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7

페미니즘의 이해

오늘의 토론 논제

▪ [지정토론논제]
• 최근 페미니즘 이슈가 공론화되기 보다 비가시화되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 오늘날 잔존하는 젠더 사회화에 대해 자유롭게 사례를 들어 논의해본다.
• 남성과 여성은 서로 다른 기질을 갖는가? 그렇다고 한다면, 기질의 성별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자유주제토론]
페미니즘이란 무엇인가?
오늘의 수업 key

▪ 페미니즘이란 무엇인가
▪ 젠더란 무엇인가
▪ 여성다움과 남성다움
▪ 젠더 위계론
▪ 젠더 감수성
페미니즘에 대한 적대감을 갖는 사람들

▪ 페미니즘은 여성우월주의이다 ᅳ
▪ 페미니즘은 남성을 험오한다 ᅳ
▪ 페미니스트는 공격적이다 ᅳ
▪ 페미니스트의 요구는 급진적이다 ᅳ
▪ 여자 친구가 페미니스트라면 헤어지는 것이 낫다

(Glick&Fiske, 1996)
지양해야 할 요소

✓ 이항 대립 논리
✓ 어떤 현상이든 대립적으로 파악하는 이분법적 사유
페미니즘을 사유할 때 주의해야 할 것들

⚫ 젠더의 과잉 대표성
“넌 여자니까 그렇게 말하지“
“남자라서 그렇게 생각하는 거 아냐?”
→ 성별을 강고한 축으로 삼아 구성되는 젠더는 정체성의 다른 요소들을 압도해 버리기 쉬움

⚫ 젠더 전쟁 GENDER WAR
• 젠더를 남녀 간 성대결로 치환해 버리는 현상
• 성별 대립은 젠더 전쟁으로 묘사할 만한 수준으로 격화되기도 함
• 젠더를 앞세운 구호와 행동은 어느 한쪽의 존재를 배격하고 부정하는 방식으로 치닫기도 함

⚫ 존재의 특이성 젠더를 이분법에 국한시키지 않고, 차이의 무한함과 다양성 속에서 사
유. 젠더로 설명되지 않는 비교 굴가능한, 저마다 특이한 존재라는 사실.
페미니즘은 무엇을 배우는 학문인가?
페미니즘이란 무엇인가

▪ 여성학 women’s studies/ feminist studies/ Gender studies


▪ 여성주의 Feminism
여성주의는 성불평등의 원인을 찾아내어 여성에 대한 억압이나 차별을 시정하고 여성과
관련된 이슈를 대중적 논의 장으로 이끌어내는 것에 집중하는 실천적 활동을 의미.

▪ 여성의 위치에서 제기하는 인간 모두의 존엄과 권리에 대한 요구


페미니즘

▪ 페미니즘 서구에서 19세기 중반 이후 ‘여성의 권리에 대한 옹호advocacy of the rights of women의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함.
▪ 페미니즘을 한마디로 정의 내리기는 쉽지 않음.
▪ 역사적으로 페미니즘은 하나의 고정된 의미나 실체를 가진 것이기보다 다양한 갈래의 이념적 토대와
관점을 견지하는 사상,이론, 행동주의의 집합체임
페미니즘 운동 역사

▪ 페미니즘 운동
제1물결 페미니즘과 제 2물결 페미니즘

▪ 제1물결 페미니즘(the first wave feminism)


• 18세기말부터 1950년까지의 페미니즘 운동
• 여성은 근본적으로 남성과 같으나 여성에 대한 차별이 사회 전반에 존재하는 이유는 사회관습 또는 법
제도 등이 성 불평등한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
• 여성에 대한 차별을 제거하는 방법은 성 불평등한 사회관습과 법제도를 성 평등한 것으로 수정함으로
써 이루어질 수 있다고 주장함
• 초기 자유주의 페미니즘의 참정권 운동이 이에 속함
페미니즘 운동

▪ 제2 물결 페미니즘(the second wave feminism)

• 여성은 남성과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입장


• ‘다름’으로 인한 여성의 ‘다른 경험‘이 남성중심사회에서 차별화 또는 차등화 되고 이로 인해
여성에 대한 차별과 남성에 의한 여성의 억압이 야기된다고 주장
• 여성이 경험하는 여러 분야 특히, 출산과 육아를 연구함으로써 여성의 경험을 가부장적 사회
에서 어떻게 남성의 경험과 평등하게 해석할 것인가에 주목함.
• 또한 여성들 사이에서의 ‘다름’에도 주목함.
→ 여성들은 그들이 처해 있는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여성의 경험
을 하나의 범주로 묶는 것은 여성 개개인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며, 이러한 특수성
에서 파생되는 서로 다른 종류의 여성 억압이 간과될 수 있다는 것.

• 급진적 페미니즘, 정신분석학적 페미니즘,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이 여기에 속함.


페미니즘의 연구 관심

▪ 페미니즘은 여성을 중심에 두고 여성의 경험과 입장을 탐구의 대상으로 함


▪ 여성이 탐구의 주체가 되는 데서 출발
▪ 그러나 페미니즘이 단순히 여성에 대한 연구에 국한하는 것은 아님
▪ 여성의 경험을 중심에 두고 여성에 대한, 그리고 인간에 대한 연구로 학문적 관심을 확장
▪ 즉 페미니즘은 새로운 관점에서 인간과 사회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지금까지 보편성의 신화에 가
려져 보이지 않았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드러내는 것임
▪ 페미니즘은 과거와 현재 우리들의 삶에 대한 새로운 자료들을 모으고 해석함으로써 불평등과 차별
이 없는 미래를 만들어 가고자 함
Gender

“태어날 때에 두 성 사이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다” 케이트 밀렛, <성의 정치학(1970)>

“여성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 지는 것” 보부아르 <제2의 성(1949)>


젠더

▪ 성(sex): 남성과 여성을 구분 짓는 신체적 특성

▪ 젠더(gender): 양성간 나타나는 심리적, 사회적, 문화적 차이, 사회문화적으로 구성되는 성

▪ 젠더
• 특정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에게 기대하고 적합하다고 믿는 남성적, 여성적 태도와 가치,
행동 양식을 습득 시킨 결과로 개인이 갖게 되는 성적 태도나 정체성
• 젠더는 여자와 남자가 사회화되면서 학습해 가는 일종의 역할
젠더라는 개념으로 세상을 바라본다는 것은,

▪ 젠더라는 개념으로 세상을 바라본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 기존에 당연하다고 여겨 왔던 것들이 뭔가 이상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젠더라는 개념의


등장으로 오랫동안 정치적 무의식의 상태에 있던 성차의 문제는 다양한 방식으로 도전을 받는다.
• 젠더는 사랑, 결혼, 가족 구성, 출산,양육, 노령화를 포함한 사적 영역부터 경제, 종교, 정치, 미디어,
학교 등의 모든 공적 영역에 작동하는 강력한 체제이다.

• 남성성과 여성성의 차이가 생물학적 차이에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가 아니라는 자각이 일어나면서
성차 즉 젠더는 분석적 대상이며 실천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삶의 일부라는 인식이 확산
• 젠더 개념이 태동한 이후 이제까지 당연하게 여겨온 여성과 남성의 차이나 공사 영역의 성 역할 구분
등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변화를 위한 대안을 만들기 위해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 젠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젠더 사회화(Gender socialization)

▪ 남성과 여성의 표상
어렸을 때부터 사회화를 시킨다면, 의복, 취향, 관심 분야, 취미, 말투 등 사회가 규정하는 남성
적인, 여성적인 것을 따르게 될 것임

• 남성은 파랑색, 여성은 붉은 색/ 화장실에도 동일


• 남성은 신사복장, 여성은 드레스 치마 복장.
• 남성은 숏 컷, 여성은 긴 머리, 화려한 모자의 모습
• 여성은 사랑, 결혼, 문화, 예술, 육아, 돌봄, 디저트, 재봉
• 남성은 이성, 직업, CEO, 경제, 정치, 권력

➢ 현대적 관점에서 보면, 받아들이기 어려운 지점


젠더 각본 gender scripts

▪ 전통적 남성성 ‘우리 사회에서 남성에게 요구되는 기질과 성향’

전통적인 남성성 규범 4가지 유형


• 첫째,남자 는 여자같은’ 행동을 해서는 안된
• 둘째,남자는 부•권력 • 지위 등에서의 성 공을 이뤄야 한다.
• 셋째,어떠한 어려움에도 바위나 나무처럼 견고하게 흔들 리지 않고 약한 모습을 보이지 않아야 한
• 넷째,위험을 감수하고 필요하 다면 공격적인 행동도 표출할 수 있어야 한다

▪ 전통적인 여성성'우리사회에서 여성에게 요구되는 기질과 성향‘


전통적인 여성성 규범 4가지 유형
• 첫째, 여자는 남편에게 무조건 순종해야 하며 나서지 않아야 한다.
• 둘째, 여자는 사회적 성공보다 가정 안에서 아내, 어머니로서 자녀의 돌봄과 가사 양육에 몰두해야 한다.
• 셋째, 여자는 연약하고 관계 지향적이며 의존적이다.
• 넷째, 여자는 성공, 쟁취, 독립 보다 돌봄, 배려, 지원 등의 성향과 기질이 강하다.
여성성, 남성성의 형성

✓ 남성은 수학과 과학 능력이 뛰어나고 여성은 예술과 인문학 계열 능력이 뛰어나다?


✓ 왜 정치인이나 기업의 CEO는 주로 남성인가?
✓ 왜 양육이나 가사 일은 주로 여성이 맡는가?
✓ 왜 양육이나 가사 일은 사회적으로 평가받지 못하는가?

남성과 여성은 서로 다른 기질을 갖는가? 그렇다고 한다면, 기질의 성별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공론장에서 발언 기회를 갖는 사람들
여성과 남성은 본래적으로 다른 가?

▪ 정신분석학 관점

▪ 사회구성주의 관점(대상관계이론)
여성과 남성은 본래적으로 다른 가?

▪ 생물학적 결정론biological determinism


• 차이 강조의 정치성
• 생물학적 또는 유전적 특성의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른 기질을 발전시킨다는 입장
여성성, 남성성의 형성: 본질주의 관점

여성은 태어나기를 남성보다 열등하다?

▪ 지그문트 프로이드(G.Freud), 생물학, 정신분석학적 관점


• 두 성 간의 차별적 상태를 이론적으로 주장

- 여성과 남성은 서로 다른 성 심리 발달

- 여성은 처음부터 결여된 존재

•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생물학적 결정론biological determinism

▪ 존 그레이
• 둘 사이에 타고는 심리가 다르다는 것
• 고민 있을 때 남성은 동굴 들어가서 자기 혼자 사색하며 고민 해결
• 대화를 더 많이 하면서 고민 해결 여성
• 서로 이해하려면 서로 다른 존재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


• 은유적 수사를 진실로 받아들일 수 있을까?
• 동의? 동의 안한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
• 또 이런 식의 구분이 맞다?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 생각해보자!
사회구성주의(social constructivism)

▪ 사회 구성주의
• 생물학이 아니라 사회, 문화적인 맥락에서 그 이유를 생각해보자.
• 가령 최근 여성과 남성의 학력 차이가 줄어들고 여성들의 경제활동 참여가 증가하는 것은 과거
와 현재 여성들의 생물학적 유전자가 달라졌기 때문이 아니라 이들을 둘러싼 사회, 문화적 맥
락이 변화하고 있기 때문

▪ 페미니즘은 생물학적 결정론에 도전 하면서, 지금까지 자연스럽게 여겨왔던 것들에 대해


새로운 질문을 던지며 시작한다.
여성성, 남성성의 형성: 사회 구성주의 관점

만들어진 성, [제2의 성]

“여성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 지는 것이다”


보부아르 <제2의 성(1949)>

▪ 1948년 시몬 드 보부아르는 그의 저서 <제2의 성>에서 여성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는 말로 젠더 개념을 제시

▪ 보부아르는 여성성과 남성성이 단순한 성적 차이가 아니라 남성중


심적 가치와 규범을 반영하면서 성립된 남성성과 여성성이라는 점
을 강조함.

▪ 즉 강한 성strong sex 또는 제1의 성the first sex으로 스스로를 정


의해 온 남성에게 여성은 남성의 타자, 즉 제2의 성으로 간주되면서
남성에 의해 정의되고 정체성과 역할이 규정되는 대상이 된다.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 남자의 탄생

<남자의 탄생> 전인권


▪ 남자는 남자로 태어나는 게 아니라 일정한 맥
락 속에서 남자로 만들어진다는 것
▪ 남자가 한국 사회에서 사회적으로 탄생하는 과
정을 묘사.
▪ 한국 남자의 인성 형성 과정을 심리, 정치,
사회적 맥락에서 분석
▪ 한국 남자들의 정체성을 결정지은 한국 특유
의 가족문화와 한국 사회 구조 특징들
여성성, 남성성의 형성: 사회 구성주의 관점

▪ 대상관계 이론(object relations theory)

여성학자 낸시 초도로우(N.Chodorow)

유아가 어머니와 맺는 관계의 중요성


대상관계 이론(object relations theory)

▪ 대상관계 이론
• 유아가 어머니와 맺는 관계의 중요성

• 여아의 어머니에 대한 대인적 동일시 (personal identification)와

관계 지향적 정체성(relational identity) 의 형성

• 반면 남아는 아버지에 대한 위치상의 동일시 (positional identification)

와 함께 개체 지향적 정체성 (individual identity) 형성

• 부모의 공동 양육의 필요성 강조


젠더 질서Gender Order

▪ 래윈 코넬의 ‘ 젠더 위계론 (Gender Hierarchy)’


• < 젠더와 권력 (Gender and Power, 1987)>, < 남성스러움 (Masculinities, 2005)> 등

• 사회적으로 여성에 대한 남성 지배는 어떻게 조직되는가 ?

• 남성스러움은 젠더 서열에서 어떻게 위치 지어지는가 ?


젠더 위계론 Gender Hierarchy

▪ 젠더 위계론, 1980-2000 연구 발표
R.W. Conell, 젠더와 권력Gender and Power 1987/ 남성다움 Masculinities 1995

• 페미니즘이 여성우월주의가 아닌 것처럼 남성학도 남성 우월주의는 아님


• 남성이 아닌 남성스러움!
• 여성스러움과 남성스러움이 사회적으로 위계적으로 배치되는 방식
• 왜 그렇게 배치되는 가?
☞고대로부터 지금까지 여성에 대하여 남성이 지배하는 서열관계가 만들어지는 방식 설명
• 남성성과 여성성의 서열관계를 만들어 내며 정치적으로 남성의 여성 지배 정당화를 만들어 옴
젠더 위계론 Gender Hierarchy
젠더 위계론 Gender Hierarchy

▪ 양성의 위계관계가 아닌, 남성스러움과 여성스러움의 위계 관계로 보고, 여러 갈래로 그


관계성을 논의함
▪ 가부장제 사회에서 프리미엄을 받는 또 다른 지표로 따져 보며 또 다른 서열구조를 밝힘
▪ 이런 설명도 완벽하다고 이야기 되지는 않음: 경험적으로 충분히 증명되지 않았기 때문
▪ 그러나 젠더 레짐이 어떤 식으로 안정적으로 사회에 인류에 구조적으로 안정적으로 자리
잡혀 왔나, 정태적으로 보는 것이 아닌, 도전, 변화 가능성을 보고 논의하고 있기 때문에
유효한 이론이라는 평가
“패권적 헤게모니”

▪ 패권적 남성스러움-마초, 헤게모니, 주도권


Ex) 터미네이터 역할을 했던 아놀드 슈네거
사회적으로 지배할 수 있는 권력이 있고, 풍채가 있으며, 근
육이 있고 물리적, 정치적, 경제적, 지위적으로 유급직이고
회사에서도 사장 역할, 강인함의 위치

▪ 패권적 남성스러움을 갖춘 자가 사회를 지배하는 것이 당연


하다고 보는 것이 젠더 위계의 시작
젠더 감수성(gender sensitization)

▪ 젠더화된 사회
• 젠더화된 사회에서 싸움을 잘하는 몸, 체격이 큰 몸, 근육질의 몸은 남성다움을 의미하며, 아
름다운 몸, 날씬한 몸, 가녀린 몸은 여성다움을 의미함 => 성별에 따라 그러한 남성되기, 여성되
기가 기대됨
• 같은 직장을 다니더라도 여성과 남성에게 다른 역할이 기대되고 다른 책임이 주어짐
• 성별 차이에 집중해 발생하는 역할 구분과 차별이 일어나는 젠더화된 사회에서 젠더 감수성
의 발현이 매우 중요함

▪ 젠더 감수성
• 젠더는 우리에게 밀접하고 익숙해서 ‘당연한 것’으로 이해되거나 체감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

• 이러한 젠더와 다른 사회요소들이 얽 혀 만들어낸 사회현상을 민감하게 인식하는 감수성
• 우리 삶의 곳곳에 존재하는 젠더 문제를 당연한 것으로 바라보지 않는 감수성이 필요

※참고자료: 지금 시작하는 젠더감수성, 한국성폭력상담소


The end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