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0

나의 20대 이해하기

이화여자대학교

2022-2학기 삶을 위한 멘탈코칭

YEONJIN KIM
· Human life cycle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성인기 중년기 노년기

출생~1세 2세~6세 7세~12세 13세~24세 25세~35세 36세~64세 65세~


· 초기 성인기(Young Adulthood)

- 20대~ 30대에 해당하는 시기로, 인생의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시기

- 독립적인 인간으로서 정체성을 확립해야하는 과도기적인 시기

- 사회적 책임과 역할, 권한에 대한 요구가 급격하게 높아지는 시기

- 새로운 삶의 구조를 모색해야 하는 부담을 갖는 시기

- 신체적 성장과 성숙이 완성되어 신체 건강에 있어서는 최상의 상태에 있지만, 건강관리는 가장 소홀

히 하는 시기
·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by Erikson (Stages of Psychosocial Development)

출처: Google Image


· 인간발달학적 관점에서의 성인기

- 성인기 진입에 대한 연구는 발달심리학적 관점에서 오랜 기간 연구가 이루어짐

- Erikson(1950, 1982)은 자아 발달을 8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마다 추구하는 발달 과업이 있다고 주

장함

- 인간은 생물학적 성숙과 사회에서 발달 단계별로 요구하는 과제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심리사회적

으로 발달됨

-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는 자기 자신이 되는 것, ‘자기 형성 (formation of self)’

이라고 보았음

출처: Google Image


·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심리사회적 위기
연령 특징
(발달 과제)
이 단계에서 영아는 자신의 욕구를 돌봐주는 타인을 신뢰하는 것을 학
기본적 신뢰
습해야 한다. 돌봐주는 사람이 영아를 거부하거나 일관되지 못하면 영
출생~ 1세 vs
아는 세상을 믿고 의지할 수 없는 위험한 곳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 시
불신
기의 중요한 사회적 대리인은 일차 양육자이다.
이 단계의 이동은 자율성(스스로 먹고 입기, 혼자 씻고 용변보기)을 학
자율성
습해야 한다. 독립을 달성하는데 실패하면 아동은 자신의 능력을 의심
1~3세 vs
하고 수치심을 느낄 수 있다. 이 시기의 중요한 사회적 대리인은 부모
수치심
다.

이 단계의 아동은 자신이 주도적으로 행동하려 한다. 그들의 목표와


활동은 때때로 부모나 다른 가족의 목표 및 활동과 갈등을 빚기 시작
주도성
한다. 이 갈등은 아동들의 죄의식을 유발할 수 있는 데, 이런 위기를
3~6세 vs
성공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균형이 필요하다. 아동은 주도성을 유
죄책감
지하면서 타인의 권리,특권, 목표를 침범하지 않는 것을 학습해야한다.
이 시기에는 가족이 중요한 사회적 대리인이다.

출처: 송길연, 김수정, 이지연, 양돈규(2000)


·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심리사회적 위기
연령 특징
(발달 과제)
이 단계의 아동은 중요한 사회적〮학업적 기술을 익혀야 한다. 이 시기
근면성 는 아동이 또래와 자신을 비교하는 시기다. 근면한 아동은 사회적〮학
6~12세 vs 업적 기술을 획득하게 되며, 이런 중요한 속성을 획득하는 데 실패하
열등감 는 경우 열등감을 갖게 된다. 중요한 사회적 대리인은 교사와 또래들
이다.
이 단계는 아동기와 성숙기 사이의 교차로다. 청소년은 “나는 누구인
정체감 가?”라는 질문에 매달린다. 청소년은 기본적인 사회적〮직업적 정체감
12~20세 vs 을 확립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할 경우 성인으로 해야 할 역할에 대해
역할 혼란 혼돈된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 이 시기의 중요한 사회적 대리인은 또
래집단이다.
이 단계의 일차적인 과업은 강력한 우정을 만들고 타인에게 사랑과 동
친밀성 료애(또는 공유된 정체감)를 갖는 것이다. 우정이나 친밀한 관계를 형
20~40세 vs 성하는 능력을 형성하지 못할 경우 외로움과 고립감을 느끼게 된다.
고립감 이 시기의 중요한 사회적 대리인은 연인, 배우자, 친한 친구다.

출처: 송길연, 김수정, 이지연, 양돈규(2000)


·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심리사회적 위기
연령 특징
(발달 과제)
이 단계에서의 성인은 자신의 직업에서 생산적이 되고, 가족을 부양하
생산성 고 젊은이의 욕구에 관심을 가지는 과업에 직면한다. 이러한 ‘생산성
40~65세 vs ‘ 기준은 자신이 속한 문화에 의해서 규정된다. 이런 책임을 받아들일
침체감 능력이 없거나 기꺼이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들은 정체되거나 자기 중
심적이된다. 중요한 사회적 대리인은 배우자나 자녀, 문화적 규준이다.

나이든 성인들은 일생을 의미 있고 생산적이며 행복한 경험으로 보거


자아통합
나, 아니면 충족되지 못한 약속과 실현되지 못한 목표로 이루어진 절
65세~ vs
망으로 가득 찬 것으로 되돌아본다. 한 사람의 삶의 경험, 특히 사회적
절망감
경험은 생의 마지막 위기의 결과를 결정한다.

출처: 송길연, 김수정, 이지연, 양돈규(2000)


· Levinson’s seasons of life

- Levinson(1978)은 생애 구조의 변화에 따라 인생의 주기를 4개의 계절로 구분함

- 각 시대에는 단계가 있고, 그 과정 속에 과도기가 존재함

- 개인적 문화적 차이가 있지만 결국 모든 사람들이 동일한 발달 시기를 거친다고 주장함 (보편적 인

생 주기)
노년기
성인 후기
· Levinson’s seasons of life (그림) (성인후기)

65세 노년 전환기

60세 중년의 절정기

55세 중년기
50대 전환기
(성인중기)
50세 중년 입문기

45세 중년 전환기

40세 성인 초기 절정기

33세 30대 전환기 성인 초기

28세 성인 입문기

22세 성인 초기 전환기

17세 아동〮 청소년기 성인 이전기


· Levinson’s seasons of life
: 인생은 안정기와 전환기의 반복을 통해 나아감

〮 성인 초기 전환기(만 17~22세)

- 성인기 이전의 시대를 종결 짓고 성인기로의 이동을 준비하며 가능성을 탐색하는 시기

- 청소년기와 성인 초기를 연결하는 동시에 양쪽 시기에 모두 속함

- 성인 이전의 자아에서 벗어나 성인 세계로 안전하게 진입하는 것이 발달 과제

- 청소년 시기의 본질을 파악하고 그 안에서 자기 위치를 재평가하고 수정하게 됨


· Levinson’s seasons of life

〮 성인 초기

- 성인 초기의 계절에 해당하는 나이는 만 22세~40세이며 성인 입문기, 30대 전환기, 성인 초기 절정

기로 이루어짐

- 신체의 활력과 정신적 특성이 최고 수준으로 발달하는 ‘인생의 절정기’

- 본능적인 욕구가 최고조에 달하고, 개인적 만족감을 추구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며 사회에서 자기 위

치를 확립하기 위해 심리적 갈등과 긴장도 최고 수준에 달하는 시기


· Levinson’s seasons of life

1) 성인 입문기(22-28세): 결혼이나 직업, 삶의 방식 등 중요한 선택을 하면서 점차 성인으로 발달해 나

가는 시기

2) 30대 전환기(28-33세): 자신이 설정한 최초의 생애 구조에 대한 결함이 있음을 인식하고 그것을 재

평가하며, 이전 단계에서의 선택을 재고하고 필요한 새로운 선택을 하는 시기

3) 초기 성인 절정기(33세-40세): 두번째 인생 구조 형성 시기, 진정한 자기 자신이 되어가는 시기 이며

이를 위해 노력하는 시기
· 성인에 대한 새로운 기준

(Clark University, 2012)


· 성인에 대한 새로운 기준

- 과거 성인의 기준은 교육 완료 여부, 독립 여부, 결혼 유무, 자녀의 유무 등으로 결정이 됨(education

level, leaving home, getting married, having children, etc)

- 2000년대 이후 성인의 기준에 관한 연구에서 (Arnett, Galambos,2003) 성인에 대한 3가지 공통적인

기준이 밝혀짐

1.스스로 책임질 수 있는가 (Accept responsibility for yourself)

2. 의사결정을 독립적으로 할 수 있는가(Make independent decisions)

3. 재정적으로 독립하였는가 (Become financially independent)


· 성인에 대한 새로운 기준

- 성인에 대한 기준이 사회, 제도적인 것에서 심리적인 것으로 바뀜

- 대학 진학률 증가와 평생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증대로 교육 완료 시점이 늦춰짐 (현대 지식산업사회

에서는 교육완료라는 개념 자체가 부적절해짐)

- 초혼 연령의 상승, 저 출산 문제등으로 후기 산업사회로 진입한 국가에서는 더 이상 성인에 대한 전

통적인 지표가 적용 불가능해 짐


· 성인에 대한 새로운 기준
Do you feel that you have reached Adulthood? (Arnett,2000)
· 청년기(Emerging Adults)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성인기 중년기 노년기

Emerging Adults: 청년기


· 청년기의 특징 (Emerging Adults)

1. 정체성 탐색의 시기 (Age of identity exploration)

2. 불안정의 시기 (Age of instability)

3. 자기 초점의 시기 (Age of self-focus)

4. 과도기적 시기 (Age of feeling in between)

5. 가능성의 시기 (Age of possibilities)

(Arnett, 2014)
감사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