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7

김여진

1
여성과 가족
• 가족이란?
• 가족과 관련된 신화 깨기

• 페미니즘 관점에서 본 가족
• 가사노동
• 모성애
• 가부장제
• 가정 폭력

2
가족이란
• ‘가족’하면 떠오르는 단어
• Google

• ‘가족’과 관련된 영화, 드라마, 소설 등


• 성 역할에 충실한 가부장적 아버지, 가정 주부 엄마, 자녀 (아들, 딸)

• 미미한 갈등은 있으나 행복한 가족

• 현실 속의 가족은?
• ‘The Simpsons’
• https://www.youtube.com/watch?v=kYtqOcpXBZA

3
가족이란?
• 다양한 가족 유형 존재
• 이성애 가족, 동성애 가족, 계부모 가족, 한부모 가족 등

• 가족(family): 전통적 가족 정의
• 민법(779조) & 건강가족기본법 (제3조 1항): 혼인, 혈연, 입양을 통해
구성된 공동체
법적 결혼, 자녀 양육, 합법적이고 베타적인 성생활 -> 가족 고유 기능
공동 거주와 경제적 협력, 가족 간 강한 응집력 강조

•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핵가족: 보편적인 가족 제도로 암묵적 가정 -


> 다양한 가족 형태 인정 어려움
• 오늘날: 가족 범위 확장 필요
가구와 가족 간 분리 점점 커짐
• 비혼 동거, 동성 커플, 1인 가구 (비혼, 이혼)

4
가족이란?
• The family -> families
• Olsen et al. (2008):
상호간에 헌신하고 친밀감, 자원, 의사결정, 책임감과 가치를 공유하는 두 명 이상의 사람들
• Tilly & Scott (2008): 구성원의 역할과 행위를 그들을 둘러싼 환경 변
화에 맞추도록 조정하는 역사적 구성물이자, 인간관계의 다양한 집
합이며, 보편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는 고정된 실체가 아님. – 가족과
사회의 연관성 강조
사적 공동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사회와 끊임없이 교류하는 열린 공간으로서의 특징도 지님

• ‘가족의 범위를 폭넓게 인정하자’ – 제 4차 건강가정기본계획


• 법적가족개념 : 혼인/혈연 아니어도 가족 인정•비혼동거, 위탁가정까지 & 건강가정 용어 수정

• [탐사보도 뉴스프리즘] 가족 개념' 확대 시대 흐름? 가족 해체? | 연


합뉴스TV (yonhapnewstv.co.kr)
건강가정기본법 - 현행유지필요(2022.10) - 실질적 지원 방점 5
가족과 관련된 신화 깨기
• 도덕적/윤리적 행위 양식의 저장고로 간주
• 무비판적으로 수용 (과학적 증거나 객관적 탐색 작업을 거치지 않음)

• 스테파니 쿤츠
• “The Way We Never Were”
• 결코 존재하지 않았던 길
• 정상가족 이데올로기
• 정상 가족: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가족 & 가족 간 하모니(스위트 홈)
& 안정적 (영속성)
• 과거 가족에 대한 신화를 깨자
• 예전 가족이 정말 이상적인 가족이었을까?

6
가족과 관련된 신화 깨기
• 신화 1 : 과거 가족에 대한 환상
전통사회 가족은 안정되고 조화로운 집단 - 영속성, 정서적 친밀성
• 높은 신생아 사망률, 전쟁, 전염병, 기아, 출산 등으로 가족 구성원
사망 빈번
• 유럽(17 ~19세기)의 경우 영유 ¼가 1세 이전 사망 vs. 오늘날 1%
미만
• 평균 결혼 기간 12년 정도, 전체 어린이의 절반 이상이 성인이
되기 전 한쪽 부모의 사망 경험
• 어린 자녀 유기 및 아내 구타 등 가족 폭력 빈번
• 자녀가 어느 정도 성장하면, 노동에 종사 (하인 등) – ‘아동’ 개념이
다름
• 1950년대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서구의 가족
• 남녀 간 가정 내 성역할 구분이 엄격함: 남자는 생계, 여자는 집안일
• https://www.youtube.com/watch?v=C7qItGQFpuM

7
가족과 관련된 신화 깨기
• 현실은?
• 여성들은 2차 세계대전에서 유급노동을 경험함. 하지만 2차 세계대
전 후 남성의 일자리를 위해 여성이 가정 생활로 복귀(여성이 원한 것
은 아님)
• Betty Friedan(1963) “여성의 신비”
• 1950년대 미국 교외에 살던 중산층 전업주부의 삶 연구
1950년대 중산층 전업주부들은 행복한 삶을 영위한 것이 아님
가사담당에 국한된 여성의 삶과 남편과의 정서적 의사소통이 거의 불가능한 상황을 고발함
• ‘가족은 나를 억압하는 곳이다’라고 강조
• 제 2기 페니미스트 운동을 주도하게 된 계기가 됨.

8
가족과 관련된 신화들
• 신화 2: ‘정상 가족’을 둘러싼 고정관념
• 정상 가족: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가족
• 가족의 정상성에 대한 견고한 기준 제시
• 기준에 부합하지 못한 경우 ->
비정상적이거나 부족한 결손 상황 -> 부끄러운 문제 상황으로 인식라게 만드는 결과 초래
• 최근 다양한 가족 형태 등장 -> 위기/해체로 간주, but 이게 위기인지?
• 정상 가족이 자연스러운 형태도 아니고 보편적인 형태라고 할 수도
없음
• 누구를 위한 것인가?
• 정상 가족이라는 외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가족 내부의 균열과 갈
등을 위장하는 요새 가족(fortress family) 등장
가족과 관련된 신화들
• 신화3: 가족 구성원들 사이에 공통의 욕구와 삶의 양식, 경험이 공유되고 있음

• 이타적 사랑을 기반으로 가족 내 의사 결정이 조화롭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간주
• ‘ 홈 스위트홈’
• 가족 구성원들 간에 사랑과 조화, 결속만 존재하는 것은 아님
• 가족 내에서의 권력 관계, 경쟁 관계, 부정적인 정서적 측면(증오와 이
기심) 존재
• 가족 내의 위치에 따라서 경험하는 가족은 다를 수 있음 (성별, 권력 등)

• 신화4: 가족과 사회를 분리된 영역으로 이분화함


• 실제로는 통합되어 있음 (사회와 끊임없이 영향을 주고 받음)
• 왜 분리되어 있다고 간주할까?
• 성역할 이데올로기를 정당화하기 위함 – 공사 영역 이분화를 통해 가족
과 사회를 좌우대칭으로 만들어서, 가족은 무자비한 바깥 세상과 다른
천국이고, 가족 간의 관계는 사회 관계와 달리 이타적이고 비경쟁적이
라고 간주
젠더와 가족의 교차점
• 젠더 불평등 관점에서 출발
•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불평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

• 가족 :젠더 불평등이 재현되고 있는 장소일 가능성


• 가족: 양면성을 가지고 있는 제도
• 편안한 곳 vs. 착취와 불평등
• 가족: “따뜻함”이라는 친애적 정서를 나타내는 단어
• 불평등의 원천: 숨겨져 왔던 가족의 복잡한 권력 관계
• ‘애정적 가족관’이 오히려 가족의 권력 관계나 갈등을 은폐, 특히 여성
의 삶에 영향을 미침.

11
페미니즘적 관점
• 페미니즘적 관점-> 기본 가정
가족 안의 성별 분업을 당연한 듯 전재 -> 자연적인 현상이 아니라 사회적 산물일 뿐

• 여성의 노동 시장 참여- 산업화 이전에도 있었고, 전쟁 전후 기간 동


안 공식/비공식적인 일을 하면서 가정 내 생계를 책임짐
• 자녀 양육의 책임- 부부 공동 육아/사회가 책임 (이스라엘 키부츠)

가족 구성원 모두가 가족생활을 동일하게 인식하거나 서로가 대등한 권력 관계에 있다고 보지 않음

• 남녀 간 성별 분업- 여성 억압의 원인/남성 권력 우위의 원인/ 여성의


노동 시장 참여를 어렵게 만듦
가족을 공적영역, 특히 경제 제도 및 국가의 정책과는 독립되어 독자적으로 존재한 제도로 보지 않음

• 가족은 사적 영역이면서 동시에 사회와 연결되어 있음 (상호 영향)


페미니즘적 관점- 가사노동

• 정상 가족 이데올로기에 반기
• 이성애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핵가족을 정상가족으로 규정하는 고정
관념을 탈피하여, 다양한 가족 개념을 수용해야 함.
• 가부장적 가족의 모순을 극복하고, 여성의 입장을 반영하는 다양한
가족 형태를 인정해야 함
• 간과되어 있던 영역
• 가사 노동, 모성애, 가부장제, 가족 문제(폭력) 등에 관심

• 가사 노동- 노동으로 평가받지 못했음


• 여성의 가사 노동 수행: 여성의 성에 내재한 고유의 속성에 따라 부여된 역할로 간주

• 당연한 것-> 여성이 가사 노동을 잘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


술을 가르치고 연구하는 데 집중
• 1960년대 이전까지 ‘가사노동’ 개념 자체 없었음 (덜 중요한 일)
페미니즘적 관점- 가사노동

• 가사노동:
인간 삶의 재생산 및 생계유지를 목적으로 하는 필요 노동이며, 가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생산활동과 인간 상호적 관계를 가능케 하는 노동 -> 자본주의 사회와 국가의 존속을 위해서
필수 불가결한 노동

• 왜 여성이 가사노동을 전담하게 되었는가?


• 사회구조적 이유 존재 (자본주의)
• 임금:
노동자의 자기 재생산 비용
여성이 무급 가사 노동을 제공하기 때문에 자본가는 그만큼의 비용을 노동자에게 지급하지 않음
-> 여성 무급가사노동 착취를 통해 자본가는 이윤 창출

• 남성과 자본가 이해 관계- 여성을 노동 시장에서 배제 (가족 안에


서만 머물게 함)
페미니즘적 관점- 가사노동
• 가사 노동도 숙련이 필요하나, 가정 안에서 고립된 채 반복적으로
수행 &수행 결과 비가시성
• 가사 노동을 주로 담당하는 여성을 가정 안의 천사로 묘사-> 스
스로 가치 있는 노동이라고 생각하게 만듦 -> 성별 분업에 기반
한 전통적 가족 제도 유지 가능
• 오늘날:

여성을 가사노동 책임자로 보는 시각 여전, but 남성 1인 생계 부양자 모델이 붕괴되면서


맞벌이 부부 증가 -> 여성의 일 / 가정 간 갈등 증가

• 우리나라: 2018년부터 가사 노동의 경제활동(가치) 평가 시작

• 2014년 기준: 시간당 1569원, 총 370조 7천억원


페미니즘적 관점- 모성애
• 모성의 재발견
모든 여성은 모성애를 가지고 있고(본능), 자녀는 어머니의 집중적인 사랑과 보살핌을
필요로 한다는 믿음
• 모든 여성이 모성애를 가지고 있는가?
• 강제적 모성: 여성을 일차적 양육자로 만드는 사회제도 때문 (사회적으로 강제된 것)

• 마치 어머니는 자녀에게 집중해야 하고, 자녀의 모든 문제를 해


결해 줄 수 있는 능력자로 묘사
모성은 사람마다 다양 -> 모든 여성이 모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님

• 모성 이데올로기
여성의 가사노동과 육아를 자연적이고 본능적인 것으로 미화함으로써, 성별분업을 정당화,
기존의 가부장적 제도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 담당
페미니즘적 관점- 모성애

• 과학적 모성 이데올로기 강조
• 희생적 역할+과학적인 지식: 모성의 주체인 어머니의 역할은 자녀
돌봄과 보살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자녀 돌봄을 과학적으로
해야 한다는 것
• 자녀 양육을 위해서 어머니가 똑똑하고, 필요한 정보를 찾는 능력
과 시간을 투자해야 함
• 헬리콥터 맘, 타이거 맘, 돼지 엄마 등
• 학교 활동 참여: 녹색 어머니회, 급식 당번제, 대표 엄마 등

• 모성애 강조-> 전업주부가 어머니의 이상형으로 강조


• 여성의 사회진출을 더 어렵게 하고, 진출을 하더라도, 가사와 육아,
직장 일을 모두 다 해야 하는 super mom을 강요. (super mom 콤플렉
스, super daddy 콤플렉스 없음)
• 자녀 양육을 충분히 하지 못한다는 죄책감 (사회적 비난)
페미니즘적 관점- 가부장제
• 가부장제- 성차별의 주요 원인 (급진주의 페미니즘)
나이가 가장 많은 남자에게 가족 내의 모든 권위가 집중되는 제도

• 아버지 및 남편이 아내와 자녀들의 모든 것을 책임지고, 보호하며,


통솔하는 주인이자 결정권자임
아내나 자녀들은 남자 및 연장자의 권위에 복종하고 따르는 것을 당연시

• 가부장제 등장
• 경제적 측면: 자본주의 임노동제- 가장이 돈을 벌어오고 가족 책

• 정치적 측면: 징병제- 능력 있는 남성만이 조국을 위해 군 복무
• 여성- 남성이 밖에서 일을 하거나 군 복무를 하는 동안 여성은 집
에서 가정을 지키고 아이 교육/자애로운 모성
페미니즘적 관점- 가부장제

•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성 억압의 형태로서 가부장제의 특성


가족 내 노동은 비생산적인 것으로 간주

• 여성은 자신의 가족 내 활동/노동에 대한 객관적인 가치를 인정받


기 보다는 가족의 유지, 출산, 양육과 관련된 역할 수행 여부로 평
가됨.
가족내에서 뿐만 아니라 노동시장에서 가부장적 관념 존재

• 성 위계적 조직화와 통제 사용-> 여성을 중요한 생산영역에서 배


제/권위 낮은 역할
• 성별 직종 분리/성별 수직적 분리
• 여성-> 집안에서 무보수 가사 노동 수행- 노동 시장 진입 시, 낮은
임금
페미니즘적 관점- 가부장제

• 우리나라 가부장제
• 고대 사회~조선 초기까지: 서류부가혼의 결과로서 양변적 방계가족
• 부계와 모계 모두 가족원의 범위로 간주 -> 부부가 거의 동등한 권
한을 갖는 동권제
• 균분 상속 제도 -> 자녀 모두 균등하게
• 제사도 자녀들이 차례대로
• 1600년대: 아들과 딸, 장남과 차남을 차별하는 형태로 바뀌기 시작
• 1700년대: 차별이 보편화, 서류부가의 기간도 점차 단축
• 조선 후기: 부계 직계가족, 가부장제 확립

• 여러 명의 아들 중 가계 계승 부부 (장남 부부)와 그들의 자녀를 포


함하여 구성되는 직계가족이 이상적인 형태로 간주 (장남이 제사)
• 부권이 모권에 비해 강하며, 부자 관계가 모든 가족 관계의 중심
페미니즘적 관점- 가부장제
가족 내 여성의 위치, 주변적 위치 (출가 외인)

• 특히, 며느리의 위치: 남편 가족과의 관계를 일차적 관계로 받아들


이도록 요구 (가장 낮은 위치, 남아 출산, 시부모 봉양, 노동력 제공
등을 통해 남편 집안에 기여 시, 지위 상승)
• 오늘날 – 가부장적 가족 제도 여전히 존재
• 남편 가족의 풍습을 따를 것을 요구- 여성의 권위는 낮지만, 일상의
노동은 여성이 담당하도록 기대됨
• 집안의 행사나 일가친척 관계 담당- 제사, 명절, 결혼 등
• 웹툰 ‘며느라기’ – 아주 평범함 남자와 여자, 크게 나쁘지 않은 시댁
식구들이 나오는데, 그 일상들 사이에 수많은 불합리와 불평등이
있음을 표현- 1980년대 태어나서 자란 여자들이 받아들이기 힘든
‘여성이기 때문에 겪어야 하는 불평등’이 묘사되어 있음
페미니즘적 관점- 가부장제
• (366) 명절에 시댁 가지 않기로 한 며느리 사연 [#며느라기] -
YouTube
• (366) 제사 일은 며느리의 몫인가요? [#며느라기] -YouTube
• 고부 갈등 증가 – 남편은 새우 등 터지는 존재로
지위가 낮은 여성간(좋은사람/나쁜사람)의 갈등으로 만드는 가부장제가 원인

• "차례상 음식 9개로 충분, 전 부칠 필요 없어" 성균관, 표준화 방안 발


표 (hankookilbo.com)
가정 폭력의 역사
• 서구 사회
• 로마시대: 남편은 아내를 지배할 수 있는 절대적인 권력 – 아내를 남
편의 소유물로 생각하는 의식의 산물
• 신체적 강제를 사용하여 아내 통제 허용-> 여성은 남성에게 복종
• 영국 관습법: 엄지손가락 법칙(rule of thumb)
• 남편이 자기 엄지손가락 두께보다 가는 막대기로 아내 구타가 가
능했음
• 1984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법이 가족의 경계를 넘어 개입할 수
없으며, 주정부는 가정폭력에 개입하지 않아야 함
• 우리나라 (조선시대): 남편의 아내 징벌권 허용
• 남편의 아내에 대한 폭행할 수 있는 권리는 오랫동안 합법적으로 부
여 받았음 (지나친 폭력 사용에 대해 제재)-> 아내에 대한 합법적인
통제 수단 -> 사회문제로 간주하지 않았음
• 제2의 여성 운동 (급진주의적 페미니즘)- 1960~70년대 이후
• ‘ 개인적인 것이 정치적이다 -> 가정폭력이 사회문제로 대두됨
페미니즘적 관점-가정폭력
• 불평등한 권력 관계: 가족 폭력
가족 구성원 중 한 사람이 다른 가족에게 의도적으로 물리적인 힘을 사용하거나
정신적인 학대를 통하여 고통을 주는 행위

•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 제 2조
• 가정 폭력: 신체적 폭력, 경제적 폭력, 정서적 폭력(모욕적인 말), 방
임, 유기, 성 학대
• 가족 구성원: 배우자, 배우자였던 사람, 계부모와 자녀의 관계, 동거
하는 친족
• 여성주의
• 가정폭력보다는 아내 학대나 아내폭력, 친밀한 관계에서의 여성 폭력
이라는 용어 선호
• 경찰에 신고되는 가정 폭력의 대부분 (80%)가 아내 학대

24
가정 폭력 실태

• 2019년 가정폭력실태조사
• 지난 1년간 배우자에 의한 가정폭력 피해율: 여성 29%, 남성 26%
• 통제: 남녀 비슷 (가장 높은 비율), but 배우자의 통제 행동이 폭력적
이라고 느낀 경험: 여성>남성
• 신체적/성적 폭력 피해율: 여성>남성 (상처를 입은 비율, 상처를 입
은 횟수, 병원에 갈 만큼의 심각한 수준 모두 여성이 높음)
• 가해 경험: 남성>여성, 가해 이유: 여성은 방어에 해당하는 행동 비율
높음
• 배우자의 폭력으로 인한 경제활동상의 영향: 여성 (직장에 다니지 못
할 정도 )
• 임신 전부터 신체적/성적 폭력 피해 시작된 경우: 임신 기간에도 피
해 경험 있는 경우 62%
• 폭력 발생 시 대응방법: 별다른 대응을 한 적 없음 46%, 주위에 도움을
청한 경우 1% (지난 1년 간)
• 외부에 도움을 청한 적이 전혀 없음: 85.7%, 도움을 청한 경우: 가족>이
웃이나 친구> 경찰 (2.3%)
• https://www.youtube.com/watch?v=Q6_7PhOgqVw
가정 폭력 실태
• 가정폭력의 실태를 조사하는 것은 방법론적으로 어려운 작업
응답자의 축소 보고 내지 하위보고 경향

•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고 여기는 응답을 하려는 경향


(social desirability)가 있기에 가정폭력을 숨기려고 함- 조사에서
뿐만 아니라 평소에 주위 사람들에게도 숨김
• 인지부조화: 자신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배우자와 함께 산다는 것은 서로 모순됨

• 과거의 경험에 대한 회상을 통해 자료를 구하기에 기억의 부정확


성, 감정의 변화로 인한 과거 폭력의 이해 또는 용서때문에 정확
하게 밝히지 않음
• 실태조사에서 나오는 결과보다 현실에서 더 많은 가정 폭력이 있을
가능성이 높음
가정폭력 관련 법률
•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 긴급전화센터 설치/운영(제 4조의 6), 가정폭력 관련 상담소 설치/
운영(5조), 가정폭력피해자 보호시설 설치 운영(7조) 등
• 여성긴급전화 1366-> 피해여성 상담:ONE-STOP 서비스->여성폭력
관련 상담소, 보호시설, 112, 119와 연계 서비스 제공
•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 제 5조
• 가정폭력범죄에 대하여 신고를 받은 경찰이 즉시 할 수 있는 조치
(응급조치)
• 가해자와 피해자 분리, 피해자를 보호 시설로 인도, 치료가 필요
할 경우 의료 기관으로 인도 등
• 제 6조-> 고소 가능, 이혼도 가능
• 제 8조->임시조치 (퇴거, 접근 금지, 유치장이나 구치소에의 유치 등)
가정 폭력 피해 여성의 대응
• 법률상 신고, 고소, 이혼 가능하지만 왜 가정폭력을 견디면서
살아가는지?
떠나는 것이 규범적인 상황이라는 인식 -> 가정 내에서 머무르는 것은 기대를 위반하는 행위
-> 피해자에 대한 문제 제기의 근거가 됨
• 학습된 무기력 이론
가정폭력 피해자로 희생되는 과정에서 피해 여성은 가해자에 대한 정서적 의존,
낮은 자존감, 신체적/정서적/심리적 후유증, 학습된 무기력 등의 경험이
피해 여성으로 하여금 폭력적인 관계를 떠나지 못하는 게 원인
피해여성-> 획일화된 수동적 피해자로 자리매김 함
가정 폭력 피해 여성의 대응
• 여성이 학대적 관계를 떠나는 데 있어서 무엇이 장애가 되는지?
• 생존자 이론:
피해 여성은 가정폭력에 대응을 하지만, 그것이 성공적이지 않을 뿐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폭력 관계를 벗어나지 못하는 것은 이들을 지원하는
사회세계의 미흡함 -> 시스템의 실패 -> 비공식적/공식적 지원 체계 필요

• 그럼, 장애물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결찰에 신고를 하더라도, 가족이기 때문에 구속이나 처벌에까지 이르지 않고
다시 한 번 더 기회를 주는 이러한 상황이 더 큰 참사를 불러오게 됨
- 가정폭력이 더 심해지게 됨

• "남편은 저를 때리고 나서는 잘못했다고, 다시는 때리지 않겠다


고 눈물을 흘리며 빌어요. 앞으론 나아지리라 생각했어요.”
가정 폭력 피해 여성의 대응
• 남편이 피해여성에게 가하는 협박/보복에 대한 두려움 (자신, 아이,
친척, 부모의 안전을 보장받지 못함)
• "자신과 이혼하면 친정식구들을 모조리 죽이겠다고 해요. 네가 도
망치더라도 지구 끝까지 쫓아가서 죽이겠다고 하고요.”
• 이혼 후, 경제적인 걱정- 한부모 가족에 대한 지원 미비
막상 경찰에 신고를 하더라도 실질적인 조치는 미비

• 원칙적으로 경찰은 가정폭력 사안에 대해 가해자와 피해자를 분


리 시킨 상태에서 집안에 들어가서 조사를 할 수 있는 권한이 있음
• 하지만, 현장에 출동을 해도 주로 가해자의 말만 듣고 별다른 조치
를 하지 않은 채, ‘집안 문제’, ‘사소한 말다툼’ 정도로 정리하고 돌
아가라고 함- 증거확보 어려움 (이미 상황 종료)

30
가정 폭력 피해 여성의 대응
• 2010년 가정폭력실태조사
• 피해자들이 경찰에 신고를 했을 때, 경찰이 출동을 하였으나 집
안일이니 서로 잘 해결하라며 돌아간 비율이 50.5%, 집안 일이니
둘이서 잘 해결하라고 하며 출동하지 않은 비율이 17.7%임
• 2013년 경찰관과 가정폭력담당수사관 대상으로 경찰청이 실시한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가정폭력 사건은 가정 안에서 해
결하는 게 우선’에 동의한 비율이 57.9%
• 미국의 경우 체포 우선주의: 대부분의 주에서 가족폭력 신고를 받
고 현장에 출동하면, 가해자를 바로 체포
• 우리나라: 2018.11 가정폭력방지대책-현행범으로 체포가능, 가해
자와 피해자 분리, 위반 시 벌금형 & 징역

31
가정 폭력 피해 여성의 대응

경찰이 폭력 사실을 확인해 사법부까지 간다고 해도 가해자를 처벌하는 경우는 극히 미비

• 가정폭력도 명백한 폭력임에도 불구하고 가해자 처벌이 거의 이루어


지지 않고 있음
• 가정 폭력 검거 건수: 2011년 7,272건-> 2019년 5만 9,472건 (7.3배)
• 남성 (78.7%) >여성 (21.2%)
• 가정 폭력 검찰 기소율: 2011년 18% -> 2016년 8.5%
• 대부분 벌금형 (구속률: 1% 미만, 정식 재판: 4% )
• [사건속으로] 20년 때려도 처벌은 '벌금 500'‥악몽의 가정폭력
(imbc.com)

32
가정 폭력 피해 여성의 대응
• ‘가정 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의 취지(목적)
• 제 1조: ‘가정의 평화와 안정을 회복’하고 ‘건강한 가정을 가꾸는’ 것
을 목적

이 법에 따라 주로 가정법원에서 처리가 되고, 가정법원은 ‘재판을 통하여 가족 내 갈등과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는’ 곳 -> 가해자를 처벌이 아닌, 사회 봉사나 상담 며령을 받는 게 대부분
가해자에게 피해자와 다시 잘 살아보라는 의미

• 자신의 행위가 범죄라고 인식을 못함- 재범률 증가


• 2015년: 4.7%-> 2020년 12.6%
가정 폭력 피해 여성의 대응
• 가정 폭력이 극단적인 살인이나 자살에까지 이르게 함
• 남편이 부인을 살해
• ‘강서구 아파트 살인 사건 피해자의 딸입니다‘- 청와대에 청원
• 가정 폭력으로 구속 영장이 청구된 남편이 구속 영장이 기각되자, 아
내 살해
• 부인이 자살
• 남편의 폭력에 시달리다가 자살, 아이도 같이
• 부인이 남편 살해
• 가정폭력에 시달리다가, 남편 살해- 가정폭력 피해자이면서 가해자
(정당방위 인정받기 어려움)
가정폭력의 경우, 가해자와 피해자가 한 공간에서 같이 생활을 하기 때문에, 온전한 가정을
유지하기 힘들게 됨 - 이혼, 자녀에 대한 폭력의 세습, 자녀의 가출, 비행, 학교폭력 등

• 가정 폭력은 모든 집단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 –Ted 영상 (레슬리 모건 스


타이너)
34
• https://www.youtube.com/watch?v=imdWIkawrnM
가정폭력에 대한 대응
• 가정폭력범죄에 대한 사법 체계의 적극적 대응

사법 체계의 소극적 대응 -> 가정폭력이 범죄라는 사회규범적 인식을 확고히 하는 것이 필요

• 체포우선주의, 반의사불벌죄 삭제(개정안), 경찰 적극적 대응과 검


찰의 재량권 축소
가족 보호에서 피해자 보호로 개입 방향의 전환
• 가족에 대한 보호와 피해자의 인권에 대한 보호가 상충하며 상존
가정 내에서의 폭력에 대해서 국가의 개입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가족을 보호하기 위하여 최소한으로
개입해야 한다는 원칙이 법의 목적 및 법안 전반에 흐르고 있음
• 법을 적용해서 가해자의 범법행위를 처벌하는 것을 꺼리는 경향
이 있음
하지만, 가해자를 처벌하지 않는다고 가정이 유지되고 보호되는 것은 아님
-> 피해자 보호를 취우선으로 하는 사법 체계의 대응이 필요

• “폭력 가해자가 떠나고, 피해자는 집에 남는다”-> 피해자 중심의 원


칙 제도화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변화 필요
• 가정 폭력에 대한 인식의 문제
• 가정은 따뜻하고 평화로운 안식처라는 인식 때문에 폭력을 겹쳐서
생각하기가 어려움- 모순적
• 가정폭력의 원인을 피해자에게서 찾음
• 살림을 못해서, 말대꾸를 해서, 교육을 잘못 시켜서 등

지극히 사적인 개인적은 문제로 인식되기 때문에, 폭력으로부터 보호를 받아야


할 시민으로서의 권리(인권)가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음 - 국가 개입의 한계

36
생각해 보기
• 내가 생각하는 가족이란?
• “가족은 ___ ___ ___ 이다“
• 가족은 나에게 무엇인지 하나의 문장으로 표현해 보기.
•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 여러분이 옆집에서 부부싸움하는 소리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폭력을 행사하는 듯한 소리가 들리는 상황에 처한다면, 어떠한
조치들을 취할 것인지?

3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