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7

Python shell 사용하기 및

산술 연산자 사용하기

2주차
장 문 정 (mjjang@hanyang.ac.kr)
학습목표
 IDLE shell 사용법을 숙지한다.

 산술 연산자 사용법을 익힌다.

 문자열 개념을 이해하고, 문자열 연산을 사용할 수 있다.

2
IDLE shell 실행하기
 작업 표시줄에 고정해서 사용하기
 IDLE 항목에 마우스 커서를 놓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3
IDLE shell 글씨 크기 변경하기

4
IDLE shell 사용법 : 대화식 모드
 >>>에 명령을 입력하면 즉시 실행되어 결과가 출력
 결과 출력 시에는 >>>가 없음!

 명령문을 문법에 맞지 않게 입력하는 경우


 SyntaxError ….. 메시지를 보여줌

 간단한 테스트나 실습용으로 적합

 매번 직접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길고 복잡한 프로그램


을 짜기에는 불편

 Tip) 앞서 내린 명령을 재활용하는 방법을 제공 : Enter


5
계산기로서의 python : 사칙연산
 주의사항
 곱셈 : ×  *

 나눗셈 : ÷  /

프롬프트 바로 다음에
명령어 입력 = 사용하지 않음

6
계산기로서의 python 예
양수와 음수 표현 + 예시 - 예시

7
부동소수점수 (실수)
 실수를 오차 없이 표현하고 저장하지 못함

 python의 문제라기 보다는 컴퓨터가 갖는 한계임

오차 발생 부동소수점 관련 사고 예

The Explosion of the Ariane 5


1996년 6월 4일
 발사한 지 40초 만에 폭발
 원인 : 64 bit 부동소수점 수 
16bit 부호 있는 정수

* 출처 http://www-users.math.umn.edu/~arnold/disasters/ariane.html 8
계산기로서의 python 예
* /

9
실습 1
1) (50 – 5 * 6) / 4

2) 4 * 3.75 – 1

3) 4 - 25

4) 9 * (4 – 8) / 3

5) 8 / 2.2

6) -2 * 8

7) 4 + 3.2 – 2.1 – 1 + 6

10
산술 연산자

연산자 의미 설명
+ 더하기 -

- 빼기 -

* 곱하기 -

/ (실수) 나누기 부동소수점 수를 포함한 결과

** 거듭제곱 (수학) 𝟐𝟑  (python) 2 ** 3


정수 나누기 (몫) :
// 소수부는 버림 
% 나머지

11
// 와 % 사용 예
 자연수를 사용하는 실생활에서는 소수부까지 필요 없
는 경우가 많음

예) 바나나맛 우유 한 개는 1300원이다.

그러면 5000원으로 몇 개를 살 수 있나?

3개의 바나나맛 우유
구매 가능

거스름돈
12
나머지 연산자 (%) 사용 예
 정수 수준의 나눗셈에서만 발생함

 배수 여부를 판별할 때 흔히 사용

 예) 2의 배수 (홀짝) 판별, 3의 배수, 4의 배수, …

(임의의 수) % 2 == 0 (임의의 수) % 2 == 1

 2로 나누어서 떨어짐  2로 나누어서 떨어지지 않음


 2의 배수  2의 배수가 아님
 짝수  홀수

13
실습 2
 다음 수식들을 python 코드로 작성하여 결과 알아보기

1) (2 ∗ 5 – ((−32 + 61) / 5))𝟕


𝟐𝟖 + 𝟐𝟑 −𝟏𝟐
2) + 12.74
𝟐𝟒

14
문자열(string)이란?
 일련의 문자를 따옴표로 감싸 나열해 놓은 것
 “Welcome to Seoul”  OK!

 ‘Welcome to Seoul’  OK!

 따옴표 안에는 영문, 기호, 숫자 등 모든 문자 가능

 주의사항
 한 문자열에 큰 따옴표와 작은 따옴표를 섞어 사용할 수 없음

 반드시 시작한 따옴표로 끝을 맺어야 함

 예) “ doesn’t ”, ‘ ”Yes,” they said ’

15
문자열(string) 사용 예

16
문자열 연산
+ + 와 * 사용 예제

 사용법 : 문자열 + 문자열


 두 문자열을 연결

 사용법 : 문자열 * 정수
 문자열을 정수 횟수만큼 반복

1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