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6

DSM-5 제 15 강 .

양극성 및 관련 장애 (Bipolar and Related Disorders)

- 양극성 및 관련장애는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와 우울장애 간의 증상 , 가족력 , 그리고


유전적인 측면을 재평가하여 DSM-5 에서 우울장애로부터 분리되었고 ,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와 우울장애 사이로 배치되었다 .
- 제Ⅰ형 양극장애는 우울삽화와 조증 또는 우울삽화와 경조증삽화가 번갈아 반복된다 .
- 제 Ⅱ형 양극장애는 우울삽화와 경조증삽화가 번갈아 반복된다 .
- 제Ⅰ형 양극성 장애는 약 70% 로 우울증으로 시작하며 , 재발을 잘한다 . 대략 10~20% 의 환자는
단지 조증 삽화만을 경험하지만 나머지 환자들은 일생 동안 조증과 우울증 삽화 모두를 경험한다 .
- 처음에 우울증 진단을 받은 환자 중에 어린 나이에 발병하였거나 , 수면 과다 증상이 있었던 경우 ,
양극성 장애 가족력이 있는 경우는 나중에 조증 삽화가 나타나서 진단이 주요 우울증에서
양극성 장애로 바뀔 가능성이 많다 .
양극성장애 (Bipolar and Related Disorders)

양극성장애 ( 조울증 ) 은 평생 1 번 이상의 경조증삽화 또는 조증삽화를


경험하 ) 는 경우 양극성장애로 진단하며 , 조증삽화를 경험한 경우 제Ⅰ형
양극성장애 , 경조증삽화를 경험한 경우 제Ⅱ형 양극성장애로 구분한다 .
제Ⅰ형 양극성 장애

조증 삽화
A. 비정상적으로 들뜨거나 , 의기양양하거나 , 과민한 기분 , 그리고 목표지향적 활동과
에너지 증가가 일주일간 거의 매일 , 하루 중 대부분 지속 되는 분명한
기간이 있다 .
B. 기분 장애 및 증가된 에너지와 활동을 보이는 기간 중 다음 증상 가운데
3 가지 이상을 보이며 , 평소 모습에 비해 변화가 뚜렷하고 심각한 정도로 나타난다 .
1. 자존감의 증가 또는 과대감
2. 수면에 대한 욕구 감소 ( 단 , 3 시간 정도의 수면으로도 충분하다고 느낌 )
3. 평소보다 말이 많아지거나 끊기 어려울 정도로 계속 말을 함
4. 사고의 비약 , 사고가 질주하듯 빠른 속도로 꼬리를 무는 듯한 주관적 경험
조증 삽화

B. 5. 주관적으로 보고되거나 객관적으로 관찰되는 주의산만

6. 목표지향적 활동의 증가 또는 정신운동 초조

7. 고통스러운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은 활동에의 지나친 몰두 ( 과소비 등 )

C. 기분장애가 사회적 , 직업적 기능의 현저한 손상을 초래할 정도로 충분히

심각 , 자해 타해를 예방하기 위해 입원이 필요 또는 정신병적 양산이 동반됨

D. 삽화가 물질 ( 남용약물 , 치료약물 등 ) 생리적 효과나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다 ( 주의점 : 우울증 치료중 나타난 삽화라 할지라도 그 치료의 직접적인 생리적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기간 이후까지 명백한 조증이 계속된다면 제Ⅰ형 양극성으로

진단될 수 이다 ( 일평생 적어도 1 회는 조증삽화가 있어야 해당된다 )


( 경 ) 조증적 삽화

A. 비정상적으로 들뜨거나 , 의기양양하거나 , 과민한 기분 , 그리고 목표지향적 활동과

에너지 증가가 적어도 4 일 연속으로 거의 매일 , 하루 중 대부분 지속 되는 분명한

기간이 있다 .

B. 기분 장애 및 증가된 에너지와 활동을 보이는 기간 중 다음 증상 가운데

3 가지 이상을 보이며 , 평소 모습에 비해 변화가 뚜렷하고 심각한 정도로 나타난다 .

1. 자존감의 증가 또는 과대감

2. 수면에 대한 욕구 감소 ( 단 , 3 시간 정도의 수면으로도 충분하다고 느낌 )

3. 평소보다 말이 많아지거나 끊기 어려울 정도로 계속 말을 함

4. 사고의 비약 , 사고가 질주하듯 빠른 속도로 꼬리를 무는 듯한 주관적 경험


( 경 ) 조증적 삽화

B. 5. 주관적으로 보고되거나 객관적으로 관찰되는 주의산만

6. 목표지향적 활동의 증가 또는 정신운동 초조

7. 고통스러운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은 활동에의 지나친 몰두 ( 과소비 등 )

C. 삽화는 증상이 없을 때의 개인적 특성과는 명백히 다른 기능의 변화를 동반한다 .

D. 기분의 장애와 기능의 변화가 객관적으로 관찰될 수 있다 .

E. 삽화가 사회적 , 직업적 기능의 현저한 손상을 일으키나 입원이 필요할 정도로

심각하지 않다 . 만약 정신병적 양상이 있다면 , 정의상 조증 삽화로 본다 .

F. 삽화가 물질 ( 남용약물 , 치료약물 등 ) 의 생리적 효과로 인한 것이 아니다 .

주의점 : 경조증 삽화는 제Ⅰ형 양극장애에서 흔하지만 , 진단의 필수조건은 아니다 .


주요우울 삽화
A. 다음의 증상 가운데 5 가지 이상의 증상이 2 주 연속으로 지속되며 , 이전의
기능 상태와 비교할 때 변화를 보이는 경우 , 증상 가운데 적어도 하나는
(1) 우울 기분이거나 (2) 흥미나 즐거움의 상실이 있어야 한다
( 주의점 :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증상은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 ).
1. 하루 중 대부분 , 그리고 거의 매일 지속되는 우울 기분이 주관적인 보고
( 슬픔 , 공허함 또는 절망 ) 나 객관적인 관찰 ( 울 것 같은 표정 ) 에서 드러남
( 주의점 : 아동 , 청소년은 과민한 기분으로 나타날 수 있음 )
2. 거의 매일 , 하루 중 대부분 , 거의 또는 모든 일상 활동에 대해 흥미나
즐거움이 뚜렷히 저하됨
3. 일부터 체중조절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의미있는 체중감소나 체중의 증가 ,
거의 매일 식욕감소나 증가가 있음
4. 거의 매일 나타나는 불면이나 과다수면
주요우울 삽화
A. 5. 거의 매일 나타나는 정신운동 또는 초조나 지연 ( 객관적으로 관찰 가능함 )
6. 거의 매일 나타나는 피로나 활력의 상실
7. 거의 매일 무가치감 또는 과도하거나 부적절한 죄책감을 느낌
8. 거의 매일 나타나는 사고력이나 집중력의 감소 또는 우유부단함
9. 반복적 죽음에 대한 생각 , 반복되는 자살사고 , 또는 자살시도나 자살수행에 대한
구체적 계획 세움
B. 증상이 사회적 , 직업적 ,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 초래
C. 삽화가 물질의 생리적 효과나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다 .
주의점 : 진단기준 A 부터 C 까지는 주요우울 삽화를 구성한다 . 주요우울 삽화는
제 1 형 양극장애에서 흔히 나타나지만 제 1 형 양극장애를 판단하는 필수 조건은 아니다 .
주의점 : 정상적인 상실의 반응을 보이는 경우에도 주요우울 진단기준을 충족시킨다면 ,
또는 주요우울삽화가 존재한다면 주의 깊게 다룰 필요가 있다 .
제Ⅱ형 양극성 장애

( 경 ) 조증적 삽화
A. 비정상적으로 들뜨거나 , 의기양양하거나 , 과민한 기분 , 그리고 목표지향적 활동과
에너지 증가가 적어도 4 일 연속으로 거의 매일 , 하루 중 대부분 지속 되는 분명한
기간이 있다 .
B. 기분 장애 및 증가된 에너지와 활동을 보이는 기간 중 다음 증상 가운데
3 가지 이상을 보이며 , 평소 모습에 비해 변화가 뚜렷하고 심각한 정도로 나타난다 .
1. 자존감의 증가 또는 과대감
2. 수면에 대한 욕구 감소 ( 단 , 3 시간 정도의 수면으로도 충분하다고 느낌 )
3. 평소보다 말이 많아지거나 끊기 어려울 정도로 계속 말을 함
4. 사고의 비약 , 사고가 질주하듯 빠른 속도로 꼬리를 무는 듯한 주관적 경험
( 경 ) 조증적 삽화
B. 5. 주관적으로 보고되거나 객관적으로 관찰되는 주의산만
6. 목표지향적 활동의 증가 또는 정신운동 초조
7. 고통스러운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은 활동에의 지나친 몰두 ( 과소비 등 )
C. 삽화는 증상이 없을 때의 개인적 특성과는 명백히 다른 기능의 변화를 동반한다 .
D. 기분의 장애와 기능의 변화가 객관적으로 관찰될 수 있다 .
E. 삽화가 사회적 , 직업적 기능의 현저한 손상을 일으키나 입원이 필요할 정도로
심각하지 않다 . 만약 정신병적 양상이 있다면 , 정의상 조증 삽화로 본다 .
F. 삽화가 물질 ( 남용약물 , 치료약물 등 ) 의 생리적 효과로 인한 것이 아니다 .
주의점 : 우줄증치료중 나타난 경조증 삽화라 할지라도 치료의 직접적인 생리적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기간 이후까지 경조증 증상이 지속된다면 이는 경조증 삽화로 진단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 그러나 한 두 자기 증상만으로 경조증 삽화를 진단하지 못한다
주요우울 삽화
A. 다음의 증상 가운데 5 가지 이상의 증상이 2 주 연속으로 지속되며 , 이전의
기능 상태와 비교할 때 변화를 보이는 경우 , 증상 가운데 적어도 하나는
(1) 우울 기분이거나 (2) 흥미나 즐거움의 상실이 있어야 한다
( 주의점 :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증상은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 ).
1. 하루 중 대부분 , 그리고 거의 매일 지속되는 우울 기분이 주관적인 보고
( 슬픔 , 공허함 또는 절망 ) 나 객관적인 관찰 ( 울 것 같은 표정 ) 에서 드러남
( 주의점 : 아동 , 청소년은 과민한 기분으로 나타날 수 있음 )
2. 거의 매일 , 하루 중 대부분 , 거의 또는 모든 일상 활동에 대해 흥미나
즐거움이 뚜렷히 저하됨
3. 일부터 체중조절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의미있는 체중감소나 체중의 증가 ,
거의 매일 식욕감소나 증가가 있음
4. 거의 매일 나타나는 불면이나 과다수면
주요우울 삽화
A. 5. 거의 매일 나타나는 정신운동 또는 초조나 지연 ( 객관적으로 관찰 가능함 )
6. 거의 매일 나타나는 피로나 활력의 상실
7. 거의 매일 무가치감 또는 과도하거나 부적절한 죄책감을 느낌
8. 거의 매일 나타나는 사고력이나 집중력의 감소 또는 우유부단함
9. 반복적 죽음에 대한 생각 , 반복되는 자살사고 , 또는 자살시도나 자살수행에 대한
구체적 계획 세움
B. 증상이 사회적 , 직업적 ,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 초래
C. 삽화가 물질의 생리적 효과나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다 .
주의점 : 진단기준 A 부터 C 까지는 주요우울 삽화를 구성한다 . 주요우울 삽화는
제 1 형 양극장애에서 흔히 나타나지만 제 1 형 양극장애를 판단하는 필수 조건은 아니다 .
주의점 : 정상적인 상실의 반응을 보이는 경우에도 주요우울 진단기준을 충족시킨다면 ,
또는 주요우울삽화가 존재한다면 주의 깊게 다룰 필요가 있다 .
우울장애 (Depressive Disorders)

파괴적 기분조절부전장애 (Disruptive Mood Dysregulation Disorder)

A. 고도의 재발성 분노발작이 언어적 또는 행동적으로 나타나며 , 상황이나 도발

자극에 비해 그 강도나 지속 시간이 극도로 비정상이다 .

B. 분노발작이 발달 수준에 부합하지 않는다 .

C. 분노발작이 평균적으로 일주일에 3 회 이상 발생한다 .

D. 분노발작 사이의 기분이 지속적으로 과민하거나 거의 매일 ,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 동안 화가 나 있으며 , 객관적으로 관찰될 수 있다 .

E. 진단기준 A~D 가 12 개월 이상 지속되며 , 진단기준 A~D 에 없는 기간이

연속 3 개월 이상 되지 않는다 .
우울장애 (Depressive Disorders)
파괴적 기분조절부전장애 (Disruptive Mood Dysregulation Disorder)
F. 진단기준 A 와 D 가 세 환경 ( 가정 , 학교 , 또래집단 ) 중 최소 두 군데 이상에서 나타나
며,
최소 한 군데에서 고도의 증상을 보인다 .
G. 이 진단은 6 세 이전 또는 18 세 이후에 처음으로 진단될 수 없다 .
H. 과거력 또는 객관적인 관찰에 의하면 , 진단기준 A~E 의 발생이 10 세 이전이다 .
I. 진단기준 A 를 만족하는 기간을 제외하고 , 양극장애의 조증 또는 경조증 삽화의
모든 진단기준을 만족하는 뚜렷한 기간이 1 일 이상 있지 않아야 한다 ( 주의점 :
매우 긍정적인 사건 또는 이 기대로 전후 맥락에 맞게 , 발달적으로 적절한
기분의 고조는 조증 또는 경조증의 증상으로 고려되지 않아야 한다 ).
J. 이러한 행동이 주요우울 삽화 중에서 나타나서는 안되며 , 다른 정신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K. 증상이 물질의 생리적 효과나 다른 의학적 또는 신경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다 .
주요우울장애 (Major Depressive Disorder)
A. 다음의 중상 가운데 5 개 이상의 증상이 2 주 연속 지속되며 , 이전의 기능 상태와
비교할 때 보이는 경우 , 증상 가운데 적어도 하나는 (1) 우울 기분이거나
(2) 흥미나 즐거움의 상실이어야 한다 ( 주의점 : 명백한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증상은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 ).
1. 하루 중 대부분 그리고 거의 매일 지속되는 우울 기분에 대해 주관적으로 보고
( 슬픔 , 공허감 , 절망감등 ) 하거나 객관적으로 관찰됨 ( 눈물흘림 등 )
2. 거의 매일 , 하루 중 대부분 , 거의 또는 모든 일상 활동에 대해 흥미나 즐거움이
뚜렷히 저하됨
3. 일부러 체중 조절을 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의미있는 체중 감소나 체중 증가 ,
거의 매일 나타나는 식욕의 감소나 증가가 있음
4. 거의 매일 나타나는 불면이나 과다수면
주요우울장애 (Major Depressive Disorder)
A. 5. 거의 매일 나타나는 정신운동 초조나 지연 ( 객관적으로 관찰 가능함 ).
6. 거의 매일 나타나는 피로나 활력상실
7. 거의 매일 무가치감 또는 과도하거나 부적절한 죄책감 ( 망상 가능성 ) 의 느낌
8. 거의 매일 나타나는 사고력이나 집중력의 감소 또는 우유부단함 ( 주관적 호소나
객관적 관찰 가능 )
9. 반복적인 죽음에 대한 생각 , 구체적인 계획없이 반복되는 자살사고 , 또는
자살시도나 자살수행에 대한 구체적 계획
B. 증상이 사회적 ,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 초래
C. 삽화가 물질의 생리적 효과나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다
D. 주요우울 삽화가 조현정동장애 , 조현병 , 조현양상장애 , 망상장애 , 달리 명시된
또는 명시되지 않는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
E. 조증삽화 혹은 경조증적 삽화가 존재한 적이 없다 .
불안장애 (Anxiety Disorder)
분리불안장애 (Separation Anxiety Disorder)
A. 애착 대상과의 분리에 대한 공포나 불안이 발달 수준에 비추어 볼 때에
부적절하고 지나칠 정도로 발생 한다 . 다음 중 3 가지 이상이 나타나야 한다 .
1. 집 또는 주 애착 대상과 떨어져야 할 때 과도한 고통을 반복적으로 겪음
2. 주 애착 대상을 잃거나 질병이나 부상 , 재앙 혹은 죽음같은 해로운 일들이
일어날 것이라고 지속적으로 과도하게 걱정함
3. 곤란한 일이 발생하여 주 애착 대상과 떨어지게 될 것이라고 지속적으로
과도하게 걱정함
4. 분리에 대한 공포 때문에 집을 떠나 학교 , 직장 혹은 다른 장소로 외출하는 것을
지속적으로 거부 하거나 거절함
불안장애 (Anxiety Disorder)
분리불안장애 (Separation Anxiety Disorder)
A. 5. 집이나 다른 장소 주 애착 대상 없이 있거나 혼자 있는 것에 대해 지속적으로
과도하게 두려워 하거나 거부함
6. 집에서 떠나 잠을 자는 것이나 주 애착 대상 곁이 아닌 곳에서 자는 것을
지속적으로 과도하게 거부하거나 거절함
7. 분리 주제와 연관된 반복적인 악몽을 꿈
8. 주 애착 대상과 떨어져야 할 때 신체증상을 반복적으로 호소함 ( 두통 , 복통 ,
오심 , 구토 등 )
B. 공포 , 불안 , 회피 반응이 아동 , 청소년에서는 최소 4 주 이상 성인에서는
전형적으로 6 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 .
C. 장애가 사회적 , 직업적 ,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 한다 .
D. 장애가 다른 정신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
사회불안장애 ( 사회공포증 (Social Anxiety Disorder(Social Phobia)))
A. 타인에게 면밀하게 관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사회적 상황에 노출되는 것을
극도로 두려워하거나 불안해한다 . 그러한 상황의 예로는 사회적 관계 ( 대화를
하거나 낯선 사람을 만남 ), 관찰되는 것 ( 음식을 먹거나 마시는 자리 ),
다른 사람들 앞에서 수행을 하는 것 ( 연설 ) 을 들 수 있다 ( 주의점 : 아동의 경우
공포와 불안은 성인과의 관계에서 뿐만 아니라 또래 집단에서도 발행해야 한다 ).
B. 다른 사람들에게 부정적으로 평가되는 방향으로 행동하거나 불안증상을 보일까 봐
걱정한다 .
C. 이러한 사회적 상황이 거의 항상 공포나 불안을 일으킨다 ( 주의점 : 아동의 경우
공포와 불안은 울음 , 분노발작 , 얼어붙음 , 매달리기 , 움츠러듦 혹은 사회적
상황에서 말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표현될 수 있다 ).
D. 이러한 사회적 상황을 회피하거나 극심한 공포와 불안 속에 견딘다 .
사회불안장애 ( 사회공포증 (Social Anxiety Disorder(Social Phobia)))
E. 이러한 불안과 공포는 실제 사회 상황이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볼 때 실제
위험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극심하다 .
F. 공포 , 불안 , 회피는 전형적으로 6 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 .
G. 공포 , 불안 , 회피는 사회적 , 직업적 ,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 .
H. 공포 , 불안 , 회피는 물질 ( 남용약물 , 치료약물 ) 의 생리적 효과나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다 .
I. 공포 , 불안 , 회피는 공황장애 , 신체이형장애 , 자폐스펙트럼장애와 같은 다른
정신질환으로 더 잘 설명 되지 않는다 .
J. 만약 다른 의학적 상태가 있다면 공포 , 불안 , 회피는 이와 무관하거나 혹은
지나칠 정도이다 .
공황장애 (Panic Disorder)
A. 반복적으로 예상하지 못한 공황발작이 있다 . 공황발작은 극심한 공포와 고통이
갑작스럽게 발생하여 수분이내에 최고조에 이르러야 하며 , 그 시간동안에
4 가지 이상의 증상이 나타난다 .
1. 심계항진 , 가슴 두근거림 또는 심장 박동 수의 증가
2. 발한
3. 몸이 떨리거나 후들거림
4. 숨이 가쁘거나 답답한 느낌
5. 질식할 것 같은 느낌
6. 흉통 또는 가슴 불편함
7. 매스꺼움 또는 복부 불편감
8. 어지럽거나 불안정하거나 멍한 느낌이 들거나 쓰러질 것 같음
공황장애 (Panic Disorder)
A. 9. 춥거나 화끈거리는 느낌
10. 감각이상 ( 감각이 둔해지거나 따끔거리는 느낌 )
11. 비현실감 ( 현실이 아닌 것 같은 느낌 ) 혹은 이인증 ( 나에게서 분리된 느낌 )
12. 스스로 통제할 수 없거나 미칠 것 같은 두려움
13. 죽을 것 같은 공포
B. 적어도 1 회 이상의 발작 이후에 1 개월 이상 한 가지 이상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
1. 추가적인 공황발작이나 그에 대한 결과 ( 통제를 잃음 , 심장발작을 일으킴 ,
미치는 것 ) 에 대한 걱정
2. 발작과 관련된 행동으로 현저하게 부적응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 예 : 익숙하지 않은 환경 피함 )
C. 장애는 물질 ( 남용약물 , 치료약물 ) 의 생리적 효과나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다 .
D. 장애가 다른 정신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
광장공포증 (Agoraphobia)
A. 다음 5 가지 상황 중 2 가지 이상의 경우에서 극심한 공포를 느낀다 .
1.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
2. 열린 공간에 있는 것
3. 밀폐된 공간에 있는 것
4. 줄을 서 있거나 군중속에 있는 것
5. 집 밖에 혼자 있는 것
B. 공황 유사 증상이나 무능력하거나 당혹스럽게 만드는 다른 증상이 발생했을 때
도움을 받기 어렵거나 그 상황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라는 생각 때문에
그런 상황을 두려워하고 피한다 .
C. 광장공포증 상황은 거의 대부분 공포과 불안을 야기한다 .
광장공포증 (Agoraphobia)
D. 광장공포증 상황을 피하거나 , 동반자를 필요로 하거나 , 극도의 공포와
불안 속에서 견딘다 .
E. 광장공포증 상황과 그것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고려할 때 , 실제로 주어지는 위험에
비해 공포와 불안의 정도가 극심하다 .
F. 공포 , 불안 , 회피 반응은 전형적으로 6 개월 이상 지속된다 .
G. 공포 , 불안 , 회피가 사회적 , 직업적 ,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 .
H. 만약 다른 의학적 상태가 동반된다면 공포 , 불안 , 회피반응이 명백히 과도해야만 한다 .
I. 공포 , 불안 , 회피가 다른 정신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
주의점 : 광장공포증은 공황장애 유무와 관계없이 진단된다 . 만약 공황장애와
광장공포증의 진단기준을 모두 만족한다면 2 가지 진단이 모두 내려져야 한다 .
기타
범불안장애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진단기준 (300.02)(F41.1)
 A.   ( 직장이나 학업과 같은 ) 수많은 일상 활동에 있어서 지나치게 불안해하거나 걱정 ( 우려하는 예측 )
을 하고 , 그 기간이 최소한 6 개월 이상으로 그렇지 않은 날보다 그런 날이 더 많아야 한다 .
B.   이런 걱정을 조절하기 어렵다고 느낀다 .
C.  불안과 걱정은 다음의 6 가지 증상 중 적어도 3 가지 이상의 증상과 관련이 있다 . ( 지난 6 개월 동안
적어도 몇 가지 증상이 있는 날이 없는 날보다 더 많다 .)
주의점 :  아동에서는 한 가지 증상만 만족해도 된다 .
1.    안절부절못하거나 낭떠러지 끝에 서 있는 느낌
2.    쉽게 피곤해짐
3.    집중하기 힘들거나 머릿속이 하얗게 되는 것
4.    과민성
5.    근육의 긴장
6. 수면 교란 ( 잠들기 어렵거나 유지가 어렵거나 밤새 뒤척이면서 불만족스러운 수면 )
  D. 불안이나 걱정 , 혹은 신체 증상이 사회적 ,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 .
  E.  장애가 물질 (Ex)  남용약물 , 치료약물 ) 의 생리적 효과나 다른 의학적 상태
(Ex) 갑상선기능항진증 ) 로 인한 것이 아니다 .
  F.  장애가 다른 정신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선택적함구증 (Selective Mutism) : 특정 사회적 상황에서 일관되게 말을 하지 못하고 ,


직업상 성취나 사회적 소통을 방해하며 , 최소 1 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 .
특정공포증 (Specific Phobia) : 특정대상이나 상황에 극심한 공포나 불안이 야기되며 ,
직업상 성취나 사회적 소통을 방해하며 , 전형적으로 6 개월 이상 지속된다 .
물질 / 약물치료로 유발된 불안장애 (Substance/Medicine-Induced Anxiety Disorder) :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불안장애 (Anxiety Disorder Due to Another Medical Condition) :
달리 명시된 (Other Specified)/ 명시되지 않은 불안장애 (Unspecified Anxiety Disorde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