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검사 결과

애착유형 검사

회피차원

불안차원

두려움형

두려움형은 자기에 대한 무가치감과 타인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타인과 친밀


한 관계를 회피함으로써 자신이 타인에 의해서 거절되는 것을 방어하려고 합니다. 또한 타인과의
관계에서 주관적 고통과 불편감을 호소하는 이들로 중요한 타인과의 경험에 압도되어 누군가와 친
밀한 관계를 형성하려 하지도 않으며 자기와 타인 모두에 대해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습니
다. 즉 자존감이 낮고 대인관계에서 내향적입니다.

애착유형은 학자들마다 분류법이 다양합니다. 애착이론은 Bowlby(1958)라는 학자에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그 후 Ainsworth(1973)는 ‘낯선 상황 실험’을 통해서 만 1년부터 54주까지 매 3주마다 아기들을
관찰하였습니다. 여기서 ‘낯선 상황 실험’이란 장난감이 있는 실험실에서 유아가 엄마와 격리 및 재결합
그리고 낯선 이의 출현에 대하여 어떤 반응들과 행동을 보이는지를 측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실험을 통해
Ainsworth(1973)는 안정 애착(secure attachment), 불안-저항 애착(insecure-resistant attachment), 불안-회피
애착(insecure-avoidant attachment)로 나누었습니다.
Hazan & Shaver(1987)는 Bowlby의 이론을 확장하여 안정형(secure attachment), 회피형
(insecure-avoidant attachment), 불안/양가형(insecure-resistant attachment)로 분류하였습니다.
Bartholomew & Horowitz(1991) 역시 Bowlby의 이론에 근거하여 4유형으로 분류하였습니다.
회피차원 높음
(타인에 대한 관점)

거부형(Dismissing) 두려움형(Fearful)
친밀한 상호 작용을 친밀함을 두려워하고,
거부함 사회적으로 회피적임

낮음 높음

불안차원
안정형(Secure) 몰두형(Preoccupied) (자신에 대한 관점)
친밀함과 자율성에 관계에 몰두함
편안함

낮음

불안차원은 자신에 대한 관점으로 자신에 대한 무가치감과 다른 사람의 인정을 받아야


자존감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합니다

회피차원은 타인에 대한 관점으로 다른 사람과의 가까운 관계를 회피하는 정도를 말합니다.

거부형(dismissing)은 낮은 불안차원과 높은 회피차원의 유형으로 이전의 중요한 타인과의


관계에서 부정적인 경험을 겪어 타인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표상을 가지고 있지만 그러한
경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자신은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는 편입니다. 즉, 자신에
대한 만족감은 높지만 대인관계에서는 적대적이며 차가운 유형입니다.

두려움형(fearful)은 높은 불안차원과 높은 회피차원의 유형으로 자신에 대한 무가치감과 타인에


대한 부정적인 표상을 지니고 있는 편입니다. 즉, 타인과의 친밀한 관계를 회피하고 자신이
타인에 의해서 거절되는 것을 방어하는 유형입니다.

안정형(secure)은 낮은 불안차원과 낮은 회피차원의 유형으로 자신은 가치 있고 사랑받을


만하며 타인과의 친밀한 관계를 편안하게 느끼고 자율적으로 행동하는 편입니다. 즉, 자신에
대한 만족감이 높고 타인에 대한 신뢰감 역시 높기 때문에 대인관계에서 온정적인 유형입니다.

몰두형(preoccupied)은 높은 불안차원과 낮은 회피차원의 유형으로 중요한 타인과의 부정적인


경험에도 불구하고 타인을 여전히 안전한 대상으로 지각하여 그들에게 의지하려 하고 자신에
대해서는 무가치감을 느껴 계속적으로 중요한 타인에게서 인정을 얻기 위해 지나치게 의존하는
편입니다. 즉, 자신에 대해서는 무가치하고 사랑받지 못할 것이라는 부정적인 표상을 가지고
있지만 타인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져 대인관계에 집착할 수 있는 유형입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