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1

신지민
김양순 교수님
영문학 연구방법론
2023년 4월 13일
가장 푸른 눈에 나타난 이중의식과 흑인성

1985년 헨리 루이스 게이츠 주니어(Henry Louis Gates, Jr)의 문학 연구에서 인종 문제가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는 주장 이후, 인종 문제를 고려하여 텍스트를 읽고 문화를 분석하는
것이 당연시되었다. 1994년 로렌스 레이니(Lawrence Rainey)와 로버트 본 할베리(Robert
von Hallberg)는 인종 문제가 모더니즘과 모더니티의 사회적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는
주제로 『모더니즘/모더니티』(Modernism/Modernity) 저널을 출간하였다. 이들은 인종 문제
가 20세기 주요 탐미주의 운동(aesthetic movement)1)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
다. 이에 따라 이전에는 소수 문학 학자들이 주로 관심을 가졌던 주제가 문학과 심미적 연구
의 주요 개념 중 하나가 되었다.
케네스 워렌 (Kenneth W. Warren)이 「인종과 민족」(“Race and Ethnicity”)은 지난 20년
간 문학 비평가들에게 인종 문제가 다뤄졌는지를 분석하고, 인류를 인종으로 분류하는 것을
정당화할 수 있는 학문적 근거가 생물학적으로는 없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인종은 사회적인
구성이며, 인종을 생물학적 기준으로 분류하는 것의 오류는 랠프 번치(Ralph Bunche)와 올리
버 크롬웰 콕스(Oliver Cromwell Cox)와 같은 학자들이 인종화의 경제, 정치 및 사회적 기반
을 확립한 연구를 발표하면서 알려졌다. 두보이스(W. E. B. Du Bois)는 1940년에 블랙(흑인)
이 아니라 인종적 그룹을 어떻게 구별하고 부르며, 그룹을 인식하는 방법에 대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찾으려 노력하였으며, 조지아에서 짐 크로우(Jim Crow)를 타야만 하는 사람이 바로 블
랙(흑인)이라고 단순히 답했다.
인종 차별을 정당화하기 위한 생물학적 또는 철학적 근거를 반박하려는 노력이 있었으나,
몇 가지 요인으로 인해 이러한 노력이 방해받았다. 이러한 요인으로는 첫째, 흑인의 문제가
대부분 노예제도, 인종 차별, 가난 등의 병리학적 반응으로 설명된 사회학적 근거 대한 반박
으로써, 자체적으로 생산되는 흑인의 독자적인 문화 개념을 제시하였다. 둘째로, 1960년대의
시민권 운동 이후에도 흑인의 불균형한 빈곤은 지속되었다. 이는 인종 차별이 아닌 다른 요인
이 흑인과 백인의 차이를 설명해야 한다는 신보수주의 학자들의 주장을 일으켰다. 마지막으
로, 1970년대 중반에 사회생물학이라는 분야가 발전하면서, 인간의 DNA가 관리하는 인간의
활동 영역이 이전에 인식되었던 것보다 훨씬 크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로 인해, 동정심과
같은 도덕적 미덕이 한 사람의 유전자 코드 구성과 관련이 있다면, 인종 차이도 생물학적 현
실일 가능성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대두되었다.
콰메 앤서니 아피아(Kwame Anthony Appiah)의 『미완성의 주장: 두보이스와 인종의 환
상』(The Uncompleted Argument: Du Bois and the Illusion of Race)에 따르면 인종은
생물학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창조물이다. 또한, 생물학적 본질주의를 비판하며,
인종, 성별 또는 성적 정체성과 같은 정체성이 생물학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구성되었
다는 것을 주장한다. 이는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계급을 만들기 위해 인종과 성별을 생물학적
특성으로 지정하는 것이 불공정하며, 정의로운 사회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본질주의를 공격하

1) 탐미[유미]주의 운동(1880년대 영국에서 일어난 운동으로 예술과 문학은 다른 도덕적 목적이 아닌 그


자체의 가치를 지닌다고 주장함)
2

고, 사회적 구성주의를 받아들이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일부 학자들은 본질주의에 대한 공격이 인종차별주의와 반대 정치적 상황과 동일시되는 것
에 반대하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인종을 완전히 없앨 수 있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능한지 의
심한다. 이들의 반대 의견은 인종이 반드시 본질주의적인 것인가, 그렇다면 본질주의는 항상
나쁜 것인가, 반본질주의는 항상 좋은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이에 따라, 토니 모리
슨(Toni Morrison), 조이스 앤 조이스(Joyce Ann Joyce), 바바라 크리스천(Barbara
Christian) 등 흑인 여성 작가와 비평가들은 포스트 구조주의 비판 이론이 인종과 문학 분야
에서 흑인 학자와 작가들의 중요성을 약화시킬 우려를 표명했다. 특히, 크리스천은 비판 이론
의 배타적인 언어가 미국 흑인 문학이 강조되는 시기에 등장한 것에 대해 의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비판 이론이 대중적인 민주주의를 추구하지만, 주로 남성 학자들과 소수의 엘리트
기관과의 연관성으로 인해 이러한 민주주의적 가치가 실현되지 않았다는 주장한다. 또한, 인
종은 지배의 수단이 되기도 하지만, 지배받는 집단들이 자신들의 일원성을 유지하고 백인 우
월주의에 대항하기 위한 수단이 되었다. 특히, 인종이 정체성의 일부분이기 때문에 미국 흑인
비평가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부인하거나 감소시키는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위험하다고 경고한
다. 따라서 이들은 스스로의 정체성을 잘 고려하고 버리기 전에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
하고 있다.
비판적 인종 이론가들과 포스트 구조주의 학자들은 인종 문제를 무시하는 것이 위험한 정치
전략임을 의심한다. 이들은 본질주의가 문제라는 것에 동의하지만, 불평등에 대한 해결책으로
서 비인종주의를 옹호하는 것이 의심스러운 것도 동의한다. 스튜어트 홀(Stuart Hall)의 『지배
적으로 구조화된 인종, 언어, 사회』(Race, Articulation, and Societies Structured in
Dominance)에서 인종주의는 이데올로기를 부여하는 수단이 될 수도 있지만, 반대로 저항의
문화적 기반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갈등과 모순적인 특성을 고려하면서 인종의 이데올로기
와 정치를 분석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또한, 인종 중립적인 틀 안에서 개인주의와 실력주의
를 강조하며 (불)평등성을 재정의한 것은, 명시적인 인종차별 방어보다 인종 계급 제도를 효과
적으로 유지시킨다고 주장한다.
20세기 후반 우파 정치인들이 대학 입학, 고용 및 공공 계약 할당에서 인종을 고려하는 프
로그램을 금지했지만, 여전히 인종 간의 소득, 재산, 교육 수준, 삶의 질에서 격차가 났다. 또
한, 중도 좌파 비평가들은 인종 분석의 타당성을 비판하면서, 이론과 실제 사례의 적용 사이
에 발생할 수 있는 어려움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였다. 이는 소수집단들이 자신들의 정치적 요
구를 정체성적 용어로 계속해서 제기하면서 결과적으로 이론과 실천 사이에 괴리가 생길 우려
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인종적 차별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이론과 실제 사례의
적용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어려움을 나타낸다.
스피박(Spivak)은 학계 내 반본질주의 문화 이론과 외부에서의 본질주의적이고 정체성주의
적인 정치적 실천을 연결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본질주의를 완전히 배
제하기 어렵다고 경고한다. 급진주의 학자들이 본질주의를 전략적으로 포기한다면, 하위층 인
종 집단의 목소리가 더욱 침묵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만약 인종에 대한 반본질적인
설명이 가능하다면, 스피박의 전략적인 핵심주의는 필요하지 않다.(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면 안
되기 때문에, 이론과 실천 사이의 괴리를 줄이기 위해 전략적 핵심주의를 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윈넌트(Winant)와 비판적 인종 이론가들은 각각 사회학과 법률학 분야에서
연구한다. 비판적 인종 이론은 인종에 따른 불평등의 실체와 그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
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이론적 접근법이다. 이론은 인종적 차별을 경험하는 하위층들의
3

목소리를 듣고, 이들이 직면하는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문제를 다각도로 분석하여 인종적 불
평등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사회적 변화를 제안한다. 이에 따라, 인종의 유연한 인식
과 다양성의 가치를 존중하며, 인종 간 부의를 구분하고 개선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위넌트는 인종이 인간 다양성의 유연한 차원으로 인식되지 않고 문제로 인식된다는 점이 현
재 우리가 직면한 큰 문제 중 하나라고 언급한다. 그는 인종을 인간 신체의 영구적인 특징으
로 강조하는 것은 인종주의의 논리에 동의하는 것이라고 지적하며, 인종을 인간 신체 유형에
관한 사회 정치적 갈등과 이익을 상징화하고 표현하는 개념으로 유지하고자 한다. 이러한 인
종 개념은 생물학적으로 기반을 두고 있지만, 이러한 특정한 인간 특징을 인종적인 상징으로
사용하는 것은 사회적인 역사적 과정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위넌트는 “인종”이라는 단어를 인
간을 분류하는데 사용하는 생물학적 근거가 없으며, 서로 다른 인간 집단을 구별하는 데 사용
되는 사회적 역사적 범주는 정확하지 않거나 완전히 임의적일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다이애나 퍼스(Diana Fuss)의 『본질주의적 발언』(Essentially Speaking)은 본질주의가 그
자체로는 좋은 것도 나쁜 것도 아니며, 사용자와 사용 방식에 따라 급진적이거나 보수적일 수
있다는 것을 주장한다. 그리고 본질주의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하위 범주 분류를
통해 재정의하고 분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한다. 테리 이글턴(Terry Eagleton)도 이와 동
의하며, 반본질주의가 좌파의 필수적 특징인 것은 아니며, 인간에게 필수적인 욕구를 구분하
기 위해 본질주의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인종과 같은 집단적 정체성의 형
태가 우리의 인간성에 필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인지 여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문화적 정체성은 우리가 세상을 인식하고 인지하는 주체성의 중심이 된다. 이는 생물학적으
로는 우리를 특정 인종이나 성별로 결정하지 않지만, 역사적인 배경으로 인해 그러하게 된다.
흑인 정체성 문제를 퍼스와 호텐스 스필러(Hortense Spillers)는 두보이스의 1903년 고전인
『흑인의 영혼』(The Souls of Black Folk)에서 분석한다. 흑인들이 이중의식(double
consciousness)을 경험하며 자신을 타인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자신의 영혼을 타인의 시선으
로 측정하게 된다는 것을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은 포스트모던주의와는 대립하며, 흑인들의
다양성을 주장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이중의식은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구조주의 계열에
속하는 분석 방법들을 촉진시키면서도, 이중의식이 이러한 계열들과는 상반되는 전통을 따르
기 때문에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이중의식은 흑인 주체성과 백인 주체성이 서로 다르게 형
성며, 이를 통해 흑인과 백인 간의 차이를 동시에 주장한다. 동시에 이중의식은 사회 규범을
유지하면서도 때로는 도전하는 상황에 처한 흑인 작가들이 작품에서 이용한 유용한 개념이다.
길로이(Gilroy)는 흑인 문화에 대한 본질주의적인 접근과 유연한 접근을 조화시키는 방법을
찾기 위해, 대서양 지역에서의 흑인들의 경험과 공유된 감성 구조를 탐구한다. 노예제도가 현
대적인 착취의 형태이며, 이에 대한 문화적 대응을 예술과 음악을 통해 표현한다. 길로이의
개념은 역사학자들 사이에서 이미 유행하고 있었지만, 『검은 대서양』(The Black Atlantic)의
개념은 국가적 경계 내에서 갇힌 문화 접근법을 벗어나는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학자들
에게 강력한 영감을 주고, 특정 지역사회를 디아스포라로서 묘사될 수 있다. 이안 바우콤(Ian
Baucom)은 길로이의 『검은 대서양』을 통해 현대성을 발견했다는 것을 인정하고, 영향력있는
연구라고 칭찬한다. 또한, 인종적 경계를 초월하여 더 포괄적인 개념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
다. 이는 『검은 대서양』이 서구 근대성과는 다른 민족성을 가진 흑인 문화의 개념으로서 독특
하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인종에 대한 경계를 넘어 다른 경계와 연결될 수 있음을 의미한
다.
아피아는 인종이 할 수 있는 일 중 모든 것을 대신할 만한 것은 없다고 경고하였으나, 일부
4

학자들은 다문화주의나 다원주의 개념이 인종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


러한 개념은 미국 학계 밖의 정치적 상황을 분석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았다. 그러나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기인 민권 및 흑인 권력 운동 이후로 인종 문제는 지배적인 아이디어로
자리 잡았으며, 해롤드 크루즈(Harold Cruse)의 『흑인 지식인의 위기』(The Crisis of the
Negro Intellectual)는 흑인 엘리트들이 통합주의적인 사회 진보 모델에 동조하면서 그들의
유대인 리버럴 동맹자들이 민족 집단 모델에 대한 개념을 고수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
하고 있다는 비판을 제시하였다. 다문화주의나 다원주의 개념은 학계 밖에서의 미국 정치 상
황을 올바로 분석하는 데 적합하지 않았으며, 학계에서의 문학과 역사 연구에서는 백인이 아
닌 작가들과 백인 여성 작가들의 작품을 무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민족과
다문화주의, 페미니즘이 미국의 문학 연구에서의 편견과 부족함을 드러내는 유용한 도구로 작
용하였다. 1980년대와 1990년대 미국에서 발생한 역사와 민족성에 대한 연구는 지역사회 이
외의 인종적 소수자 집단에 대한 포괄적인 정체성 연구였다. 미국 사회에서 존재하는 불평등
을 강조하였다. 백인 지배와 민족적 정체성 간의 경계가 지난 150년 동안 변화하고 수정되어
왔으며, 이러한 변화를 다루기 위해 백인 연구가 등장하였다.
백인성 연구가 사회 구성주의의 지지를 받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재구성된다. 또한, 현재 백
인으로 인식되는 많은 사람들이 과거에는 백인으로 인식되지 않았다. 해리스(Harris)와 다른
연구자들은 백인이라는 정체성이 상징하는 것이 상속적인 혜택과 특권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밝혔다. 이러한 특권은 개인적인 의도와 관계없이 작용하며, 비판적인 인종 이론과 관련하여
논의되고 있다. 흑인 학자들은 백인 연구자들이 아프리카 미국학 분야에서 연구를 진행할 때
무의식적으로 백인과 남성의 권력을 지속시키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경고한다. 백인
학자들이 자신들의 백인 정체성에서 벗어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다루고 있습니다. 그들은
자신을 거울 속에서 객관화하고, 현실적인 상황에서 윤리적인 가치에 대해 선택하며, 백인 정
체성과 연관된 혜택들을 버린다. 하지만 이러한 해결책은 역사와 사회적 구조의 영향을 무시
하고, 개인적 심리학과 영웅주의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논증적 결함이 있다. 따라서 개인적인
심리학적인 해결책으로만 문제를 해결하기 보다는 역사, 문학, 사회적 역사를 읽고 사회운동,
작가, 문학작품 등이 인종적 교리에 대항하거나 따르는 것을 도덕극으로 보면서 문제를 해결
해 나가야 한다.
최근 미국 문학 연구는, 셸리 피셔 피쉬킨(Shelley Fisher Fishkin)에 따르면 랠프 엘리슨
(Ralph Ellison)의 흑인이 미국 상상력의 중심에 있다는 주장과 관련있다. 피쉬킨은 마크 트
웨인(Mark Twain)의 작은 스케치 「사회적인 지미」("Sociable Jimmy")가 흑인 소년 허클베리
핀(Huck Finn)의 언어체에 영감을 주었다고 주장하며, 흑인 작가들과 백인 작가들 간의 상호
작용을 성공적인 인종 간 문학주의로 바라보라고 촉구한다. 마이클 노스(Michael North)의
『모더니즘의 방언』(The Dialect of Modernism)에서 엘리엇, 에즈라 파운드, 월러스 스티븐
스(T.S. Eliot, Ezra Pound, Wallace Stevens)와 같은 모더니즘 시인들이 흑인 방언과 특징
화를 널리 사용했다는 점에 주목하여, 모더니즘 시인들이 표준적이고 권위적인 언어에 대한
도전을 시도하는 데 있어서 방언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주장한다.
문학적 장르와 모드가 특정 정치적 입장과 분리되어있는 것이 이 연구의 정치적 가치이
다. 현실주의나 감정주의와 같은 것들은 본질적으로 아무 의미가 없으며, 특정 시대와 상황에
서 비로소 그들의 정치적 힘이 생겨난다. 또한, 엘리슨의 작품이 인종분리 시대 이후에도 검
토되면서, 흑인 작가들이 짐 크로우(Jim Crow) 시대에 취한 흑인을 대변하는 역할이 현대의
흑인 지식인들에게 여전히 유혹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드러내고 있다.
5

리드(Reed)는 두보이스의 이중의식 개념이 현대의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인종 문제에 대한


작업에서는 한계가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이중의식이 두보이스가 가장 많이 논의한 개념으
로, 상대적으로 최근에 등장한 것이다. 이중의식이 두보이스가 생각해낸 시기 이후의 현대 흑
인 지적 생활에서 더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에, 두보이스의 개념이 현대의 흑인 지적 생활
을 완전히 설명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현대의 흑인 지적 생활은 휴스턴 베이커(Houston
Baker)와 헨리 루이스 게이츠의 문학 학문적 연구로 지배되고 있다. 그들은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지만, 흑인 전통을 확립하기 위해 하나로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것
은 저자와 사상가들 사이의 차이를 무시하거나 불확실하게 해결하며, 집단을 대변하면서 특정
계급의 이익을 추진하는 경향이 있다.
마이클의 주장에 따르면 모더니즘 작업은 인종화 작업이었다. 따라서 『모더니즘/모더니티』
에서 두 개의 발행물은 출간 후, Michaels의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또 다른 이슈에서 Our
America에 관한 토론의 발표를 다시 인쇄하게 되었다. 이 패널 토론 참가자들은 Michaels의
도전을 각기 다른 방식으로 정의했지만, 학계에서 레이스에 대한 연구가 가지는 정치적 의미
에 대한 우려가 가장 크다.
마이클은 모더니즘 작업이 인종화 작업이었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모더니즘/모더니티』지는
처음 두 개의 발행물을 인종 문제에 관한 것으로 다루었고, 마이클의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의 미국」(“Our America”)에 대한 패널 토론의 발표를 다시 인쇄하게 되었다. 이 패널
토론 참가자들은 마이클의 도전을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했지만, 학계에서 인종에 대한 연구가
가지는 정치적 의미에 대한 우려는 크다. 즉, 인종에 대한 학술적 연구가 어떠한 정치적 의미
를 지니고 있는지에 대한 문제가 있다. 이 연구는 현재의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는 도구가 되
지는 않지만, 사회적 불평등의 문제를 문학적 대표성의 문제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을 것이다.

1. 흑인문학
흑인문학의 역사는 오랫동안 노예제도와 인종차별을 겪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경험과 역
사에서 비롯된다. 흑인문학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흑인 관점에서 명명된 흑인성
(blackness)의 개념과 두보이스(William Edward Burgkardt Du Bois)가 강조한 이중의식
(double-consciousness)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안경미 1). 두보이스가 말한 이중의식은 백
인중심의 미국사회에서 미국인이자 동시에 흑인으로서 갖게 되는 감정으로 흑인은 자신이 속
한 공동체와 백인들의 기대에 모두 부응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자신의 정체성과 인식을 형성
한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미국 흑인 문학사에 있어서 1920년대에 미국 뉴욕의 할렘(Harlem) 지역에서 벌어진 흑인
문화 발전의 역사적인 시기를 할렘 르네상스(Harlem Renaissance)라고 부른다. 할렘 르네상
스는 흑인 예술가들의 대중성과 창의성을 중시하면서도, 흑인의 유일성과 다양성을 강조하였
다. 할렘 르네상스 이후 193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활동한 하비스트(Harvest)는 할렘 르네
상스에서 활동한 작가들과 비슷한 흑인 정체성과 경험을 가진 작가들이 모인 그룹으로, 주로
사회주의적인 이념과 흑인 해방 운동을 주제로 작품을 발표했다. 사회적, 정치적 이슈를 중심
으로 흑인 문학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을 논의하였다. 1950년대와 1960년대부터는 미국의 인
종 갈등이 극대화되면서, 흑인 문학도 그 영향을 받았다. 미국 사회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인
마틴 루터 킹 주니어(Martin Luther King Jr.)가 주도한 비폭력 민권운동과 말콤 엑스
(Malcolm X)를 필두로 한 블랙파워 운동(Black Power Movement)과 함께 흑인 작가들이 자
6

신들의 작품을 통해 흑인들의 정체성을 강조하고, 인종차별과 인종 갈등을 비판했다.

2. 이중의식과 정체성의 결여
토니 모리슨은 그녀 자신을 “흑인 여성작가(black woman novelist)” (Taylor-Guthrie
243)이면서 “자유의 땅인 중서부출신의 전형적인 사람(midwestern)”(Schappell 119)이라고
표현하였다. 이는 그녀가 흑인인 동시에 자유로운 미국인으로 두 개의 정체성을 한 몸에 지닌
사람임을 인정하는 말로, 모리슨은 두보이스의 이중의식을 잘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
한, 그녀는 흑인 공동체가 자신의 정체성 확립과 흑인성 인식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이야기
한다. 가장 푸른 눈(The Bluest Eye)은 미국 오하이오주의 작은 마을 로레인을 배경으로
하며, 흑인(black), 여성(woman)이라는 단어를 빈번하게 사용된다. 자서전적인 성격이 강한 
가장 푸른 눈에서 모리슨은 흑인 공동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공동체에 대한 실제적인 탐험
과 인종차별과 가난 때문에 생긴 그 시대의 사건을 사실적으로 보여준다.
가장 푸른 눈는 가을을 배경으로 이야기가 시작된다. 서문에서 성인이 된 클라우디아
(Claudia MacTeer)의 “1941년 가을에 금잔화는 피지 않았다.”(Quiet as it’s kept, there
were no marigolds in the fall of 1941, 5)는 독자로 하여금 소설의 비극적 결말을 예견하
게 한다.
피콜라(Pecola Breedlove)의 가족은 백인들에 대한 열등의식으로 스스로를 희생시키는 존
재이다. 특히 피콜라와 그녀의 엄마 폴린(Pauline)은 흑인스러운 것(blackness), 추한 것
(ugliness)이라는 말을 사용함으로써 백인 사회의 이념을 비판 없이 수용한다. 그들은 스스로
를 추하다고 믿는다. “마치 모든 사람들이 미지의 전능한 주인으로부터 추함의 망토를 받은
것처럼 보인다.”(It was as though some mysterious all-knowing master had given
each one a cloak of ugliness to wear, 39)에서 피콜라와 그녀의 가족들이 자신들이 갖고
있는 검은 인종적 특징 때문에 추하게 여겨지는 것 같은 느낌을 받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느낌은 그들이 사회적으로 교육받지 않고, 가난하고, 인종차별을 경험하며 살아
가기 때문에 더 강조된다. 이는 흑인들이 백인들의 아름다움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인식
으로부터 비롯된 자신감 상실과 자아혐오를 보여준다. 피콜라의 부모 콜리(Cholly)와 폴린의
자기 부정은 피콜라를 가장 큰 희생자로 만든다. 피콜라가 야코보우스키(Yacobowski)와 마주
치는 장면은 피콜라의 자기 부정이 가장 잘 드러난다. 둘의 마주침에서 야코보우스키는 피콜
라를 하나의 인간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무가치한 존재(nothing)로 바라본다. 그 후, 피콜라가
고개를 들었을 때 마주친 가게 주인은 그녀의 존재를 무시한 채 제대로 쳐다보지도 않으려 하
였다. 그녀는 그런 백인의 혐오감은 자신을 향한 것이고 자신의 피부색이 검기때문이라 여긴
다.

3. 흑인성의 회복
모리슨은 가장 푸른 눈을 통해서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지향해야 할 긍정적인 삶의 방향을
제시하며, 두보이스가 정의한 이중의식 개념을 흑백으로 분리된 이분법적인 사고가 아닌 상호
보완적인 주체성 바라본다. 흑인은 종족과 문화적 뿌리는 아프리카에 있지만, 미국은 그들의
또 다른 정체성을 형성하게 한다. 따라서 모리슨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이중의식을 극복하
고, 양면적인 정체성을 조화롭게 융합하여 진정한 인간으로서의 삶 즉, 아프리카계 미국인으
로서의 삶을 함께 실현할 수 있도록 지향한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흑인성은 공동체 형성을
통해 치유할 수 있다.
7

맥티어 부인(Mrs. MacTeer)은 갈 곳이 없는 피콜라를 받아들인다. 맥티어 부인은 피콜라가


우유를 많이 먹는다고 불평을 하지만, 같은 공동체 내에서 흑인아이를 돌봐 주는 것은 옳은
일이라 여긴다. 맥티어가는 피콜라를 받아들여 유대감을 형성하고 흑인 전통문화인 공동체적
인 삶을 실천한다. 또 다른 형태의 공동체는 브리드러브가(The Breedloves)의 위층에 사는
세 명의 창녀인 차이나(China), 폴란드(Poland), 미스 마리(Miss Marie)이다. 비록 그들의 공
동체는 피콜라의 부정적인 생각을 바로 잡기에는 역부족이지만, 피콜라에게 최소한의 도피처
를 제공하고 따뜻한 관심을 보여준다.

모리슨의 작품은 흑인의 특별한 경험과 역사를 묘사하면서도, 그들이 직면하는 문제와 갈등
들은 인간의 보편적이다. 토니 모리슨의 가장 푸른 눈은 인종과 성별 등의 이중적 차별 문
제를 다루며, 주인공인 피콜라의 정체성 성립과 인식의 어려움을 다룬다. 피콜라는 가정 내
폭력, 경제적 무능함, 백인들의 차별 등의 상황으로 자기 부정에 이르게 되며, 자신의 푸른 눈
과 흰 피부를 통해서만 해결책을 찾으려고 한다. 가장 푸른 눈은 흑인 여성의 경험을 통해
인종차별과 여성차별의 문제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며, 그들이 겪는 어려움과 이를 통한 자아인
식과 자아확립의 과정을 다룬다.

인용 문헌

Morrison, Toni. The Bluest Eye. New York: Vintage Books, 1994.
Schappell, Elissa. "Toni Morrison: The Art of Fiction." Paris Review, no. 128, 1993,
119-24.
Warren, Kenneth W. “Race and Ethnicity.” Introduction to Scholarship in Modern
Languages and Literatures, ed. David G. Nicholls. New York: Modern Language
Association of America, 200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