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1

국제협력론

제2강-2 국제개발협력의 개념

강사 김희숙

연락처 010-6235-0347

이메일 duly305@hknu.ac.kr
Contents


국제개발협력의 개념
개발의 개념

• Development

• Development is the gradual growth or formation of something

• Development is the growth of something such as a business or


네이버에게 물어봐? an industry

• Development is the process or result of making a basic design


gradually better and more advance

• 발전이란?

• 더 낫고 좋은 상태나 더 높은 단계로 나아감

• 일이 어떤 방향으로 전개 됨

• 개발이란?

• 지식이나 재능 따위를 발달하게 함

• 산업이나 경제 따위를 발전하게 함


개발의 개념




“개발은 인간과 사회의 자연적이며


“인간의 노력이 담긴 발전“ (KOICA 2014:18)
내재적인 성장이나 진보“ “인간의 노력에 의해 성취되는 이상적 상
태”(베리베이커, 2018:12)
(KOICA 2014:17)
개발의 개념

개발개념(19세기 중반)
• 북반구 : 북아메리카, 유럽 등 경제적으로 발달된 국가들 위치
• 서구 산업화에 따른 빈부격차 심화가 자본주의 위기를
초래
• 개발은 경제발전 뿐만 아니라 사회발전을 포함하는 개념
변화

• 남반구: 아프리카 등 경제적으로 낮은 발전을 보이는 국가들


위치, 식민지 대상
• 자연환경 개척과 식민지 주민의 문명화
• 식민지 자원 수탈
➔식민지학 발전

춸처: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Gl
남북문제(Global North and South) : 경제격차, 개발격차
obal_North_and_Global_South.svg
• 북반구: 선진국, 부유국, 공여국
• 남반구: 개발도상국, 빈곤국, 수원국
개발의 개념

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체제
• 진영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대규모
원조자금 투입
• 서유럽 전후 복구와 신생독립국 개발

개발의 개념
• 국가 주도 공업화 변화
• 정부의 주도적 역할 강조
• 경제성장에 초점
• 계량 경제학적 척도로 개발의 경제적양적 성
장을 측정
• 식민지학➔개발학

출처: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Mars
hall_Plan_poster.JPG
개발의 개념

1990년대 아마르티아 센(Amartya Sen) 『자유로서의 발전』


• 인간개발의 개념으로 진화
• ‘자유를 확장하는 과정‘
• 자유=정치, 기회, 빈곤, 실업, 국민을 억압하는 정부로부
터의 자유

1990년대 말 UN
• 인간의 기본적 권리 향유 차원의 인간개발
• 개발학 초점 변화: 경제성장➔빈곤감소
개발의 개념

산업혁명이전

산업혁명이전 인간, 물질의 진보 및 개선

산업혁명 이후
산업혁명 이후 산업화, 국부증진

유럽: 자본주의 발전+사회보호 및

19세기 중반 19세기 중반 복지
식민지: 자원개발, 식민지 주민 문명화

2차 세계대전 이후 공업화, 산업화


2차세계대전이후 (마셜플랜) (대규모 원조자금 투입)

1990년대 인간 개발(인간의 기본권 향유)

출처: KOICA(2014:20 수정)


1990년대~
개발과 개발학

“개발을 연구하는 학문”

개발이란 렌즈를 통해 바라보는


다양한 사회현상을
연구하는 학문
개발과 개발학

• 개발의 방법, 영향, 개발에 접근하는 태도와 같이, 개발과 관련


된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적 현상 따위를 광범위하게 다루
는 학문 (naver 사전)

• “개발학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사회현상을 개발과


개발도상국의 렌즈를 통해 들여다본 학문“(KOICA, 2014)

• 개발학이란?
개발과 개발학

개발학과 국제개발협력 비교

• 개발을 연구하는 학문
• 연구대상: 개도국과 제3세계➔전세계
• 연구주제: 개발 환경과 조건, 다양한 개
발 주체의 역할, 성과 등
• 개발개념: 경제 및 사회 발전
• 융합적, 다학제적 특성

• 개발학과 국제개발협력의 관계
• 식민지학➔개발학
출처: KOICA(2014),p33
개발과 개발학

• 지역학: 비서구세계 연구
• 문화인류학: 식민지학에서 연구➔개발담론, 개발학
비판
• 인구학, 식량, 자원, 분쟁, 도시화
• 행정학: 개발주체 정부 역할
• 생태학: 생체학+환경학+지구과학➔환경, 기후변화
• 개발경제학: 경제성장에 초점
• 정치학: 국가 간의 관계가 개도국에 미치는 영향
• 국제정치경제학: 경제학을 국제정치 틀 속에서 해석
• 공학: 인프라 구축
• 환경학: 환경적 지속가능 개발
• 지리학: 환경적, 생태적 연구➔근대화 이론, 도시화
이론
• 이주학: 이주와 인구, 개발재원 차원 접근
• 교육학: 인간개발
• 공중보건학: 인간 안보
• 사회학
• 여성학: 성 평등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Development-Studies-as-a-Cross-Disciplinary-Subject_fig1_328064771
개발과 개발학

1세대 2세대 3세대


1950-1970년대 1980-1990년대 2000년대 이후
-시장주도 개발 -제도 주의 개발
정부주도개발
-Institutional Gap
-Capital gap

포스트 워싱턴 컨센서스


시장활성화 중시
신자유주의
개발경제학 정부의 제도적 지원
워싱턴 컨센서스(구조조정프로그램)
근대화 이론
거시경제 안정성 중시
종속이론
발전이론
국제개발협력의 개념

인권이란?
“인권에 기반한 개발” “모든 이가 공포와 필요로부터의 자유를 얻어 경제, 사회,
문화, 정치적 권리를 온전히 누리는 것”

• 세계인권선언과 UN 헌장(1948)
• 시민적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 규약(1966)
• 경제적사회적 문화적 권리에 관한 규약(1966)
• 개발권 선언(1986)
• 비엔나 선언(1993)

UN 기구에 인권을 구심점 삼도록 지시(코피아난,1997)


“인권에 기반을 둔 개발” 개념 도입
국제개발협력의 개념

• 대상: 개발도상국의 사람들

• 목적: 천부적 인권을 누릴 수 있도록

• 방법: 빈곤과 불평등을 해소하는

• 활동: 국제사회의 구체적인 노력과 행위


국제개발협력의 개념

GAP 격차
• 평등(equality)과 대비되는 것으로 불평등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
• 한 국가의 사회 내 계층이 존재하고 계층 간의 격차가 존재하는데 격차의 정도가 문제
• 기회의 평등 보장이 중요
• 최저한의 보장
• 결과의 평등을 사회적 선으로 추구
• 국가 단위 국제사회에서도 격차가 존재
• 자유시장 기능에 의해 격차 완화
• 경제원조로 인한 최저한 보장
• 제도 시스템 변혁 추구
-정치학 대사전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26109&cid=42140&categoryId=42140
국제개발협력의 개념

• “인간 삶의 질을 결정하는 다양한 정치, 경제, 사회적 지


표에서 나타나는 차이“
•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 선진국 및 개발도상국 내 : 도시와 농촌, 지역 간, 세대 간
• 개발도상국 간

개발격차를 극복해야 하는 복합적 과제


국제개발협력의 개념

ODA 공적개발원조 OOF 기타 공적자금

양자간 -무상 : 기술협력, 프로젝트 식량원조 등 양자간 -공적수출신용, 투자금융 등


-유상 : 양허성 공공 차관. -ODA에 포함되지 않는 자금
다자간 -국제기구 분단금
-국제기구 출자금
다자간 -국제기관 융자 공공

PF 민간자금 NGO 민간증여

무상 -NGOs에 의한 증여
. 유상 -해외 직접투자, 1년 이상의 수출신용,
국제기관 융자, 증권투자

민간
국제개발협력의 개념

▪두 가지 접근:
① Unselfish(Humanitarian): 배고픔이 없는 세상, 보다 나은 세상 추구
② selfish : 전략적, 정치적, 상업적 기타 이익을 위해

경제사회 발전에 필요한 재원의 확보라는 수원국의 관점과


국가안보 유지 및 해외산업활동 증진 등 국익의 추구라는 공여국의 이해관계

출처: 맹준호(2014.11.5), 국제개발협력 ODA (ODA교육원 강의자료)


국제개발협력의 개념

• 일방적 도움이 아닌 상호의존적 공동의 과제라는


인식에서 출발

• 개발도상국의 필요와 수요 충족

• 수원국 국민간의 기회 불평등 해소, 평등 촉진

• 포괄적(Inclusive), 참여적(Participatory) 개발 추진

• 지속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 추구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