애
도박에의 집착 , 반복적인
거짓말
신경인지장애

하위유형 개념

주요 신경인지 장애 주의 , 실행기능 , 학습 및 기업 , 언어 , 지각 - 운동 ,
(major neurocognitive 사회적 인지를 포함하여 인지기능이 과거에 비해
disorder) 현저하게 저하되는 경우

경도 신경인지장애 인지기능이 경미하게 나타남 . 뇌 손상 , 알츠하이머


(minor neurocognitive 질환 , 뇌혈관 질환 , 충격에 의한 뇌 손상 , HIV
disorder) 감염 , 파킨슨 질환에 의해 야기

섬망 의식의 혼미 , 주의집중 및 전환능력의 조상 , 기억 ,


(delirium) 언어 , 현실판단의 장애
성격장애

하위유형 개념

기이하고 괴상한 행동특성을 나타내는 성격장애로


A 군 성격장애
편집성 성격장애 , 분열성 성격장애 , 분열형
(A cluster)
성격장애가 있다 .

극적이고 감정적이며 변화가 많은 행동이 특징으로 ,


B 군 성격장애 반사회성 성격장애 , 연극성 성격장애 , 경계선
(B cluster) 성격장애 , 경계선 성격장애 , 자기애적 성격장애가
있다 .
불안과 두려움을 지속적으로 경험하는 특징이
C 군 성격장애
있으며 , 회피성 성격장애 , 의존성 성격장애 ,
(C cluster)
강박성 성격장애가 있다 .
성도착 장애 1

하위유형 개념

다른 사람이 옷을 벗고 있거나 성행위를 하고


관음장애
있 는 모 습 을 몰 래 훔 쳐 봄으로써 성적 흥분을
(voyeuristic disorder)
경험

노출장애 자신의 성기를 낯선 사람에게 노출시킴으로써


(exhibitionistic disorder) 성적 흥분을 경험

접촉마찰 장애 원하지 않는 상대방에게 몸을 접촉하여


(frotteuristic disorder) 문지름으로써 성적 흥분을 경험

성적 피학 장애 상대방으로부터 고통이나 굴욕감을 받음으로써


(sexual masochism disorder) 성적 흥분을 경험
성도착 장애 2

하위유형 개념

성적 가학 장애 상대방에게 고통이나 굴욕감을 느끼게 함으로써


(sexual sadism disorder) 성적 흥분을 경험

아동성애 장애 사춘기 이전의 아동 ( 보통 13 세 이하 ) 를 상대로


(pedophilic disorder) 한 성행위를 통해 성적 흥분을 경험

성애물 장애 무생물 ( 여성의 옷 등 ) 에 대해서 성적 흥분을


(fetishistic disorder) 경험

의상전환장애
이성의 옷을 입음으로써 성적 흥분을 경험
(transvestic disorder
정신분열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

하위유형 개념
분열형 성격장애
경미한 정신분열 증상이 성격의 일부처럼
(schizotypal personality
지속적으로 나타남
disorder)
망상장애 다른 적응기능은 비교적 온전하지만 망상이
(delusional disorder) 특징적으로 나타남
단기 정신증적 장애
정신분열 증상이 1 개월 이내로 짧게 나타남
(brief psychotic disorder)
정신분열형 장애 정신분열 증상이 1 개월 이상 6 개월 이내로
(schizophreniform disorder) 나타남
조현병 ( 정신분열증 )
정신분열 증상이 6 개월 이상 지속
(schizophrenia)
분열정동장애
정신분열 증상과 양극성 증상이 함께 나타남
(schizoaffective disorder)
불안장애

가톨릭관동대학교
고재욱교수
1. 불안의 개념
 불안 (anxiety):
“ 마음이 편하지 아니하고 조마조마함 , 분위기 따위가
술렁거리어 뒤숭숭함 , 그리고 몸이 편안하지 아니함 , 마음에
미안함 , 특정한 대상이 없이 막연히 나타나는 불쾌한 정서적
상태 , 안도감이나 확신이 상실된 심리 상태”

 인지적 요소 - 불안에 의해 주관적 고통을 경험하는 것

 생리적 요소
 말초신경계의 자율신경계와 관련
 심장박동이 빨라지고 , 혈압이 상승하고 , 말초기관에서 피의 흐름이
감소하면서 손발이 차거나 오싹함을 느낌
 식욕부진 , 소화불량 , 입마름 , 두통 , 과호흡 등 기타 신체적 증상

 불안의 행동적 요소
 불안할 때에 나타나는 행동들로 , 얼굴 표정이 굳어지거나 ,
안절부절못하고 초조해하거나 , 불안을 일으키는 상황을 회피하는 행동이
나타나는 것

30
2. 불안장애
 불안장애 (Anxiety Disorders) 는 과도한 공포와 불안 및
관련된 행동적 장애들의 특징을 공유하는 장애들을
포함

 DSM-5 에서는 불안장애에


분리불안 장애 (Separation Anxiety Disorder),
선택적 함구증 (Selective Mutism),
특정공포증 (Specific Phobia),
사회불안 장애 ( 사회공포증 )[Social Anxiety
Disorder(Social Phobia)],
공황장애 (Panic Disorder),
광장공포증 (Agoraphobia),
범불안장애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가 포함

31
2. 불안장애
1) 분리불안 장애
 애착 대상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에 대해 심한 두려움과 고통을 겪는 것
 주된 애착 대상을 뜻밖의 사고로 잃거나 애착 대상과 분리되는 것에 대해
지속적이고 과도한 걱정을 하며 , 애착 대상과 떨어지는 데 대한
두려움으로 집이 아닌 다른 장소에 가는 것도 꺼림
 애착 대상과의 분리나 이별이 일어나거나 예상될 때 , 두통이나 구토와
같은 신체적 증상들이 나타날 수도 있음

 DSM-5 의 분리불안 장애 진단기준


A. 적어도 다음 중 세 가지로 입증되듯이 , 개인이 애착을 느끼는 대상과
떨어지는 것에 발달적으로 부적절하게 과도한 두려움이나 불안을 느낌
1. 집 또는 주된 애착 대상과의 분리를 경험하거나 분리가 예상될 때
반복되는 과도한 불안
2. 주된 애착 대상을 잃거나 그 대상에게 나타날 수 있는 질병 , 부상 ,
재난 또는 죽음과 같은 해로운 일에 대한 지속적이고 과도한 걱정
3. 뜻밖의 불행한 사고 ( 예시 : 길을 잃거나 유괴되거나 , 사고를 당하거나 , 아프게 되는 것 ) 로 주된 애착
대상과 분리되는 것에 대한 지속적이고 과도한 걱정

32
2. 불안장애
4. 분리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집을 떠나 학교 , 직장 또는 다른 곳에
나가는 것에 대한 지속적인 꺼림 또는 거부
5. 혼자 있거나 주된 애착 대상 없이 집 또는 다른 환경에 있는 것에 대한
지속적이고 과도한 두려움 또는 꺼림
6. 집을 떠나 숙박하거나 주된 애착 대상과 가까이 있지 않은 채 잠드는
것에 대한 지속적인 꺼림 또는 거부
7. 분리의 주제 (theme) 에 관련한 반복적 악몽
8. 주된 애착 대상과의 분리가 발생하거나 예상될 때 , 신체적 증상들 ( 예시 :
두통 , 복통 , 메스꺼움 , 구토 ) 에 대한 반복적인 불평들

B. 두려움 , 불안 및 기피가 아동 · 청소년에게는 적어도 4 주 동안 ,


성인에게는 일반적으로 6 개월 이상 지속됨
C. 장애는 사회적 · 학습적 · 직업적 또는 기타 중요한 영역의 기능에서
임상적으로 중요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함
D. 장애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서 변화에 대한 과도한 저항 때문에 집을
떠나는 것을 거부하는 것 , 정신병적 장애에서 분리에 관한 망상 또는
환각 , 광장공포증에서 믿을 수 있는 동행 없이 나가는 것에 대한 거부 ,
일반적 불안장애에서 나쁜 건강 또는 중요한 다른 사람들에게 다른 해가
닥칠까봐 걱정하는 것 , 질병 불안장애 (Illness Anxiety Disorder) 에서
질병을 가졌을까 봐 걱정하는 것과 같이 다른 정신장애에 의해 더 잘
설명되지 않음

33
2. 불안장애
< 사례 9-2>
선택적 함구증

초등학교 3 학년인 문 군은 학교에서 말을 하지 않는다는 문제로 아동복지관을 찾았다 . 취학


전까지 어린이집에서는 친구들과 대화가 가능했고 , 얼굴이 익숙한 성인과도 의사소통에는
문제가 없었다 . 집에서는 부모 , 형제와 정상적으로 대화를 하며 아무런 문제를 보이지 않았다 .
집에 있을 때 , 문 군은 주로 동생과 시간을 보내고 어울렸다 .
문 군은 초등학교 1 학년 때에는 담임교사와 충분한 의사소통은 없었지만 , 친구들과 잘
어울리고 또래집단 속에서의 대화가 잘 이루어졌었다 . 1 학년 때 문 군의 담임교사는 문 군과는
충분한 대화는 어렵지만 , 가끔씩 “예 .” “ 아니요 .” 와 같은 말은 한다고 하였다 . 그런데 전학을
온 2 학년 때부터 교사뿐만 아니라 친구들과 의사소통이 거의 없게 되었다 . 3 학년이 되어서는
4 개월이 지나도록 다른 또래 친구들이나 담임교사와는 전혀 말을 하지 않았고 , 눈을
마주치기를 피하였다 . 또한 , 소극적이고 내성적인 성격으로 자기 자신의 의견이나 감정을
표현하거나 나타내지 않았다 . 문 군은 혼자만의 생각에 멍하니 빠질 때가 많았다 .
문 군은 온순한 성격을 가졌으나 , 의사소통이 차단되어서 입술 주위 근육에 늘 힘이 들어가고
입술을 굳게 다물고 있다 . 학습 상태는 기초학습능력은 보통이고 수동적이다 . 또래학습 ,
협동학습 시 단순한 활동에는 참여하나 의사표현 , 역할극 등 적극적인 활동 참여 부분에서는
움츠러들고 거의 하지 않았다 .

34
2. 불안장애
3) 특정공포증
 인식할 수 있는 명확한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현저하고도 지속적인 두려움을 갖는
장애
 동물형 : 동물이나 곤충을 두려워함
 자연환경형 : 높은 곳 , 천둥이나 폭풍 등 자연환경을 두려워함
 혈액 - 주사 - 손상형 : 피를 보거나 주사를 맞는 것과 같은 신체적 손상을 두려워함
 상황형 : 비행기나 승강기 안 또는 폐쇄된 공간과 같은 특정 상황을 두려워함
 기타형 : 두려움이 기타 자극에 의해 촉발되는 경우로서 , 질식이나 구토가 유발될
수 있는 상황이나 , 큰 소리나 분장한 인물에 대한 아동들의 두려움이 여기에 해당
 DSM-5 의 특정공포증 진단기준
A. 특정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현저한 공포나 불안 ( 예시 : 비행 , 높은 곳 , 동물 , 주사 맞는 것 , 피를 보는 것 )
주 : 아동의 경우 두려움이나 불안이 울기 , 짜증 , 얼어붙음 , 매달리기로 표현될 수 있음

B. 공포증이 있는 물체 또는 상황은 거의 항상 즉각적 두려움이나 불안이 유발됨


C. 공포증이 있는 물체 또는 상황을 적극적으로 피하거나 , 극심한 두려움이나
불안을 갖고 견딤
D. 공포나 불안감이 특정 물체나 상황에 의해 제기된 실제 위험이나 사회문화적
문맥에 비해 너무 큼

35
2. 불안장애
E. 공포 , 불안감 , 회피가 지속되며 , 보통 6 개월 이상 계속됨
F. 공포 , 불안감 , 회피가 임상적으로 큰 고통이나 사회적 · 직업적
또는 기타 중요한 영역의 기능에서 손상을 야기함
G. 장애는 두려움 , 불안 , 공황발작과 같은 증상들과 연관된
상황의 회피나 다른 무력화하는 증상들 ( 광장공포증에서처럼 ), 강박증에
관련된 물체들이나 상황들 ( 강박장애에서처럼 ), 정신적 외상을 초래하는
사건들을 생각나게 하는 것들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서처럼 ), 집이나 애착
대상으로부터의 분리 ( 분리불안 장애에서처럼 ), 또는 사회적 상황들 ( 사회불안
장애에서처럼 ) 을 포함한 다른 정신병적 장애의 증상들에 의해 더 잘

설명되지 않음
만약 해당된다면 명시할 것 :
공포 자극들을 바탕으로 부호화함
동물형 ( 예시 : 거미 , 곤충 , 개 )
자연환경형 ( 예시 : 높은 곳 , 폭풍 , 물 )
혈액 - 주사 - 손상형 ( 예시 : 주사 , 외과적 의학 절차 )
상황형 ( 예시 : 비행기 , 승강기 , 폐쇄된 장소 )
기타형 ( 예시 : 질식이나 구토가 유발될 수 있는 상황 , 아동의 경우 큰 소리나 분장한 인물 )

36
2. 불안장애
4) 사회불안 장애 ( 사회공포증 )
 다른 사람을 만나거나 다른 사람들 앞에서 무엇인가를 하고자
할 때 연설뿐 아니라 비공식적 소집단에서의 담화까지도
두려워하는 장애

 DSM-5 의 사회불안 장애 진단기준


A. 다른 사람이 개인을 유심히 볼 가능성이 있는 한 가지
이상의 사회적 상황에 대한 뚜렷한 두려움 또는 불안 .
예시들은 사회적 상호작용 ( 예시 : 대화를 하거나 , 낯선 사람을 만남 ), 관찰되는 것
( 예시 : 먹거나 마시는 것 ), 다른 사람 앞에서 행동하는 것 ( 예시 : 연설하기 ) 을
포함함
주 : 아동의 경우 불안함은 또래와의 환경에서 일어나야 하며 , 성인과의 상호작용 중에서만 나타나서는 안 됨

B. 부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는 방식으로 행동하거나 부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는 불안 증상들을 나타내는 것을 두려워함 ( 예시 :
수치스럽거나 당황스러울 것임 , 거부당하거나 다른 사람들을 불쾌하게 할 것임 )

C. 사회적 상황은 거의 항상 즉각적 두려움이나 불안을 유발함


주 : 아동의 경우 두려움이나 불안이 울기 , 짜증 , 얼어붙음 , 매달리기 , 움츠러들기 또는 사회적 상황에서 말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표현될 수 있음

37
2. 불안장애
D. 사회적 상황들을 피하거나 , 극심한 두려움이나 불안을 갖고
견딤
E. 공포나 불안감이 사회적 상황에 의해 제기된 실제 위험이나
사회문화적 문맥에 비해 너무 큼
F. 공포 , 불안감 , 회피가 지속되며 , 보통 6 개월 이상 계속됨
G. 공포 , 불안감 , 회피가 임상적으로 큰 고통이나 사회적 · 직업적
또는 기타 중요한 영역의 기능에서 손상을 야기함
H. 두려움 , 불안 , 회피는 물질 ( 예시 : 약물남용 , 약물복용 ) 이나 다른 의학적
상태의 직접적인 생리적 효과에 의한 것이 아님
I. 두려움 , 불안 , 회피는 공황장애 , 신체변형장애 또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 같은 다른 정신장애의 증상들에 의해 더 잘
설명되지 않음
J. 다른 의학적 상태 ( 예시 : 파킨슨 병 , 비만 , 화상 , 부상에 의한 외모 손상 ) 가 있다면 , 두려움 ,
불안 , 회피가 이와 확실히 상관이 없거나 과도함
만약 해당한다면 명시할 것 :
단지 수행만 해당함 (Performance only): 두려움이 대중 앞에서
말을 하거나 수행하는 것에 제한됨

38
2. 불안장애
5) 공황장애
공황장애 (Panic Disorder)
 예기치 못한 심한 공황발작 (panic attack) 을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장애
 추가적 공황발작이 일어나는 것에 대해서 , 또한 공황발작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결과에 대해서 지속적인 염려나 걱정을 함
 이러한 공황발작을 피하기 위해 여러 심각한 부적응적
행동변화를 보이는 특징

공황발작
 예기치 못한 갑작스러운 두려움이 몰려오는데 그 두려움이
너무 극심해서 견디기 힘든 상황에까지 이르는 경험
 가슴이 두근거림 , 심장의 두근거림 또는 심장박동 수의 증가 ,
땀 흘림 , 떨림 혹은 동요 , 숨 가쁜 느낌 또는 숨 막히는 감각
등과 같은 증상을 동반

39
2. 불안장애
5) 공황장애
 DSM-5 의 공황장애 진단기준
A. 예기치 못한 반복적인 공황발작들 . 공황발작은 몇 분 안에 최고조에
달하는 극심한 두려움이나 불편함이 갑작스럽게 밀려드는 것으로 , 그
시간 동안에 다음의 증상들 중에서 네 가지 이상이 발생함
주 : 갑작스러운 동요는 차분한 상태 또는 불안한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음

1. 가슴이 두근거림 , 심장의 두근거림 또는 심장박동 수의 증가


2. 땀 흘림
3. 떨림 혹은 동요
4. 숨 가쁜 느낌 또는 숨 막히는 감각
5. 질식감
6. 흉부 통증 또는 불쾌감
7. 메스꺼움 또는 복부 고통
8. 어지럽거나 불안정하거나 , 머리가 띵하거나 또는 기절할 것 같은
느낌
9. 오한 또는 열감
10. 감각이상 ( 마비 또는 얼얼한 감각 )
11. 현실감 상실 ( 비현실감 ) 혹은 이인감 ( 자기 자신과 분리됨 )

40
2. 불안장애
12. 자제력 상실 또는‘정신이 이상해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
13. 죽음에 대한 두려움
주 : 문화적 특유의 증상들 ( 이명 , 목 통증 , 두통 , 통제할 수 없는 비명 지르기나 울기 ) 이 나타날 수 있음 . 이러한
증상들은 요구되는 네 가지 증상들의 하나로 간주되어서는 안 됨

B. 발작들 중 적어도 한 가지 이후에 다음 둘 중 하나가 1 개월


( 또는 그 이상 ) 동안 나타남

1. 추가적 공황발작들 또는 그 결과들 ( 통제력을 잃거나 , 심장마비를 겪거나 , ‘ 정신이


이상해지는 것’ ) 에 대한 지속적 염려나 걱정

2. 발작과 관련된 심각한 부적응적인 행동변화들 ( 예시 : 운동이나 낯선


상황을 회피하는 것과 같은 , 공황발작을 피하기 위해 의도된 행동 )

C. 장애는 물질 ( 예시 : 약물남용 , 약물치료 ) 이나 다른 의학적 상태 ( 예시 : 갑상선기능


항진증 , 심폐장애 ) 의 생리학적 영향에 기인하지 않음

D. 장애는 다른 정신장애 ( 예시 : 사회불안 장애에서처럼 두려워하는 사회적 상황들에만 반응하거나 ,


특정공포증에서처럼 공포증의 물체나 상황들에 국한되어 반응하거나 , 강박장애에서처럼 강박증에 반응하거나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서처럼 정신적 외상적 사건들을 상기시키는 것에 반응하거나 , 분리불안 장애에서처럼 애착 대상으로부터의
분리에 반응하여 공황발작이 일어나지 않음 ) 에 의해 더 잘 설명되지 않음

41
2. 불안장애
< 사례 9-3>
공황장애

38 세의 건강한 회사원인 강 씨는 이직 후에 회사일로 바쁘게


지내던 중에 , 회사에서 갑자기 현기증이 나면서 숨이 차고 가슴이
답답해지는 것을 느꼈다 . 잠시 넥타이를 풀고 심호흡을 해
보았으나 , 숨이 더 가빠지는 것은 물론 심장까지 격렬히 요동치는
것 같고 , 금방이라도 질식해서 죽을 것 같았다 . 심장이 터질 것
같다는 생각과 함께 , 강 씨는 죽을 것 같다는 극심한 두려움에
휩싸였다 . 급히 병원 응급실로 갔으나 곧 증상이 약해졌고 ,
병원에서는 별 이상이 없다고 하였다 . 그러나 계속해서 이와 같은
경험은 반복되었고 , 원인을 알 수 없는 신체적 증상과 극심한
두려움에 강 씨는 점점 예민해졌으며 , 다시 이러한 발작이
일어날까 봐 불안해하였다 . 맡은 일도 제대로 할 수 없게 되고 ,
모든 일이나 취미생활에도 의욕을 잃었다 .

42
2. 불안장애
6) 광장공포증
 즉각적으로 피하기 어려운 장소나 상황에 처하는 것에 대해 두려움을
보이는 장애

 DSM-5 의 광장공포증 진단기준


A. 다음 다섯 가지 상황들 중에서 두 가지 ( 또는 그 이상 ) 에 대한 뚜렷한 공포나
불안
1. 대중교통 이용하기 ( 예시 : 자동차 , 버스 , 기차 , 배 , 비행기 )
2. 개방된 공간에 있기 ( 예시 : 주차장 , 장터 , 다리 )
3. 폐쇄된 공간에 있기 ( 예시 : 상점 , 극장 , 영화관 )
4. 줄 서기 또는 군중 속에 있기
5. 집 밖에 홀로 있기
B. 피하기 어렵거나 , 공황과 유사한 증상 또는 다른 무력하게 하거나
당황스러운 증상들 ( 예시 : 노인의 경우 넘어지는 것에 대한 공포 , 대소변의 실금에 대한 공포 ) 이 발생한 경우에
도움을 받기 어려울 것이라는 생각들 때문에 이러한 상황들을
두려워하거나 회피함
C. 광장공포증의 상황들은 거의 항상 공포나 불안을 유발함

43
2. 불안장애
D. 광장공포증의 상황들을 적극적으로 회피하거나 , 동반자를
필요로 하거나 , 극심한 공포나 불안을 견딤
E. 공포나 불안감이 광장공포증의 상황들에 의해 제기된 실제
위험이나 사회문화적 맥락에 비해 너무 큼
F. 공포 , 불안감 , 회피가 지속되며 , 보통 6 개월 이상 계속됨
G. 공포 , 불안감 , 회피가 임상적으로 큰 고통이나 사회적 · 직업적
또는 기타 중요한 영역의 기능에서 손상을 야기함
H. 다른 의학적 상태가 존재한다면 , 공포 , 불안 , 회피가 명백하게
과도함
I. 공포 , 불안 , 회피는 다른 정신장애들의 증상들에 의해 더 잘
설명되지 않음 . 예를 들어 , 증상들은 특정공포증의 상황형에
국한되지 않으며 , 사회적 상황에만 연관되지 않으며 ( 사회불안 장애에서처
럼 ), 강박증 ( 강박장애에서처럼 ), 신체적 외모에서의 인지된 결점이나 결함 (

신체변형장애에서처럼 ), 정신적 외상을 초래한 사건들을 상기시키는 것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서처럼 ), 분리에 대한 공포 ( 분리불안 장애에서처럼 ) 에만 오로지

관련되지도 않음
주 : 광장공포증은 공황장애와는 상관없이 진단됨 . 만약 개인이 공황장애와 광장공포증에 대한 기준에 부합한다면 , 두 진단 모두
내려져야 함

44
2. 불안장애
< 사례 9-4>
광장공포증

20 대 후반 여성인 박 씨는 사람이 많고 넓은 장소에 가는 것을 매우 두려워한다 . 1


년 전에 혼자 백화점에서 쇼핑을 하던 중에 갑자기 머리가 어지럽고 , 속이
울렁거리며 , 자신을 통제하지 못하고 큰 소리를 지르고 발버둥 치는 행동을 할 것
같은 극심한 불안감을 경험하였다 . 남자 친구와 함께 나가기도 해 봤으나 ,
쇼핑센터에 들어가는 순간부터 공포감이 밀려와 즉시 돌아왔다 . 그 이후에는
전철이나 버스와 같이 사람이 많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도 싫어하였다 .
오늘 박 씨는 친구와 약속이 있어 오랜만에 나왔다 . 버스를 타야 하지만 공포감이
밀려오기 시작했다 . 박 씨는 셔츠 밑에서 땀이 등을 타고 내리는 것이 느껴졌다 .
숨이 가빠지면서 메스꺼움이 훅 올라와 벤치에 앉아 손으로 머리를 잡고 어지러움을
이기려고 안간힘을 썼다 . 버스가 오자 , 박 씨는 떨기 시작하였고 , 급기야는
전율하며 심장이 뛰기 시작하였다 . 박 씨는 다리를 간신히 움직여 체중을
지탱하면서 버스에 몸을 실었다 . 버스는 사람들로 만원이었고 , 통로는 좁았다 .
통로가 눈앞에서 돌고 있는 듯하여 박 씨는 손잡이를 꽉 부여잡았다 . 박 씨는 여기서
빠져나가야 한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았고 , 공포감에 사로잡혀 버스에서 급박하게
내리지 않을 수 없었다 .

45
2. 불안장애
7) 범불안장애
 범불안장애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는 일상적인 삶 속에서
만성적이고 지속적으로 불안해하는 증상을 가지며 , 생활 전반의 여러
가지 사건이나 활동에 대해 지나친 불안을 느끼거나 걱정을 하는 장애

 DSM-5 의 범불안장애 진단기준


A. 적어도 6 개월 동안 , 여러 사건들과 활동들 ( 직장 또는 학교 수행과
같은 ) 에 대한 과도한 불안과 걱정 ( 우려하는 예상 ) 이 나타난
날들이 그렇지 않은 날보다 더 많이 있음
B. 걱정을 통제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을 알고 있음
C. 불안과 걱정은 다음 여섯 가지 증상들 ( 지난 6 개월 동안 적어도
몇몇 증상들이 나타난 날들이 안 나타난 날보다 더 많음 ) 중에서 세
가지 ( 또는 그 이상 ) 와 연관됨
주 : 아동의 경우 단지 한 가지 항목만 요구됨
1. 안절부절못함 또는 긴장되거나 신경이 곤두선 느낌
2. 쉽게 피로해짐

46
2. 불안장애
3. 주의집중 곤란이나 정신이 멍해지는 느낌
4. 자극과민성
5. 근육긴장
6. 수면장애 ( 잠이 들거나 잠자는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움 , 제대로
잠들지 못하고 불만족스러운 수면 )
D. 불안함 , 걱정 , 신체증상이 임상적으로 심각한 고통이나 사회적 ·
직업적 또는 기타 중요한 영역의 기능에서 손상을 야기함
E. 장애는 물질 ( 예시 : 약물남용 , 약물치료 ) 이나 다른 의학적 상태
( 예시 : 갑상선기능 항진증 ) 의 생리학적 영향에 기인하지 않음
F. 장애는 다른 정신장애 [ 예시 : 공황장애에서 공황발작이 일어나는
것에 대한 불안이나 걱정 , 사회불안 장애 ( 사회공포증 ) 에서
부정적인 평가 , 강박장애에서 오염이나 강박증 , 분리불안 장애에서
애착 대상으로부터의 분리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서 정신적
외상적 사건들을 상기시키는 것 , 거식증에서 살찌는 것 , 신체증상
장애에서 신체적 통증 , 신체변형장애에서 신체적 외모 결함 , 질병
불안장애에서 심각한 질환이 있는 것 , 정신분열증 또는
망상장애에서 망상적인 생각의 내용 ] 에 의해 더 잘 설명되지 않음

47
2. 불안장애
< 사례 9-5>
범불안장애

40 대 주부인 오 씨는 왠지 늘 불안하고 초조하다 . 무언가 불길한 일이 벌어질 것


같은 막연한 불안감을 자주 느끼며 여러 가지 일로 걱정이 많다 . 남편이 운전 중에
사고를 당하지 않을까 , 아들이 학교에서 공부를 열심히 하고 있을까 , 연로한
친정어머니가 병들어 아프지는 않을까 , 이웃이 자신을 싫어하지 않을까 , 도둑이나
강도가 들지 않을까 하는 걱정을 비롯하여 , 사소하게는 음식이 너무 짜지는 않은지 ,
가전제품이 망가지지는 않는지 , 쓸데없는 물건을 산 것은 아닌지 등 일상생활
전반에 대해서 걱정이 많다 . 오 씨는 이런 걱정이 불필요하고 과도하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 막연한 불안감에 걱정을 멈출 수 없어 늘 초조하고 안절부절못하였다 .
이렇게 항상 긴장 상태에 있게 되니 , 불안감으로 하루하루가 피곤하고 고통스러웠
다.

48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