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1

Review of

CAREER AND FAMILY:WOMEN’S CENTURY-


LONG JOUNREY TOWARD EQUITY by Claudia Goldin
Chapter 1~2
1963 Betty Friedan ‘이름 없는 문제’ 처음 꺼낸 대졸 여성 전업맘 현상을 언급했다


NOW 여성의 직장 참여도는 높아졌지만 같은 학력의 남성보다 소득·승진 면에서 격차를 있다.

반세기가 지나도록 성별 격차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것은 현재의 해법이


문제의 근원을 찾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남녀 간 소득 격차

Why?
Why? Why?
커리어 격차 패텐화(간호사-의사,교사-교수) 성별 고정관념

Why? But

부부간 공평성 깨짐 직종 간의 요인 ❌
직종 안의 요인 ✅

여성 직장 가치 갈 여성 가정 책임

왜 여성만 이런 갈등에 직면합니까?


성공격인 커리어와 행복한 가정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 여성이 직면하는 문제는 시간충돌의 문제다.

동시에 탐욕스러운 일을 육아시간 부족


선택하다

부부간의 불완전 공평
완전 공평

동시에 시간이 더 자유로운 가정 소득 부족


일을 선택하다

가정소득 보장하면서 1명 greedy work


부부간의 1명 on-call
육아시간 극대화
소득 격차
• 집단1 (가정 또는 커리어, 둘 중 하나)
1878~1898탄생 1900~1920졸업
특징:꼭 결혼해야 할 필요가 없다.(당대의 가부장적 규범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독립적인 삶을 추구한다.)
• 집단2 (일자리,그 다음에 가정)
1898~1923 탄생 1920~1945졸업
특징:전환이 집단(결혼률은 낮지만 점점 높아지고 초혼 연령은 낮아서 출산율은 높아진다)
• 집단3 (가정,그 다음에 일자리)
1940~1965졸업
특징:동질성 강함(비슷한 열망,대학 과목,첫 일자리 직종,대부분 결혼과 출산을 선택했다)
여성은 직업보다 가정을 먼저 선택하지만 이혼률이 급증하는 시기이기도 했다

• 집단4 (커리어, 그 다음에 가정)


1944~1957 탄생 1960중기~1970졸업
특징: 이혼율이 더 높아졌다
• 집단5 (커리어 와 가정 모두)
1958~1978 탄생 1980년대 졸업
특징: 생식 관련 테코놀로지 발전했다.피임이 아니라 임신을 위했다.
그렇다고 해서 어느 시대의 어떤 여성(특히
가정배경)이 대학에서 참여율이 더 높거나 결혼해서
아이를 낳고 싶어한다는 것은 아닌다.가족 배경의
변수를 통제한 후에도 다른 집단의 여성들이 여전히
전체와 동일한 성향의 선택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집단1에서 집단 5로의 변화는 사회 전반의


경제 흐름의 변화와 여성의 이데올로기의 변화를 더
많이 반영했다.그 중 과학 기술(가정용 기계, 피임약
등)의 발전이 촉진 역할을 했다.

또한 여성의 교육과 직업이 변화에 따라 남성의


이상적인 배우자도 변화하여 교육 수준과 성취
욕구가 비슷한 사람들이 결혼을 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그렇다면 어떻게 공평한 부부관계에서 가족과


직업의 균형을 이룰 수 있습니까?
1.집단2의 고용률 전체적으로 집단3 보다 낮다.
집단2중 젊은 여성 참가율 낮지만 나이 들면서 경제
활동 참가율 높아진다.
2.집단1,2,3 어느정도 다 “선 가정,후 커리어” 라고
이해할 수 있다. 집단 4,5 베해 젊은 여성들의 경제
활동 참가율 매우 낮다.
대학 전체의 참여율과 졸업율의 변화점은 전쟁
탓이라고 볼 수 있지만, 자꾸 벌어지는 격차는 뭐라고
설명해야 할까요?

대학생 성별 비율과 직장 참여도 성비의 비대칭은


어떤 문제를 암시하고 있습니까?직장 채용
과정에서의 '이중 기준'을 증거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요?
Chapter 3
리드 교수
(연구내용) 무보수 가사노동의 가치를 측정하고, 기혼여성이 재택근무와 밖에서 월급을 받는 근무 중 어떤
선택을 하는지 알아본다.
(연구목적) 여성이 수행하는 무보수 노동을 국민소득에 포함시켜 여성 노동이 갖는 경제적 중요성 구현한다

미국에서 국민소득 개념의 통계 작성과 계산을 할 때 리드 교수님은 국민총생산(GNP)을 계산할 때


가족노동을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쿠즈네츠(당시 프로젝트 책임자)는 고민 끝에 이 큰 돌봄
제공자를 국민소득에서 제외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판단했고, 그 노동의 가치를 가늠할 수 있는 믿을 만한
기반이 없었기 때문이다.

모든 유형의 무보수 돌봄 노동이 단지 돈을 받지 않고 국민소득 통계에 잡히지 않는다는


이유만으로 가치 절하되고 있다는 것이다.
집단 1 미혼 미임 여성의 비율이 특히 높은 것은 편향된 대상 선택 때문이 아니라 집단마다 다른 장벽과 제약에
직면해 있기 때문이며 단지 그들에게 주어진 선택이 다르기 때문이다.

20세기 전반, 기혼 여성의 고용에 대한 제약:

1.기업이나 정부가 특정 직종(교사 등)에서 기혼 여성을 고용하지 않거나 미혼 여성 직원이


결혼하면 퇴사를 요구하는 제도
결과: 집단1에는 교사나 학계 업무자는 많으나 결혼한 사람 중에는 교사나 학계 업무자가 적다.

2.가족 채용 금지 원칙,즉 아내는 남편과 같은 기관, 부서, 기업, 정부에서 근무할 수 없다.
결과: 후자의 집단에 비해 전자의 집단에서 결혼한 여성위인중 학계 업무자의 비율이 적다.

3.당시 가정 노동의 큰 부담도 여성이 직업과 가정을 동시에 갖기 어렵게 만들었다.

4.산모와 아이의 사망률이 높고, 육아에 대한 여성의 요구가 매우 높다(생리 및 심리)


집단 1:독립의 중요성
집단 1은 매우 특별한 여성 집단으로 미국 전체의 평균 초혼 연령과 10% 미만의 종신
비혼률에 비해 집단1의 미혼 비율과 미임 비율이 각각 30%와 50%, 'The Notable'의 여성 미혼
불임 비율이 44%와 70%로 훨씬 더 높다.
따라서 대체적으로 집단1의 여성 특성은 가정과 직업의 두 중에 하나만 선택할 수있다.

이들 여성의 결혼률이 낮은 이유는 대학 학력을 갖고 있던 시절이라 남자에게 매달릴 필요가


없고, 자신의 생계를 책임질 수 있는 선택의 여지가 있었기 때문이다.그들이 결혼하지 않은
이유는 결혼은 독립성을 포기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커리어와 결혼의 결합에 성공할 수 있을까?'라는 긍정적인 대답

1910 1920 10년 내

20% 35% 90%이상


Chapter 4
집단 1에서 집단2 전기, 집단2 후기로 갈수록 결혼율과 출산율이 높아지고 있다. 아래 그림 같이:

원인
1. 테크놀로지의 발전은 가정의 수공
노동력을 해방시킨다.
2.노동시장 구조가 바뀌고 화이트칼라의
수요가 많아지면서 여성 본인과 남편
그리고 그 소속 공동체의 여성 노동에
대한 인식이 바뀌었다.

1900年 17% 화이트칼라

1930年 45% 화이트칼라


집단2 집단2의 시기는 중요한 전환기이며, 집단2 여성들의 어머니는 집단1에 속해 있으며, 그들은 어머니의
생활 방식을 거부하고 아내가 되는 삶을 넘어서려고 한다.

집단1(저결혼율과 저출산율)
집단2
중간 다리 당시의 사회적 배경: 1.대공황
2.기혼여성 고용 금지 확대
집단3(높은 결혼율과 높은 출산율)

집단3
1898-1914 1915-1923

집단2

집단1
집단2:Marriage Bar
채용금지 : 기혼여성 채용시 제외
유지금지: 미혼 직원 결혼 후 해고

바(BAR) 발생한 원인

1.젊은 교사들 공급 많다
2.학교 관리자은 온순한 노동력이
필요한다.
3, 기혼교사는 임신과 출산으로 결혼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자진 사퇴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동시에 유색인종의 결혼율과 원인


고용률은 백인 여성과 매우 다른다. 흑인
1.흑인 소득 더 낮아서 부부 동시에 일해야 가계 살릴 수 있다
여성은 일을 하면서 결혼해서 아이를 2.흑인은 여성 노동에 수치심 더 낮음
낳을 수 있지만, 동시기의 집단1은 둘 중 3.흑인 교사들 사이에서는 교사 공급이 부족해서 금지 더 느슨했다.
하나만 선택할 수 있다.
집단2:Marriage Bar
Marriage Bar의 나타난 원인이 대공황 때의
경제적 배경 때문이라면, 대공황 이후에도
기업과 정부가 Marriage Bar를 옹호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1.기업 경영자가 여성들은 결혼 후 업무


능률이 떨어진다고 생각한다.
2.전통인식('남성은 아내를 부양해야 한다'
'기혼 여성은 가급적 집에 머물러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아이를 가진 여성들은 직업상의


영광을 늦은 나이에 미루는 경우가 많은데, 인생은 길고 많은 경로를 포괄할 수 있음.
대부분의 이유는 아이를 돌봄, 남편의 직장생활에
내조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Chapter 5
1960년대 미국 여성들은 가정으로 ‘후퇴’했고, 사회에서는 정말 여성스러운 여성은 직업,
대학교육, 정치권력을 원하지 않는다는 말을 자주 들었다.그렇다고 해서 이 시기 여성들이 야망을
잃은 것은 아니며, 반대로 이 시기에도 여전히 대졸 여성 비율이 높았다. (명문대졸 여성 감소)
그래도 가정을 우선시했던 것은 사실이다.

"제가 일을 하지 않는 매인 이유는 가족들이 제 시간을 필요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적정 가격 범위 내
노동시장 Why?
베이비시터를 찾을 수
참여도 저조 없다

하지만 40대가 되면(즉, 자녀는 더 이상 돌볼 필요가 없다) 노동시장 참여율이 눈에 띄게 높아지고


거의 모든 사람들이 이런 Re-Enter를 계획하고 있다.
집단3 기혼 여성의 채용 금지가 완화되는 한편,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면서 여성의 노동 수요가 증가하고
대졸 여성의 가치가 높아져 1940년대와 1950년대에 여성의 대학 진학률이 급증하기 시작했다.

전쟁의 사회적 배경을 고려할 때 이 시기 여성들은 대학 졸업장을 '보험'으로 인식함으로써 자신의


고용 가능성을 크게 높일 수 있었다.그들은 가정을 꾸리고 나서 일자리를 찾을 계획이며
전체적으로 계획대로 진행되었다.

단순하게 'career'로 집단3과 집단1의 여성을 비교해서 그들의 성취와 야망을 판단하는 방식은
불합리한다. 집단3에 비해 집단1의 선택이 적고 객관적인 사실과 사회적 배경은 집단1이 career의
성과에 대해 주관적으로 더 편향적이기보다는 다중 선택을 허용하지 않다.집단3은 이 시기에
'both'의 선택을 마쳤는데, 이미 어떤 의미에서 '야망'의 표현이다.또한 이 시기 여성들은 가정과
직업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교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등 양립할 수 있는 직업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들은 앞으로 직장에 복귀할 것을 고려하여 이러한 분야를 전공으로 하여 공부하게
되었다.

미래에 취직하고 싶은 마음이 아니라면 왜 대학생 절반 이상이 특정 직업과 직결되는 전공을


선택했을까요?
집단3:이기적인 어머니
집단3의 여성들에게 직장 복귀에 가장 큰
제약은 '아이가 어릴 때 엄마가 옆에 있어야
한다'는 인식이다.

남편들의 83%가 아내의 직장이나 미래의 직장


준비에 반대하지 않고, 아내의 외근에 반대하는
남편은 21%에 불과하며, 이러한 반대는 종종
부부가 공감하는 것이다.

집단3의 여성은 가정을 좋아하고 일을


좋아하며 아내의 의무를 다한 후 다시 일터로
돌아간다.
집단3:이기적인 어머니
1957 졸업생 1961 졸업생

6월 졸업

6개월 후 조사 대상자의 40% 결혼했고, 그중


4분의 1은 아이 낳음 17%는 장기 목표가 '주부'라고 답했다.
82%가 직접 고용되었다. 70%는 향후 10년 동안 가정과 아이가 가장
대부분의 조사 대상자들은 결혼하거나 높은 우선순위라고 생각했다.
아이가 생기면 회사를 그만둔다고 말했지만 50%는 결혼 10년 후 career가 중요해진다고
Re-Enter를 계획했고 그중 39%는 조사 생각했다.
대상자들이 해냈다. 84%가 결혼했고 그 중 81%가 아이를 가졌다.

7년 후 85%가 결혼했고 그 중 78%가 아이를


가졌다.
집단3:이기적인 어머니
집단3의 여성들이 욕심이 없다고 여겨지는 이유는 가족을 우선시하기 때문이다.
기혼으로 전일제 직장을 가진 1961년 졸업 여성의 37%는 여전히 자신을 '주부'로 말했고, 3/4의
여성은 '내조가 자신의 직업보다 더 중요하다'거나 '남편의 경력 때문에 자신의 진로 계획을
바꾼다'는 데 동의했다.

상대 소득에 대한 토론

채용 성별 편견의 생김 집단3 직면한 직장 딜레마 지금 사회로 다가서다

‘이기적인 어머니’
Chapter 6
집단 3의 리엔터(re-enter)는 집단4의 졸업과
비슷한 시기에있었다.집단 4는 집단 3의 선택과
달리 커리어를 가정보다 먼저 생각하고 사회적
지위와 소득이 높은 직종에 진출했다.
집단 4의 여성은 임신을 막기 위해서가 아니라
임신을 하기 위해서였다.어머님들(집단3)은
육아율이 90% 이상이라 임신이 어렵지 않다고
판단했고, 고령의 산모에게 피해를 경고하는
사람은 없었다.
이 시기 여성의 초혼 연령은 눈에 띄게
높아졌다.또 일방적 이혼에 결혼법안 수정으로
이혼률도 늘고 있다.

초혼 연령이 낮아지고 이혼율이 높아지는 두


가지 수치 변화는 집단 4의 여성에게 '제한 없는
기간'을 길어졌다.여성의 삶이 가족 중심에서
직업 중심으로 바뀌고 있는 것이다.
집단4:자아정체성

National Longitudinal Survey:"35세 때 무엇을 할


건가요?"
자신이 일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인터뷰
대상자의 비율:

1968:33% 자신 미래 취업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면서 인터뷰 대상자인 35세가
1975:60% 됐을 때 경제활동 참여 여성의 비율이
1980:80% 75%, 대졸 여성의 비율이 80%에
이른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어머님을 포함한 집단 3여성이


불행한 삶을 살고 있다고 생각하기 시작했다.
집단4:자아정체성
많은 여성들이 자신의 커리어를 미리 준비하기
시작한 이 시기에 남성과 여성의 학력 격차가
줄어들고 대학 진학이나 졸업률이 점차 남성을
앞지르면서 1980년대는 역전되었다.

학력역전
전공역전

여성들이 자신의 커리어에 맞춰 전공을 선택하면서


집단3의 인기 직종은 1970년 38% 의 여성이 20년
만에 30%로 떨어졌다.여성들은 전통적인 '여성
영역'에서 벗어나 커리어를 삶의 만족에서 핵심으로,
일자리를 사회환경에서 핵심으로, 일의 목적도
가족돌봄에서 자아성취로 바뀌기 시작했다.
집단4:자아정체성

여성호칭의 변화
남편의 성을 따르지 않고 Miss./Ms.라는 호칭으로 바꿔 여성의 자아정체성을 높였다.
1990년에는 기혼 대졸 여성의 20%가 원래 성을 유지했다.

피임약의 발전과 허용 연령의 하향 조정


1976년 18~19세 미혼 여성의 73%가 피임약을 복용한 적이 있다.피임 기술의 발달과 집단3의 리엔터
로 집단4는 젊은 시절부터 자신이 장기간 노동시장에 있고 커리어가 이전 집단과 크게 달라질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Chapter 7
집단5는 공개적으로 'career and family'의 로망을 드러낸 1세대. 이들이 새로운 로망에 대한 갈증을
표현할 수 있는 이유는:

1.집단4의 여성들은 그들의 길을 닦았고, 또한 경고를 받았습니다(커리어는 가정의 여지를 남겨야 하며,
출산을 미루는 것은 영원히 출산을 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2. 과학과 의학의 발전로 집단5는 가장 늦은 출산연령, 출산연령을 늦추는 방법을 명확히 알게 되었고,
짝이 없어도 아이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3. 출산을 돕는 보조생식술은 매우 비싸고 의료보험의 대중화는 집단5의 이중추구를 보장했다.

그렇다고 집단5가 출산 계획을 앞당기는 것은 아니다.


집단4는 26세 여성 출산율은 31%,반면 집단5는 22%에 불과했다.
30대 중반 집단5의 출산율은 집단4와 비슷했지만 이후 계속 높아져 집단5는 30대 중반에서 30대
후반(심지어 그 이상)에 아이를 낳기도 했다.집단5의 '고학력 베이비' 비중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자녀가 없는 대졸 여성의 비율은 1955년 집단4에서 최고 28%까지 치솟았다가 이후 감소해 1975년
출생자(집단5) 중 20%로 떨어졌다.이 변화는 35세 이상 여성의 출산율 증가에 전적으로 때문이다.
집단5:How to define success?

집단 3부터 집단 5까지 커리어과 가정에서


이중으로 성취하는 여성이 크게 늘었고, 각
집단 내에서도 커리어와 가정을 동시에
성취하는 여성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컴바인 커리어 앤드 패밀리(combine career


and family)가 성공하고 있다고 해도 여성이
다시 한번 커리어을 포기하고 남성
동료들에게 밀려났다는 점에서 '실패한
혁명'이라는 관점도 있다.
집단5:How to define success?
집단 5가 생애 중반에 보여준 커리어 성취는 가정과
직업이 주는 시간과 정력의 압박으로 인해 여성이 커리어를
제대로 추진하지 못하는 반면 남성은 자녀 어린 시절에도
커리어 포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버드대 졸업생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여성의
절반만이 졸업 후 15년 동안 전일제 일자리를 갖고
있었다.하버드대 출신이 이러니 웬만한 대졸 여성들이 겪는
가정과 직업의 갈등이 얼마나 힘든지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집단 5에게 단순한 보조생식술보다 더 중요한


것은 시간제한을 해소하는 것이며 부부가 완벽하게
공평하게 시간을 나누면 여성은 커리어와 가정의 양립을
동시에 이룰 수 있을지도 모른다.하지만 지금의 사회
상황에선 엄청난 경제적 지출을 의미한다.

성별 소득격차가 사라지지 않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다.
Chapter 8~9
"릴리는 같은 해에 입사한 직원들과 같은 월급으로 시작하지만, 20년 후 릴리는
그들보다 15~40% 적은 월급을 받는다"
Why?

1.부하,상사,경영자; 2.급여 지급이 불투명하다; 3.퇴직 불가

cause

여성 협상력 부족

Cause? 잠재적 원인:


1.명확하거나 암묵적인 젠더 편견(예: 오케스트라
면접에서 가림막을 추가하여 편견을 줄이고 여성의 선택 가능성을 크게
높이는 등 노동시장에서 편견을 제거하는 것은 성 불평등을 근절하기
소득 격차 위한 해결책 중 하나다.)
2.직업 격리(occupation segregation) 직종 격리
외에 동종업계 같은 직종이라도 여성이 임금이
낮은 회사에 취직하는 경우가 많다.
사고 실험
실험 내용
필요에 따라 남성과 여성의 직업을 이전하여 남성과 여성의 전체 직중 비율을 동일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단, 직종만 조정하고 직종의 평균소득은 조정하지 않는다.

실험 결과
조정이 되면 남녀 간 소득 격차는 1/3 정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또 실제 고용시장에서 같은 직종에 성별
노동자 비율을 같게 하려면 대졸자의 40%는 직중을 바꿔야 하고, 전체 근로자의 50%는 직중을 바꿔야
한다.

실험 결론
직종 격리는 성별 소득 격차의 핵심 문제가 아니다. 즉,성별 소득 격차의 핵심 문제는 직업 간 문제가
아니라 직업 안에 소득 격차다.

어떤 특성을 가진 직업이 더 높은 소득 형평성과 부부의 형평성을 가질까요?


어떤 특성을 가진 직업의 여성 친화력을 더 높일까요?
업무 시간의 상대가치가 낮다

팀원은 대체성이 높다 성별
소득격차
제품과 서비스의 표준화
정도가 높다

6가지 핵심 요소

다른 이들과의 접촉
의사결정의 빈도
시간압박
업무 구조화 정도
인간관계의 형성과 유지
경쟁 정도
소득격차의 원인은 측정 가능한 교육수준, 업무경력, 직무기술 등에서 측정하기 쉽지 않은 요인으로 바뀌고
있으며, 여성은 남성보다 생애주기에 따라 소득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MBA 간의 큰 성별 소득격차 요인
여성의 퇴사 여부와 근무시간에 영향을
1.경력단절 미치는 문제에서 '배우자의 고소득 여부'는
2.주당 노동시간차이 출산과 육아의 부담
결과에 직접적인 변수로 작용하지 않고
'자녀 유무'를 매개로 작용한다.

1970년대부터 시간이 많이 걸리는 직중이 근로자에게 더 많은 소득을 가져다 주었다.


이로 인해 여성들이 가장 진입하기 어려운 업종은 지난 십여 년간 초고소득을 올릴 가능성이
가장 높은 업종이었다.

부부 간 육아 책임 분담

최대제약조건
유연성 높은 직업 따른 경제적 비용 경제적 비용이 클수록, 공평함을
포기할 가능성이 크다.
Chapter 10
변호사 사무실, 대학 등은 이미 여성의 경력 격차를 인식하고 있으며,
위탁-대리문제 채용 과정에서 절반의 여성 임원이 보장돼도 고위 관리자 중 여성의
두뇌 유출 문제 비율이 극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여성과 남성의 승진률 차이는 여성이
…… 수동적으로 취업 기회를 줄였기 때문이기도 하고, 여성이 승진하기 전에
이미 직장을 떠났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그래서 새로운 근무체계에 두뇌
유출을 막기 위해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고 있다.

육아on-call VS 일자리on-call

부모,특히 아버지는 자녀에게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싶다.


80%가 가장 좋은 결혼으로 쌍방 모두 커리어를 갖고 가사와 아이 돌봄을 함께 책임지는 것을
꼽았다.
Solution

"만약 회사가 직원들에게 더 많은 시간을 요구하지 않고 업무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면, 그들은 이런 추가 근무 시간에 대해 이렇게 많은 보수를
지불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면 성별 소득 격차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부의 평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기업의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다)

여성과 가정 뿐만 아니라 일과 돌봄 시스템도 재검토해야 한다.

1.유연성 높은 일자리 선택의 경제적 비용 절감


2.육아비용절감 성 불평등에 따른 경제적 결과는 최대한
해결되지만 부부 간 형평성 문제는
3.사회 규범을 바꾸다 해결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Summary
20세기의 대부분은 법적, 기술적, 사회적 장벽으로 인해 여성이 커리어와 가정을 모두 가질
수 없었다.
최근 수십 년 동안 대부분의 공개 차별화가 폐지되었으며, 피임 및 생식 기술을 통해 여성이
출산을 연기할 수 있고, 가정용 테크너르지가 비시장적 노동의 시간 요구를 줄이며, 이성
부부가 가족을 돌봄 노동을 더 공평하게 부담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커리어 중반의 소득과 승진 과정은 여전히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이 책은 코로나의 시대적 배경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팬데믹이 여성의 커리어 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은 같이 진행했다.
미국 여성들은 제조업에서 자동화와 글로벌 경쟁에 영향을 덜 받았지만, 서비스업에서 고용
비중이 높다는 것은 팬데믹으로 인한 충격이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커리어 발전에 대한 코로나를 인해 발견된 희망은 원격 근무와 유연한 근무의 실현
가능성을 있다는 것이며, 이는 미래의 일을 더 이상 '탐욕스러운'하지 않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깊게 알고 싶은 부분

1. 이 책은 성별 소득 격차, 특히 부부 간 소득 격차의 주요 원인으로 ' 탐욕스러운 일'을 꼽고, 피임


기술, 보조 생식 기술 개발, 커리어 회사화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소득 격차의 개선 원인을 논의했다.
그러나 더 깊은 원인, 즉 왜 이런 변화가 일어났는지에 대한 설명은 많이 드러나지 않는다.특히
변호사와 약사에 대한 논의에서 두 직업 발전의 수직적 변화를 분석하면 성별 소득 불평등 개선에 더
좋은 참고 자료가 될 것 같다.
깊게 알고 싶은 부분
2.경제사 방향의 전문가인 지은이는 이 책을 완성하면서 반세기가 넘는 역사적 통계를 통합, 처리해
결론을 도출하셨다.데이터 분석의 작업량은 상상하기 어려우므로 분석을 위해 미국 여성만 선택한
것은 이해할 수 있다.하지만 동시에 세계 다른 나라와 다른 사회 형태의 여성들이 직장에 형평성과
소득 격차를 받는 근본 원인도 같은 것일까?

대학·로펌 등이 이미 의도적으로 여성에게 더 적합한 일자리를 만들어 인재 유출을 막고 있어 성별


소득 불평등도 나아졌다고 책에서 언급했지만 중국 같은 경우는, 인구가 너무 많아서 같은 일자리에
경쟁자가 더 많으며, 경영자가 '인재 유출' 리스크에 직면하지 않는다.이런 상황에서 여성의
커리어와 가정의 균형을 맞추지 못하는 이유도 해당될까?지은이가 책에서 언급한 솔루션도 다양한
사회 형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깊게 알고 싶은 부분

3.책은 커리어 여성의 직장으로 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주로 출산/육아를 꼽았고,지은이가


마지막으로 제시한 해결책도 경영 시스템과 돌봄 시스템의 시간 투입 균형을 유지함으로써 소득
격차를 완화하는 데 집중했으며, 고정관념(집단 3 에서 제시한 '아이는 어릴 때 엄마가 곁에 있어야
한다' 등)에 따른 소득 격차는 거의 논의되지 않았다.지은이가 말하는 직업과 가정은 본질적으로
직업과 출산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
출산문제를 논의하거나 여성의 출산 여부로 성공 여부를 정의하려면 한·중 사회가 직면한 저출산
문제는 피할 수 없는 문제다.한·중 대졸 여성은 미국 대졸 여성에 비해 경제적 압력의 원천이 다르고
전통관념의 굴레로 인해 소득 평등을 쟁취하는 과정에서 더욱 힘겨운 싸움을 하고 있는데, 동아시아
사회에 이데올로기 문제는 바뀌지 않고 경영 시스템과 돌봄 시스템의 변화만으로는 소득 격차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깊게 알고 싶은 부분

4.연구대상자의 선정은 지은이가 대졸 여성만을 선택하였기 때문에 교육수준과 경제적


제약이라는 변수에 의한 소득격차의 이미 배제하였다.또 지은이가 돌봄 시스템을 바꿔서 소득
격차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 수준이 더 낮은 여성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필요가 있는지, 다른
여성의 이익을 조건으로 커리어와 가정의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는지 깊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한 사회문제가 해결되면서 새로운 사회문제가 생긴다면 위의 경우를 예로 들면 돌봄 시스템의
취업여성에 대한 차별과 저소득문제로 이어질 수 있고, 대졸여성이 가정과 교육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노력하기 시작할 때 자신의 성공으로 다른 여성의 이익을 희생시켜서는 안 된다.
깊게 알고 싶은 부분

5.지은이의 통계 방식대로라면 MZ세대 여성인 집단6는 커리어과 가정의 균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집단 5의 여성이 'career and family'을 부분적으로 할 수 있다면, '집단 6' 에 대해서는
커리어와 가정의 양립이 당연한 것일까?집단6 직면한 성별 소득 격차는 어떻게 달라졌을까?
관심있는 점

가정 노동 가치의 계산 문제 성별내의 역할분담

가정 노동 분담 문제 MZ세대의 성별 관념 변화

돌봄 시간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모녀 관계

사회 배경별 성별 소득 격차의 발생 원인 여성 출산의사


연구하고 싶은 주제

여성의 돌봄 참여도가 자녀의 성별 관념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가족 역할분담이 자녀의 교육 수준에 미치는 영향

돌봄 시스템별 여성의 출산의사에 관한 비교연구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