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젠더, 그리고 현실의 사회적 구성

■ “현실이 사회적으로 구성”된다는 의미는?


세계에 대한 우리의 경험이 범주화되어 실제의 것으로 간주

상황을 현실로 규정 → 현실의 지위 획득

ex) 인종 범주의 형성과 전파, 인종차별 정당화

■ 젠더에 적용, 예시 찾기

‘여성으로 태어나는 것'과 ‘여성이 되는 것(여성으로 사회화)’의 차이

■ 성(sex) vs 젠더(gender)

다르게 생각해보기) 이러한 구분은 유효한가?

Judith Buter : 섹스 역시 젠더, 섹스와 젠더의 구분 자체가 사회문화적 가공물, ‘섹스의 탈자연화‘ 주장

2
생물사회학적 관점 사회구성주의 관점

생물사회학적 관점 사회구성주의 관점

▪ 생물학적 차이에서 출발 ▪ 성이 사회적으로 구성


남녀 이분법은 사실 젠더 → 성

▪ 신체적 기준에 따른 성범주(sex category) ▪ 시 공간에 따른 성범주의 가변성 (p.36)


성 → 젠더
간성(intersexual), 트랜스젠더 : “문화적으로 한
정된 젠더 범주를 넘어서 변화, 교차, 다양성
문화와 시대에 따른 젠더 다양성은 인정
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분류”
but 출발점은 생물학적 현실
(p.37) 히즈라, 베르다시, 카토이, 서약처녀
ex) 여성과 양육
https://www.youtube.com/watch?v=hj-2FaeHnK0
https://www.youtube.com/watch?v=Nixgq1d5J7g

3
Question

■ p.35 성과 관련한 행동 특성(울음, 싸움, 예쁘게 보이기, 육아)을 생각해보자. 일반적으로 남성


과 관련된 행동을 하는 여성이나, 일반적으로 여성과 관련된 행동을 하는 남성의 예를 생각할 수
있는가?

■ p.38 이 두 관점 (생물사회학적 관점과 강력한 사회구성주의자 관점) 중에 여러분에게 더 의미


가 큰 것은 무엇인가? 어느 쪽이 더 이해하기 쉬운가? 어느 것이 더 일반적인 관점이라고 생각하는
가?

■ p.39

“강력한 사회구성주의자들은 성 범주가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사회적 사고가 실제 생물


학적 현실에 대한 인식을 방해한다고 믿는다. 문화적 신념이 우리에게 준 특별한 눈가리개에서 벗
어나 생물학적 현실을 인식할 수 있을까?

4
왜 젠더를 공부하는가

▪ 젠더가 범지구적, 역사적 맥락 안에서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방식을 이해

▪ 젠더와 관련해 정상, 비정상이라는 개념의 문제를 폭로

▪ 젠더는 사회적으로 구성되며 불평등한 체계임을 이해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