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3

고려대학교

성인발달과 노화
제 1장

성인발달연구의
역사적배경과 전망
1. 성인발달연구의 역사적배경과 전망

• 성인도 성장과 발달을 한다구요?

생각해 봅시다?!
1. 성인발달연구의 역사적배경과 전망

목차 1. 성인발달 연구의 역사적 배경

2. 인간발달의 전생애 접근

3. 성인발달의 단계

4. 연령의 의미

5. 성일발달과 영향요인

6. 21세기 성인발달 연구의 전망


1. 성인발달연구의 역사적배경과 전망
1. 성인발달연구의 역사적 배경

• 성인발달의 연구의 필요성

영양 의학적 평균수명 노령인구

개선 진보 연장 증가
1. 성인발달연구의 역사적배경과 전망
1. 성인발달연구의 역사적 배경

• 노년 연구의 역사

• 1928년, 스텐포드대학 노화과정연구소 개설


G. Stanley Hall 의
1922년 저서 [노년기: • 1945년, 미국 노년학회 창설
인생의 후반기 노화과정 연구
(Senescence: The Last 노년학의 발달
Half of Life) ] • 1950년, 국제 노년학회 결성

• 1978년, 한국 노년학회 창설
• 사회 노년학의 기념비적 저서
• 노화에 따른 인지적, 사회적, 성격
적 측면의 변화 연구의 틀 제공
1. 성인발달연구의 역사적배경과 전망
1. 성인발달연구의 역사적 배경

• 성인 연구의 역사

• 1938년, Vaillant의 종단적 그랜트 연구


• 1950년 중반, Neugarten과 동료들의 중년기연구
• 1956년, Schaie의 시애들 종단연구
성인발달연구에
• 1969년, Levinson과 동료들의 성년기-중년기남성연구 중요한 계기마련
• 1950년대, Costa와 McCrae의 성인기성격특성에 관한 연구
• 1921년 Lewis Terman의 천재아 종단연구
• 1930년대, 버클리종단연구 및 오크랜드 종단연구
1. 성인발달연구의 역사적배경과 전망
2. 인간발달의 전생애 접근

• 인간의 발달 인간의 발달은 일생동안 진행 (전생애 접근법)

상승적 변화 하강적 변화

각 단계는 서로 영향, 모든 단계가 중요


1. 성인발달연구의 역사적배경과 전망
2. 인간발달의 전생애 접근

<그림 1-1>
• 인간의 발달
전통적 접근법과 전생애 접근법의
유아기
발달과 변화에 대한 견해

아동전기

청년기 성년기와 중년기

노년기

전통적 접근법 전생애 접근법


1. 성인발달연구의 역사적배경과 전망
2. 인간발달의 전생애 접근

• Baltes(1987), 전생애 접근법의 특징

다중방향성

다학제적 접
특징 유연성

역사적.사회
적 맥락
1. 성인발달연구의 역사적배경과 전망
2. 인간발달의 전생애 접근 • Baltes(1987), 전생애 접근법의 특징

다중방향

⚫ 다중방향성
다학제적
특징 유연성
접근
• 인간발달의 어떤 연령에서도 발달은 성장 뿐만 아니라 감소도 포함한다.
역사적.사
회적 맥락
Q1. 아동기의 감소, 성인기의 향상
• 같은 연령대에도 개인차가 있으며 연령이 증가하면서 개인차는 점점 더 심해진다.
Q2. 사례 찾기

❖ 전통적 접근법

성숙한 형태로의 변화만 생각


구조의 성장, 기능의 향상, 환경에 대한 적응력 증가
성인이 되는 것은 노화, 상실, 기능의 쇠퇴
1. 성인발달연구의 역사적배경과 전망
2. 인간발달의 전생애 접근 • Baltes(1987), 전생애 접근법의 특징

다중방향

⚫ 유연성
다학제적
특징 유연성
접근

• 아동, 성인기에도 계속된다.


역사적.사
회적 맥락
(빈곤,질병,영양실조와 같은 결핍상태에서 발달이 손상되더라도 환경이 개선되면

최적상태로 전환 가능)

• 노년기에도 훈련과 연습을 통해서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지적능력 상실, 실어증 등)


1. 성인발달연구의 역사적배경과 전망
2. 인간발달의 전생애 접근 • Baltes(1987), 전생애 접근법의 특징

다중방향

⚫ 역사적, 사회적 맥락
다학제적
특징 유연성
접근
• 인간은 역사적, 사회적 환경과 영향을 주고 받는다.
역사적.사
회적 맥락 (전쟁, 과학 기술의 획기적인 발견, 여성해방 등 사회운동 등)

❖ Elder(1994), 1930년대의 대공항이 아동발달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경제위기는 어떤 아동들에게 지속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줌)

❖ 인도네시아의 한국인

(인도네시아화 – 약속시간, 도우미, 교육 등등)


1. 성인발달연구의 역사적배경과 전망
2. 인간발달의 전생애 접근 • Baltes(1987), 전생애 접근법의 특징

다중방향

⚫ 다학제적 접근
다학제적
특징 유연성
접근
• 어떤 특정 학문이 인간발달을 완벽하게 설명할 수 없다.
역사적.사
회적 맥락 •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간의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하다.

• 교재 31쪽 <표1-1> 참고
1. 성인발달연구의 역사적배경과 전망
3. 성인발달의 단계
⚫ 성년기의 세 단계와 주요발달

성년기 중년기 노년기


(20~40세) (40~65세) (65세 이상)

• 신체적, 지적 최고의 수준 • 신체적능력, 건강감퇴 시작 • 신체적, 정서적 기능저하


• 직업선택 • 성숙한 양상의 사고발달 • 직업에서 은퇴
• 인간관계 형성 • 직업에서의 성공/좌절 • 자녀양육의 부담에서 해방
• 결혼 또는 독립 • 자녀들의 독립 • 사별 및 죽음에 대처
1. 성인발달연구의 역사적배경과 전망
4. 연령의 의미

생활연령 생물학적연령

심리적연령 사회적연령

• 달력에 의한 나이
• 법적연령을 말한다. (음주, 운전, 투표 등)
• 발달의 속도와 영역별 발달은 개인마다 다르므로 반드시
옳은 것은 아니다.
1. 성인발달연구의 역사적배경과 전망
4. 연령의 의미

생활연령 생물학적연령

심리적연령 사회적연령

• 개인의 신체적 활력 수준
• 개인의 신체적 건강수준에 의해 측정
• 생활습관의 변화로 생물학적 연령을 늦출 수 있다.
1. 성인발달연구의 역사적배경과 전망
4. 연령의 의미

생활연령 생물학적연령

심리적연령 사회적연령

• 심리적 성숙도
• 환경변화에의 적응능력
• 생활사건이 주는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능력
1. 성인발달연구의 역사적배경과 전망
4. 연령의 의미

생활연령 생물학적연령

심리적연령 사회적연령

• 자신이 속한 사회에서 자신의 연령에 적합한 역할을 수행하는가


• 사회에서 규범으로 정해진 나이
(취업, 결혼, 출산, 은퇴 등의 적절한 나이)
•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달라진다.
1. 성인발달연구의 역사적배경과 전망
5. 성인발달과 영향요인

• 규범적 영향과 비규범적 영향

규범적 비규범적
영향 영향

• 규범적 사건 : 특정집단에 속한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유사 • 비규범적 사건: 개인의 생활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색다른
한 방식으로 발생하는 사건 사건 (교통사고, 복권 당첨 등)
• 규범적 연령집단 영향 : 특정연령집단에 속한 사람들에게 • 비전형적 사건 또는 제 때를 벗어난 전형적 사건 (60대에 출
발생 (폐경, 성적능력감퇴, 은퇴 등) 산 등)
• 규범적 역사집단 영향 : 같은세대 같은 공간에서 특정 동
시대 집단에게 발생 (대공항, 전쟁,대기근 등)
1. 성인발달연구의 역사적배경과 전망
5. 성인발달과 영향요인

• 생물생태학적 접근
• 전생애에 걸쳐 일어나
는 변화와 사회 역사적
• 모든 요소에 개인이 살고 있는 문화적 환경까지 포함
인 환경을 포함
• 신념, 관습, 전통 등을 통해 개인에게 영향을 미침
• 개인이 성장하면서 겪
게 되는 외적, 내적 사
•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환경
건이 구성요소 들
• 정부기관, 사회복지기관, 대중매체 등

• 미시체계들 간의 상호관계, 즉 환경 들과의 관계


• 집과 학교의 관계, 직장과 이웃의 관계, 직장의 만족도가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 살고 있는 집, 학교, 직장, 이웃과 같은 개인의 근접환경


• 배우자, 자녀, 친구, 직장동료와의 관계

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체계 모델
1. 성인발달연구의 역사적배경과 전망
6. 21세기 성인발달 연구의 전망

• 21세기이 성인 및 노인세대의 특성

(1) 평균예상수명의 증가
• 1986년 인감게놈 프로젝트 시작 – 유전자의 전체적으로 파악하여 인간게놈 배열을 완전히 해독하게 되면 평균수명은 100
세가 넘을 것으로 예상
• 평균예상수명의 중가는 중년기와 노년기라는 새로운 인간발달 단계를 출현시킴
• 자녀의 독립 후 오랫동안 부부만 생활 하게 됨
• 평균 예상 수명의 중가로 배우자, 자녀, 부모, 자녀, 친구관계도 연장 (노년기에 어머니와 사별, 4세대 5세대 가족의 증가)

(2) 고령친화산업의 발달
• 고학력 노인, 경제적 여유 있는 노년층이 증가 - 노년층의 소비가 하나의 소비패턴으로 정착
<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전망>
1. 새로운 인력시장의 형성 (노인의학 전문의 & 간호사, 홈헬퍼, 의료기기, 재활기기판매 및 대여서비스업종)
2. 여유시간의 증대에 따른 서비스시장 확대 (취미생활, 여행, 문화, 교육과 관련된 산업)
3. 경제력, 경영관리 노하우를 겸비한 노년 창업의 증가
1. 성인발달연구의 역사적배경과 전망
6. 21세기 성인발달 연구의 전망

• 21세기 성인발달 연구의 전망

노인인구 노인부양
21세기에 직면하게 될 노인문제 : 의료문제 빈곤문제
의 증가 문제
- 주된 요인: 인구의 고령화

우리나라의 노년학 연구는 개척단계, 성년기나 중년기 연구도 시급

• 예방적 차원, 문제해결 차원에서 다양한 전문분야의 학제적 연구가 필요(사회학자, 심리학자, 경제학
자, 인간생태학자, 가정학자, 정치학자, 생물학자, 유전학자, 영양학자 등)
• 비교문화 연구, 개인의 특수상황이 성인기 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성인기 내에서의
상이한 하위집단에 대한 연구 등이 필요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