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코리의 집단상담 분석

2021200700 이은정

세가지 치료적 요소

1. 보편성

- 데런이 자신 기족에 대한 불만을 얘기했을 때, 케시는 데런의 경험이 자신의 가족의


갈등과 비슷하다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자신의 가족간의 갈등을 들여다 보고
자신의 문제에 대해서도 얘기할 수 있는 용기를 얻었다.
- 수잔은 질의 얘기에 공감하면서 자신의 과거의 힘들었던 경험을 생각하고, 그런
감정을 다루는 것을 두려워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 재클린은 제임스가 경험하고 있는 인종적 문제에 깊이 공감하였다.
- 재클린은 케시의 얘기를 들으며 그녀가 자신처럼 자기의 생각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할 때마다 인정 받지 못할 까봐 두려워 하는 마음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케시는 재클린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자신과 같은 두려움이 그녀에게도 있다는 것을
알고 위로를 받게 되었다.

2. 초기가족의 교정적 재현

- 앤드류는 자신의 아버지 모습을 제리와 동일시하였다. 그래서 자신의 약한 모습에


대해 제리가 자신의 아버지 처럼 자신에게 실망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제리는 앤드류를 판단하지 않았고, 그에게 연민의 마음과 걱정하는 마음을 느끼고
있다고 말해 주었다.

- 재클린은 어머니와 관계에서 느끼는 어려움을 코리 부인과 역할 연기를 통해


재조명해 보았다. 그 과정에서 자신이 인정에 대한 욕구가 있다는 것을 통찰을 통해
깨닫게 되었다.

3. 사회화 기술의 발견

- 제임스가 사람들을 신뢰하지 못하고, 사람들이 자신을 수용해 주지 않는다고


생각하며 관계를 발전시키지 못했다. 그런데 그가 먼저 마음을 열고 사람들에게
다가가서 얘기를 했을 때 자신이 수용되고 있고, 신뢰관계가 형성 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면서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게 되었다.

초기단계의 특징

1. 수용받지 못하는 느낌

- 제임스는 그룹 안에서 속하지 못한 이방인의 느낌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룹안에서


자신을 드러내는 것에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 인종적, 문화적 차이 때문에 수용받지 못한다고 느끼고 있으며, 자신이 우월하지
않기 때문에 집단안에서 인정받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2. 집단 구성원들을 신뢰하지 못함

- 앤드류는 구성원들을 신뢰하지 못하고 있으며,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드러내기를


두려워하고 있다.
- 10분 동안 두명씩 짝지어 각자의 두려움과 기대등을 얘기함으로 신뢰를 만들어
가도록 한다.
- 제임스는 하고 싶은 말이 있더라도 집단을 신뢰하지 못하기 때문에 표현하지
않는다.

3. 집단에 깊이 참여 하기를 주저하는 현상

- 재클린은 조용히 있으면서 뒤로 물러서려는 경향이 있음


- 앤드류는 자신의 문제가 다른 구성원들에게 하찮은 것으로 판단 받을 까봐 말하기
않고 뒤로 물러 서려고 한다.
- 케시는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해서, 어리석은 사람으로
판단받을 것을 두려워 하여 적극적으로 표현하지 못한다.

4. 문화적 요인으로 인해 집단에 참여하지 않으려고 뒤로 물러남

- 재클린은 자신이 느끼는 문화적, 인종적 차이를 말하는 것을 두려워 하고 뒤로 물러


섰다. 그녀는 그러한 차이를 경험하는 상황에서 느꼈던 감정과 생각이 좋은 것들이
아니기 때문에 말로 표현할 수 없었다.
- 케시는 자신의 동성애를 드러내면 사람들도 부터 오해를 받기 쉽기 때문에 뒤러
물러 서서 적극적으로 자신을 드러내기를 두려워 했다.

5.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드러내기를 두려워함

- 내가 내 감정을 솔직하게 드러내면 다른 구성원들이 나를 어떻게 판단할까?


- 내가 나 자신을 표현한다면 다른 사람들은 나를 수용해 줄까?
- 내가 내 감정을 솔직하게 드러낸다면 나는 나를 더이상 통제하지 못할 것 같다.

6. 갈등을 초기에 드러내게 하고 다룬다

- 상담자는 집단 안에서 문화적 갈등이 있음을 발견하고 재클린이 경험한 것을


솔직하게 표현하게 격려하며, 재클린이 불편하게 생각하는 것과 질이 불편하게
생각하는 것을 서로에게 나누게 함으로 문화적 갈등을 초기에 드러나게 하였다.

7. 지금-여기에 초점

- 데런은 집단 안에서 자신이 열등하다고 느끼고 있다.


- 제임스는 자신이 집단 안에서 이방인 같다고 느끼고 있다.
- 질은 남자들에게 불신을 갖고 있는데, 집단 안에서 제임스를 바라 봤을 때 제임스의
시선에서 자신을 향한 공감과 동정심을 느낄 수 있었다.

8. 집단 상담자는 구성원들이 자신의 감정과 타인에 대해 인지하도록 격려한다.


- 구성원들이 자신의 얘기를 할 때 어떤 감정을 경험하고 있는지를 묻는다.
- 타인의 얘기를 들으면서 구성원들 안에 어떤 감정을 경험하고 있는지를 묻는다
- 다른 구성원에게 특별한 감정을 경험하고 있는지를 묻는다.
9. 초기 회기에 집단의 규범을 형성하고 모두가 이 집단에서 무엇을 얻기 원하는지를
말하고, 그들이 집단의 주제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도록 한다.

지금-여기 활성화된 경우와 과정

1. 재클린의 사례

- 주호소 문제 :
재클린은 흑인 여성으로서 자신이 경험하는 것들과 백인 여성들이 경험하는 것들이
다르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소외감과 슬픔, 분노를 경험하고 있다.

- 집단 안에서의 촉발 요인 :
집단의 여성 구성원들이 머리 감는 것에 대해 얘기할 때 소외감을 느꼈다. 그들의
경험과 자신의 경험은 다르기 때문에, 자신은 받아 들여질 수 없다는 생각을 했다.

- 부적응적 패턴:
그녀는 이런 경험과 자신의 솔직한 감정을 말로 표현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왜냐면
이런 감정과 생각을 말로 표현했을 때 집단 안에 있는 백인 여성들의 기분이 좋지
않을 것 같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뒤로 물러 서고 자신을 그 집단에서 차단시켜려
한다.

- 집단 상담 안에서 적응적 패턴 시도 :
이 말을 들은 질은 재클린이 자신을 신뢰하고 있지 않다는 생각을 했고, 질 또한
재클린을 신뢰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상황 속에서 질은 재클린에 대한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말하도록 격려 받았고, 질은 재클린에게 자신의 감정을 솔직표현할
수 있었다. 그러면서 질은 재클린에 대해 불안과 두려움을 느낀다고 표현 하였다.
이를 들은 재클린은 질이 느끼는 감정이 자신이 느끼는 감정과 같다는 것을 깨닫고,
오히려 공감과 동질감을 느끼게 되었다.

2. 앤드류의 사례

- 주호소 문제 :
인간관계에서 사람을 신뢰하기 힘들다. 자신이 해결해야 할 문제들을 잘 풀어 가지
못하는 자신의 모습에 실망하고, 이런 자신을 받아들이기 힘들다.

- 집단 안에서의 촉발 요인 :
자신의 이런 약한 모습을 보이는 것에 대해 아버지나 제리가 자신에게 실망할 것
같다.

- 부적응 패턴 :
사람을 신뢰하지 못하고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다.

- 집단 상담 안에서 적응적 패턴 시도:


자신의 약한 모습을 본 제리가 자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 지 들어 보았다. 제리는
앤드류에게 연민을 느끼고 있으며, 그가 약한 사람이라고 실망하거나 판단하고 있지
않았다. 그가 자신이 감싸고 있는 벽에서 나오기를 바라며 걱정하고 있다고
말하였다.

3. 케시의 사례

- 주호소 문제 :
사람들이 자신의 진짜 모습을 알게 되면 자신을 오해 하거나 자신을 밀어 낼까봐
두려워서 자신을 드러내지 못한다.

- 집단 안에서의 촉발 요인 :
케시가 자신에 대해 얘기 한 후에 수잔과 재클린이 자신의 다르게 대하는 것 같아
자신의 행동이 매우 조심스럽게 되었다.

- 부적응 패턴 :
사람들이 자신이 게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면, 자신을 판단하고 거리를 두게 될
것이라고 생각해서 사람들에게 자신을 숨기고 관계를 회피했다.

- 집단 안에서의 적응적 패턴 시도 :
집단 구성원들에게 자신이 게이인 것을 말하고 나서 수잔과 재클린의 눈을 바라봤을
때 수용과 지지를 느꼈다. 그리고 케시는 친구가 되고자 하는 자신의 감정을 솔직히
얘기했다.

상담기법 세가지

1. 게슈탈트

- 케시와 어머니의 역할 연기 :
케시가 어머니에게 자신의 마음과 생각을 솔직히 표현하는 것을 두려워 하고 있다.
역할 연기를 통해 자신의 마음과 생각을 표현할 때 일어나는 감정을 경험하였다.
어머니에게 듣고 싶은 말을 케시가 자신에게 직접말해 줌으로 자신이 수용 받는
경험을 했다.

- 수잔과 제임스의 역할 연기 :
과거의 사건을 재현하고 수잔이 느꼈던 감정을 표현할 때, 그동안 하고 싶었지만
하지 못했던 얘기들을 하면서 자신이 두려워 했던 것들이 사실이 아님을 깨닫게
되었다.

2. 인간중심적

- 앤드류가 아버지와의 관계에 대해 얘기 했을 때 제리와 제임스는 앤드류의 아픔에


공감해 주고, 그의 아픔을 수용해 주었다.
- 케시가자신이 게이인 사실을 얘기했을 때, 그녀를 판단하지 않고, 그녀의 고통을
공감해 주고, 그녀가 자신을 솔직하게 얘기하는데 두려움이 없도록 존중해 주고
지지해 주었다.
3. REBT

- 제임스는 집단 안에서 이방인처럼 느껴지고, 사람들을 신뢰하기 어려웠다.


< 잘못된 신념- 문화적 차이 때문에 사람들이 나를 수용해 주지 않을 것이다.
사람들을 신뢰하기 어렵다
<비판하고 평가- 구성원들이 자신을 존중하지 않는 가?
<건설적인 신념- 구성원들이 자신을 문화적 차이로 차별하지 않았다.
< 적응적 행동과 신념- 마음을 열고 구성원들과 얘기를 나누었을 때 자신이 수용되고
있음을 알았다.

- 데런이 부모와의 관계에서 거절감을 느꼈다. 늘 자신을 어리고 약한 아이 취급을


했다. 그래서 자신이 약하다는 열등감을 겪고 있다.
<잘못된 신념- 나는 약하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거절받을 것이다.
<비판하고 평가하기- 내가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부모가 나를 수용해 주지
않았고 거절했다. 두 여성 구성원들 앞에서 눈물 흘리며 약한 모습을 보였을 때
수용되는 것을 느꼈고, 교감을 느꼈다.
<적응적 행동과 신념- 자신을 스스로가 더 수용하게 되었다.

다문화 이슈

1. 제임스

그는 회사 안에서 인종적 차별을 느끼고 있다. 자신이 남미계 미국인이기 때문에


차별을 경험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능력을 보여 줌으로 사회 안에서
인정받으려 노력해왔다. 그런 이유로 첫째날 집단 안에서도 자신이 이방인이 된
것처럼 느껴지고, 수용받는 다는 느낌을 받기 어렵다.

2. 재클린

그녀는 흑인여성으로서 자신의 신체적 특징때문에 백인 여성 참가자들과 자신이


다르다는 것을 경험하고 있었고, 동양인인 케시와 이러한 감정을 공감하고 있다.
백인 여성 구성원들이 머리를 매일 감는 것에 대해 얘기를 나누자 자신은 그 대화에
참여 할 수 없다는 것 때문에 소외감을 느끼게 되었다. 그것은 문화적, 인종적 차이
때문에 자신이 경험하는 것과 백인 여성들이 경험하는 것이 같을 수 없음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사건이 되었다.

3. 질

그녀는 재클린이 느끼는 소외감과 분노에 대한 얘기를 들으면서 자신의 경험을


탐색하였다. 백인 여성으로서 자신이 흑인 여성과 같은 경험을 할 수 없음을
인식하면서 그녀와 재클린 사이에 문화적, 인종적 차이가 있다는 것을 표현했다.
또한 그녀는 교육 수준이 높고 능력이 있는 백인 여성이지만 남성들에게 받는
차별과 무시에 분노 하고 있다. 이것은 질과 같은 백인 여성만이 경험 하는 문화적
경험이다.
4. 케시

동양인으로서 백인들에게 인정받기 위해 더 완벽하게 보이려고 애를 썼다. 또한


게이 라는 성향 때문에 다른 사람들에게 오해를 받거나 차별을 받는 것을 두려워
해서 자신의 드러내기를 꺼려했다. 집단 구성원들이 자신이 게이라는 이유로 거리를
두고, 이상하게 생각할 것 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