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0-6235-0347 Duly305@hknu - Ac.kr

You might also like

You are on page 1of 22

국제협력론

제2강-1 지구촌 빈곤의 이해

강사 김희숙

연락처 010-6235-0347

이메일 duly305@hknu.ac.kr
Contents


지구촌 빈곤의 이해
글로벌시대: 지구촌 시대

세계화(Globalization) : 지구촌 시대
정치·경제·문화 등 사회의 여러 분야에서 국가 간 교류가 증대하여 개인과 사회집단이
갈수록 하나의 세계 안에서 삶을 영위해 가는 과정을 가리키는 사회학용어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남의 나라 일과 내 나라 일의 확실한 경계가 모호
• 국가들 간의 정치만 봐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복잡
한 현상이 대두
• 국가 이외 행위자 참여 및 영향력 확대
글로벌 시대: 지구촌 시대

국경에 관계없이 전 세계에서 조달, 생산, 유통, 소비하는 시대

인도네시아 목재로 만든 종이컵


아프카니스탄 특별공로자의
커피서빙

중국산 커피내리는
중남미에서 재배된 커피
기계
(콜롬비아 커피)

https://growstc.com/%EC%BB%A4%ED%94%BC-%EC%BB%A4%ED%94%BC%EC%B2%B4%EC%9D%B8-%EC%8B%9C%EB%93%9C%ED%88%AC%EC%BB%B5-%EB%B9%88%ED%88%AC%EC%BB%B5/
글로벌 시대: 불평등

• Why? 글로벌시대, 지구촌 시대

• 절대다수의 인류에게 풍요로움과 다양한 서비스를 누릴 기회를 제공

• 인류 전체의 부가 소수에게 집중 ➔다수의 사람들이 상대적 박탈감과 소외감


을 안고 살아가는 불평등한 현재

• ‘’차별이 있어 고르지 못한 상태‘ (naver 사전)

• 2014년 다보스 포럼 : 옥스팜 보고서

• 세계최고 85명=가난한 35억 인구의 부

• 2009~2012 미국인이 벌어들인 수입 95%➔상위 1%

• 부의 집중화➔포괄적 정치경제 시스템에 대한 큰 위협


글로벌 시대: 불평등

• 주체할 수 없는 부 vs 생존위협을 받는 빈

• 빈부격차의 심화

• 인류 존립 기반 자체의 위협

https://besetotube.com/tag/%EC%84%B8%EA%B3%84%ED%99%94/
불평등의 원인과 문제

정치, 경제, 사회, 지리, 종교, 제도 차원의 불평등 구조

구분 우월적 지위 열위적 지위

공간적 차원 핵심(도시 및 산업지역) 주변부(농촌 및 농업지역)

국제사회 개발 차원 선진국, 공여국, 채권자 개발도상국, 수원국, 채무자

태생적사회적 차원 남성, 백인, 다수 민족, 상위계층 여성, 유색인종, 소수민족, 하위계층

일상생활 차원 연장자, 부모, 시부모 젊은 층, 자녀, 며느리

관료적 조직 차원 상급자, 관리자, 후원자, 교도관 하급자, 노동자, 수혜자, 죄수

사회적종교적 차원 신부, 스승, 의사 신도, 제자, 환자

교육 및 학습 차원 강사, 선생님 도제, 학생

출처: Chambers(1999:60)
불평등의 원인과 문제

불평등의 덫: 정치적, 경제적, 사회문화적 불평등 간의 상호작용

• 세계은행(2006) 국가나 사회의 정치경제 사회적 불평등이


제도화된 경우 불평등은 하나의 덫이 되어 개인의 선택의 자유를
제한
• 기회의 불평등을 야기

정치적
불평등
제도

사회 경제적 경제적
불평등 불평등

출처: Mukheriee(1999:68); KOICA(2014:162)


불평등의 원인

부유층과 자녀가 기대할 수 있는 삶의 상대적* 비교

구분 부유층 자녀 빈곤층 자녀
부모가 대학교육을 받았을 경우** 높음 낮음
영양 및 보건위생 환경 및 상태 높음 낮음
보다 나은 양질의 교육에 대한 접근성 높음 낮음
대학 이상에 진학할 가능성 높음 낮음
보다 나은 보건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높음 낮음
양질의 보다 높은 소득을 기대할 수 있는 직업을 가질 높음 낮음
가능성
부의 대물림 높음 -
빈곤의 대물림 - 높음

*상대적 가능성을 비교하는 것이지 반드시 그렇다는 것은 아니다


**고학력의 부모는 자녀가 유년기에 언어를 습득할 때 보다 많은 어휘를 사용함으로써 자녀의 인지능력
과 향후 학업 능력에 보다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출처: ODA교육원(2016) :20


불평등의 원인

‘공평한 기회의 장‘의 제한

부의 대물림: 출발선이 달라 • 가난의 대물림

출처:
출처: https://news.korean.go.kr/index.jsp?control=page&part=
https://brunch.co.kr/@ymoon/102 view&idx=12340
불평등의 문제점

• 불평등의 문제점
• 인권을 실현할 수 있는 기회 박탈 또는 제한
• 한 사회가 가진 제한된 자원의 효과적, 효율적 활용을
저해하고 낭비를 초래
• 경제성장에 도움이 되지 않음
• 상위 소득층 20%의 소득증가< 하위 소득층 10%의 소득증가
경제성장에 효과적(Era Dabla-Norris, et. Al 2015)
• 빈곤감소에 도움이 되지 않음
빈곤의 개념

• ‘기본적 욕구가 충족되지 못한 결핍 상태'


• 기본적 욕구에 대한 통일된 입장은 부재
• 기본적 욕구 기준에 따른 빈곤에 대한 개념과 범위는 다면적

• 기본적 욕구 : 역량관점
• 아마티아 센(Amartya Sen) 역량의 결핍을 빈곤으로
이해
• ‘되고자 하는 것‘, ‘하고자 하는 것'을 선택할 자유
와 달성할 능력 부족
• 자전거를 소유할 자유와 능력, 자전거를 탈 능력의
부족
빈곤의 개념

• 생존을 위한 기본적 욕구가 충족


절대빈곤 되지 못하는 재화부족상태
(absolute poverty) • 절대빈곤선: 1일 1.9달러 이하의
소득(WB,2015)

• 생존을 위한 기본적인 요구는


차상위빈곤 충족하지만 가까스로 충족하
경제적 관점
(moderate poverty) 는 상태
• 차상위 빈곤에 대한 뚜렷한 소
득이 정의되지 않음
• 소득과 소비관점
• 선진국: 상대적 빈곤
상대적 빈곤 • 소득과 같은 객관적 기준이
• 개발도상국: 절대적 빈곤
아닌 준거기준 집단과 비교
(relative poverty) 해 재정부족을 주관적으로
느끼는 상태
빈곤의 개념

• 삶의 질을 향상 시킬 기본적 역량의 제
한 ‘자유의 박탈'
역량부족 • 선택할 자유와 달성할 능력의 부족상태

• 사회에 속한 개인이 자기 권한 밖
비경제적 관점 의 이유로 사회 활동에 동참하지
못하는 상태
사회적 배제
•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라 차이
• 배제의 정도 및 범위 합의

• 빈곤층이 참여해 스스로 빈곤을 평가


• 챔버스(Chambeers) 참여적 접근법
빈곤인식 • 사회적 배제 및 정치적 고립 상황에
서 발생하는 무력감 포함
• 참여자에 따른 결과 차이의 한계
빈곤의 개념

• 소득이나 지출 변동이 심해 빈
만성적 빈곤
곤에 빈번하게 노출되는 상태
(Chronic poverty)

빈곤노출빈도

일시적 빈곤 • 경제적 충격을 받아 일시적으로


(Temporary poverty) 빈곤해지는 상태
빈곤의 복합적 원인과 다면성

소득과 자산의 부족
(Lack of income and assets)

자신의 요구와 주장을 펼칠 수


없는 상황과 이로 인해 느끼는 무력감
(Voiceless and powerlessness)
아마티아센(Amartia Sen)

취약성
(Vulnerabililty) 빈곤이 단순히 개인소득이 낮은 것을 의미
하는 것이 아니라 삶의 질을 향상시킬
' 기본적인 역량의 박탈상태‘
빈곤의 복합적 원인과 다면성

양질의 일자리 미확보


소득과 자산의 부족

유.무형의 자산 부족/결핍

• 인적자산 : 체화 시킨 지식, 기술, 건강상태


• 천연자산 : 토지, 초원, 나무 등
• 물리적 자산: 도로, 상하수도, 전기등 사회기반시설에의 접
근성
• 금융자산: 저축, 신용대출 등의 서비스 이용
• 사회적 자산: 사회구성원들이 상부상조하는 네트워크
빈곤의 복합적 원인과 다면성

무력감
(powerlessness)

• 자신의 입장에 대한 목소리를 낼 수 없거나 자신


의 입장을 반영시키지 못하는 데서 느끼게 되는
좌절감
• 공정한 법의 적용, 폭력이나 위험 또는 착취로
부터의 보호 등에서 차별
• 상황을 개선하는 데 장애 요인으로 작용
빈곤의 복합적 원인과 다면성

취약성
(Vulnerability) • 다양한 상황과 문맥에 따라 정의가 달라짐

• 충격에 대한 대응력부족과 위험이 결합한 상태(챔버스)

• 사회적 취약성 (캐트리나 앨런)


• 외부의 위험과 별개로 사회구조의 내부적 특성으
로 인해 외부 위험 발생시 사회나 공동체를 취약하
게 만드는 구조적 요인

• 자연재해나 인재에 취약한 지역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아


질병에 취약하게 되며 이는 빈곤상황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빈곤의 복합적 원인과 다면성

사회에 의미 있는 일원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사회적 배제

출처: OECD (2002, The DAC Guidelines); KOICA ODA(2016:31) 편집


개발도상국의 빈곤원인

빈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