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

자연을 넘어선 인간의 기술

인공임신중절과 보조생식기술에 대해

10815고윤주 10816곽수아 10818김지우 10826이채원


목차
인공임신중절
- 인공임신중절이란?
- 법제상의 인공임신중절
- 낙태법
보조생식기술
- 보조생식기술이란?
- 보조생식기술 발달의 배경
- 보조생식기술의 다양한 사례
저출산
- 저출산이란?
- 저출산의 원인
- 저출산의 문제점
인공임신중절이란?
인위적으로 행하는 인공 유산, 즉 협의의 낙태 중 대한민국 법에서 허용한
의료인의 의료적인 낙태 행위를 뜻한다.
법제상의 인공임신중절
과거 현재

낙태죄 성립 ➔ 인위적 낙태 전면 금지 2019년 4월 11일, 헌법재판소에서


낙태죄에 대해 헌법 불합치 결정
낙태를 한 임신부에게 형법 269조에
(형법 269·270조, 모자보건법)
따라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 2021년 1월 1일, 낙태죄 사실상 폐지
낙태법?

형법 269조
➀ 부녀가 약물 기타 방법으로 낙태한 때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ㅊ.2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➁ 부녀의 촉탁 또는 승낙을 받아 낙태하게 한 자도 제 1항과 같다.

형법 270조 (의사 등의 낙태, 부동의낙태)


➀ 의사, 한의사, 조산사, 약제사 또는 약종상이 부녀의 촉탁 또는 승낙을 받아
ㅊ.낙태하게 한 때에는 2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모자보건법
보조생식기술이란?
불임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난자 및 정자를 조작하는 기법이다.
보조생식기술의 발달 배경
배경

포유류 동물에서 1950년대 후반에 기술 개발


➔ 포유류의 초기 발생을 연구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

최초 사례

1978년 로버트 에드워즈 박사가 최초로 사람에게 체외수정 성공. 1


➔ ‘루이즈 브라운’이라는 여아 탄생
보조생식기술의 종류-체외수정

난자 채취 수정&배아 배양 임신 확인

과배란 유도 정자 채취 이식
보조생식기술-배아이식

1. 자궁 경부 세척 후 점액을 제거한다
2. 카테터나 이식 캐뉼러에 배아를 삽입한다
3. 카테터를 자궁으로 삽입하여 배아를 밀어넣는다
4. 카테터를 빼낸다
보조생식기술의 다양한 사례
사례1 사례2

28세 여성 A씨는 특별한 병력도 없었고 1979년생, 41세인 사유리는 2019년 생리불
운동도 꾸준히 하는 등 평상시 생활 습관을 순으로 산부인과를 찾아갔다가 난소의 나이가
건강히 유지했다. 하지만 결혼을 앞두고 시행 48세라는 진단을 받았다. 평소 출산에 대한 마
음이 컸던 사유리는 산부인과에서 “자연임신이
한 검진에서 난소기능저하가 의심된다는
어려운데다 지금 당장 시험관 아기를 시도하더
이야기를 듣고 난소나이검사를 한 결과 폐경
라도 성공 확률이 높지않다”는 이야기를 들었
과 다름없는 수치가 나왔다. 결혼식을 올리기
다. 아이 때문에 사랑하지도 않는 사람과 급하
전까지 약 열 차례 난임 시술 시도 끝에 겨우
게 결혼하고싶지 않았던 터라 고심 끝에 자발적
배아 4개를 모으는 데 성공했다. 이 배아들을 으로 비혼모가 되기로 결정했고 일본의 한 정자
이식해 결국 임신에 성공, 무사히 출산했다. 은행에 보관돼있던 이름 모를 남성의 정자를 기
출산 이후에는 폐경이 돼 호르몬 치료를 받고 증받아 임신에 성공하여 아이를 출산하였다.
있다.
저출산이란?
아이를 적게 낳아 사회 전반적으로 출산율이 감소하는 사회 현상으로,
*합계 출산율이 2.1명 이하일 때를 말한다.
*합계 출산율 : 여성 한 명이 15~49세의 가임기간 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자녀 수
합계출산율 그래프
5

0
1970 1980 1990 2000 2010 2020
저출산의 원인
가치관의 변화

과거 : 여성들에게 결혼이란 생존의 수단


현대 : 결혼과 육아는 필수가 아닌 선택으로 보는 사람 증가
➔ 여성들이 직업을 가지게 되면서 경력 단절에 대한 두려움 증가

경제적 부담

아이를 낳아 키우기까지의 과정에서 드는 비용 부담이 큼


저출산의 문제점
고령화 사회 노동력 감소 사회적 비용 증가

노년층은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적어
저출산 시대가 오면서
저출산 현상이 증가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
미래 경제 활동 참여
하면서 상대적으로 ➔ 하지만 저출산으로
인구 감소
노년층 인구 비율 증가 부모를 부양 할 수 있는
➔ 노동력 감소
➔ 고령화 사회를 야기 인구 감소
➔ 세금 지불 인구 감소
➔ 노년층에 대한 국가
지원 확대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