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Topics for Today

4th edition (2011.04.01 개정 4판)


READING FOR TODAY 5

UNIT 3. Technology and Ethical Issues


Chapter 9. The Gift of Life: When One Body Can Save Another
생명의 선물: 한 사람의 인체가 다른 사람을 구할 수 있을 때
by Lance Morrow, Time

Now the long quest was ending. A 14-month-old girl named Marissa Ayala lay anesthetized upon an
operating table in the City of Hope National Medical Center in Duarte, California.

이제 끈질긴 도전이 끝나가고 있다. 매리사 아얄라 (Marissa Ayala)라는 이름의 14개월의 여아는 캘리포니아
두아르테에 위치한 호프시 국립의료원의 수술대 위에 마취된 채로 누워있다.

A surgeon inserted a one-inch-long needle into the baby's hip and slowly began to draw marrow. In 20
minutes, they removed about a cup of the viscous red liquid.

외과의사가 여아의 엉덩이 속으로 1인치 길이의 주사기를 넣어 천천히 골수를 뽑아내기 시작했다. 20분 후,
그들은 약 한 컵 분량의 끈적이는 붉은색 액체를 빼냈다.

The medical team then rushed the marrow to a hospital room where Marissa's 19-year-old sister Anissa lay
waiting. Through a Hickman catheter inserted in the chest, the doctor began feeding the baby's marrow into
Anissa's veins.

그런 다음 의료진은 급히 그 골수를 갖고 매리사의 언니인 19세의 애니사 (Anissa)가 누워서 기다리는 입원실로
향했다. 히크만 카테터 (Hickman catheter)를 가슴 속에 삽입함으로써, 의사는 아기의 골수를 애니사의 정맥에
투입하기 시작했다.

The marrow needed only to be dripped into the girl's bloodstream. There the healthy marrow cells began to
find their way to the bones.

골수는 그 소녀의 혈류 속으로 한 방울씩 떨어져 들어가야만 했다. 건강한 골수 세포들은 거기서 척추로 가는 자기
길을 찾기 시작했다.
Done. If all goes well, if rejection does not occur or a major infection set in, the marrow will do the work. It
will give life to the older sister, who otherwise would have died of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Doctors rate
the chance of success at 70%.

다 끝났다. 모든 것이 잘 진행된다면, 그리고 거부반응이 발생하지 않거나 심각한 감염이 시작되지 않는다면,
골수는 자기 몫을 할 것이다. 그 방법이 아니라면 만성적인 골수성 백혈병으로 죽음을 맞이했을 언니에게, 그것은
생명을 줄 것이다. 의사들은 성공확률을 70%로 산정한다.

The Ayala family had launched itself upon a sequence of nervy, life-or-death adventures to arrive at the
denouement last week. Anissa's leukemia was diagnosed three years ago.

아얄라의 가족은 지난 주 대단원에 다다른 초초한 삶과 죽음의 일련의 모험에 스스로를 내던져왔다. 애니사의
백혈병은 3년 전 진단되었다.

In such cases, the patient usually dies within five years unless she receives a marrow transplant. Abe and Mary
Ayala, who own a speedometer-repair business, began a nationwide search for a donor whose marrow would
be a close match for Anissa's. The search, surrounded by much poignant publicity, failed.

이런 경우, 골수 이식을 받지 않는다면 환자는 대개 5년 이내에 사망한다. 속도계 수리업을 운영하는 애이브
아얄라 (Abe Ayala)와 메리 아얄라 (Mary Ayala)는 애니사와 가깝게 일치하는 골수를 가진 기증자를 구하기 위해
전국을 헤매기 시작했다. 꽤나 가슴 저미는 매스컴의 관심에 둘러 쌓였던 그 수색은 실패로 돌아갔다.

The Ayalas did not passively accept their daughter's fate. They knew from their doctors that the best hope for
Anissa lay in a marrow transplant from a sibling, but the marrow of her only brother, Airon, was incompatible.
Her life, it seemed, could depend on a sibling who did not yet exist.

아얄라 부부는 딸의 운명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지만은 않았다. 그들은 애니사를 위한 최선의 희망이 형제 또는
자매로부터 골수이식을 받는 것이라는 것을 의사들에게 들어 알고 있었지만, 유일한 남동생인 애이런 (Airon)의
골수는 적합하지 않았다. 그녀의 생명은 아직 존재하지 않은 형제나 자매에게 달려있는 것으로 보였다.

First, Abe had to have his vasectomy surgically reversed, a procedure with a success rate of just 40%. That
done, Mary Ayala ventured to become pregnant at the age of 43.

우선, 애이브는 수술 성공률이 40 퍼센트에 불과한 정관절제 수술을 외과적으로 되살려야 했다. 그 일이 끝나자,
메리 아얄라는 43세의 나이에 임신하는 위험을 무릅썼다.
The odds were one in four that the baby's bone marrow would match her sister's. In April 1990 Mary bore a
daughter, Marissa. Fetal stem cells were extracted from the umbilical cord and frozen for use along with the
marrow in last week's transplant.

아기의 골수가 누이와 맞을 확률은 4분의 1이었다. 1990년 4월 메리는 딸 매리사를 낳았다. 태아의 줄기세포가
탯줄에서 추출되어 지난 주에 있었던 이식에서 골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냉동되었다.

Then everyone waited for the optimum moment―the baby had to grow old enough and strong enough to
donate safely even while her older sister's time was waning.

그 후 모든 사람들은 최적의 순간을 기다렸다―아기가 충분히 자라야 했고, 누이의 삶의 시간이 줄어드는
동안에도 안전하게 기증할 수 있게 충분히 강해져야 했다.

Twelve days before the operation, Anissa began receiving intensive doses of radiation and chemotherapy to
kill her diseased bone marrow. As a result, she is losing her hair. Her blood count is plummeting.

수술 12일 전, 병에 걸린 골수를 죽이기 위해 애니사는 강렬한 방사선 및 화학 치료를 받기 시작했다. 그 결과로,


그녀는 머리카락이 빠지고 있으며, 혈구 수는 곤두박질치고 있다.

Her immune system has gone out of business. But in two to four weeks, the new cells should take over and
start their work of giving Anissa a new life.

그녀의 면역 체계는 기능을 상실했다. 하지만 2주에서 4주 내에, 새로운 세포가 임무를 넘겨받아 제 역할을
수행하기 시작해 애니사에게 새 생명을 줄 것이다.

The drama of the Ayalas―making the baby, against such long odds, to save the older daughter―seemed to
many to be a miracle. To others, it was profoundly, if sometimes obscurely, troubling.

더 큰 딸을 살리기 위해 전혀 일어날 것 같지 않은 확률에도 불구하고 아기를 만든 아얄라 부부의 드라마는 많은


사람들에게 기적으로 여겨진다. 다른 사람들에게 그 일은 때로는 막연하지만 완전히 골치거리였다.

What disturbed was the spectacle of a baby being brought into the world...to serve as a means, as a biological
resupply vehicle.

충격적이었던 점은 한 아이가 수단으로 사용되기 위해, 생물학적 재공급 수단으로 세상에 태어났다는 놀라운
사실이다.

The baby did not consent to be used. The parents created the new life, then used that life for their own
purposes, however noble. Would the baby have agreed to the transplant if she had been able to make the
choice?

그 아기는 사용되는 것에 동의하지 않았다. 부모가 새 생명을 낳고 자신들만의 목적을 위해, 그러나 숭고하게 그
생명을 사용했다. 만약 그 아기가 선택할 수 있었다면 이식에 동의했을까?

People wanting a baby have many reasons―reasons frivolous, sentimental, practical, emotional, biological.
Farm families need children to work the fields.

아이를 원하는 사람들은 많은 이유를 갖고 있다―경솔하고, 감정적이고, 실제적이고, 감성적이며, 생물학적인


이유들 말이다. 농장의 가족들은 밭에서 일하기 위한 아이들이 필요하다.

In much of the world, children are social security for old age. They are vanity items for many people, an
extension of ego. Or a sometimes desperate measure to try to save a marriage that is failing.

세상의 많은 지역에서, 아이들은 노인들을 위한 사회적 보험이다. 그들은 자아의 확장이라는 많은 사람들의
허영심이다. 그것도 아니면, 때로는 실패로 내달리는 결혼생활을 구하기 위해 노력하는 무모한 수단이다.

Says Dr. Rudolf Brutoco, Marissa Ayala's pediatrician: "Does it make sense to conceive a child so that little
Johnny can have sister, while it is not acceptable to conceive the same child so that little Johnny can live?"

매리사 아얄라의 소아과 의사인 루돌프 브루토코 (Rudolf Brutoco) 박사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한 아이를 낳아
리틀 조니가 여동생을 갖는 것은 괜찮고, 똑같은 아이를 가져 리틀 조니가 살 수 있다는 것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는 것이 말이 되나요?”

In American society, procreation is a personal matter. Crack addicts or convicted child abusers are free to have
children.

미국 사회에서 출산은 개인적인 문제이다. 크랙 (코카인의 일종) 중독자들 또는 아동학대범도 아이를 갖는 것은


자유이다.

Considered on the family's own terms, their behavior is hard to fault. The first duty of parents is to protect
their children. The Ayalas say they never considered aborting the fetus if its marrow did not match Anissa's.
가족의 의미로 생각해볼 때, 그들의 행동은 흠잡기 어렵다. 부모의 첫 번째 의무는 자식들을 보호하는 것이다.
아얄라 부부는 만약 아기가 애니사와 골수가 맞지 않았다 하더라도 태아의 낙태를 결코 생각해보지 않았다고
말한다.

They will cherish both daughters in the context of a miracle that allowed the older to live on and the younger
to be born.

큰 아이를 살릴 수 있게 했고 작은 아이가 탄생할 수 있게 해준 기적이라는 맥락에서 그들은 두 딸을 소중이 아낄


것이다.

But their case resonated with meanings and dilemmas larger than itself. The case opened out upon a prospect
of medical-technological possibility and danger.

그러나 그들의 사례는 그 자체보다 훨씬 더 큰 의미와 딜레마로 가득했다. 그 사례는 의료-과학기술적 가능성과
위험성에 관한 전망을 공개적으로 터놓고 이야기하게 했다.

In the past it was mostly cadavers from which transplant organs were "harvested." Today, as with the Ayalas,
life is being tapped to save life.

과거에는 이식 장기들을 “수확한” 것은 대부분 사체로부터였다. 오늘날, 아얄라 부부의 사례와 함께, 생명은 생명을
구하는 일에 사용되고 있다.

Beyond the Ayala case, the ethics can become trickier. What if a couple conceives a baby in order to obtain
matching marrow for another child; and what if amniocentesis shows that the tissue of the fetus is not
compatible for transplant?

아얄라의 사례 이후, 윤리는 더욱 애매모호해 져버렸다. 만약 다른 아이를 구하기 위해 일치하는 골수를 얻을


목적으로 부부가 아기를 낳는다면? 그리고 양수진단이 태아의 조직이 이식하는데 맞지 않다고 결과가 나온다면
어떻게 될까?

Does the couple abort the fetus and then try again? Says Dr. Norman Fost, a pediatrician and ethicist at the
University of Wisconsin: "If you believe that a woman is entitled to terminate a pregnancy for any reason at all,
then it doesn't seem to me to make it any worse to terminate a pregnancy for this reason."

부부는 태아를 낙태시키고 아이 갖기를 다시 시도할까? 위스콘신 대학교의 소아과의사 겸 윤리학자인 노먼


포스트 (Norman Fost) 박사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여성은 어떤 이유로도 낙태할 권리가 있다고 여러분이
믿는다면, 이런 이유로 낙태하는 것이 저는 그리 잘못된 일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But abortions are normally performed to end accidental pregnancies. What is the morality of ending a
pregnancy that was very deliberately undertaken in the first place?

그러나 낙태는 보통 우발적인 임신을 끝내기 위해 행해진다. 애초에 상당히 의도적으로 시작된 임신을 끝내버리는
도덕적 정당성은 무엇인가?

Transplant technology is developing so rapidly that new practices are outpacing society's ability to explore
their moral implications. The first kidney transplants were performed over 35 years ago and were greeted as
the brave new world: an amazing novelty.

장기이식 기술은 놀라운 속도로 발전해 새로운 방법들이 이들의 도덕적 암시를 탐구할 사회적 역량을 훨씬
뛰어넘고 있다. 최초의 신장 이식은 35년도 전에 수행되었고 멋진 신세계 즉, 놀라운 신기술로 환영 받았다.

Today the transplant is part of the culture―conceptually dazzling, familiar in a weird way but morally
unassimilated. The number of organ transplants exceeds 15,000 a year and is growing at an annual clip of 15%.

오늘날 장기이식은 문화의 일부이다―개념적으로 휘황찬란하고, 희한하게 친숙하지만 도덕적으로는 동화되기


어려운. 장기 이식 수는 연간 15,000 건이 넘고, 매년 15 퍼센트씩 증가하고 있다.

The variety of procedures is also expanding as surgeons experiment with transplanting parts of the pancreas,
the lung and other organs. As of last week, 23,276 people were on the waiting list of the United Network for
Organ Sharing, a national registry and tracking service.

외과의사들이 췌장, 폐, 그리고 다른 기관들의 일부를 이식하는 것의 실험을 진행함에 따라 수술 방법의 다양성도
확대되고 있다. 지난 주까지, 전국적인 등록과 검색 서비스인 미국장기이식센터의 대기자 명단에는 23,276명의
사람들이 등록되어 있다.

A dire shortage of organs for these patients helps make the world of transplants an inherently bizarre one.
Seat-belt and motorcycle-helmet laws are bad news for those waiting for a donor. The laws reduce fatalities
and therefore reduce available cadavers.

이런 환자들을 위한 장기의 극심한 부족은 장기이식의 세계를 본질적으로 엽기적인 곳으로 만드는데 일조하고
있다. 안전벨트와 오토바이 헬멧과 관련된 법들은 기증자를 기다리는 사람들에게는 나쁜 소식이다. 그 법들은
사망자수를 감소시키고 따라서 이용 가능한 사체를 감소시킨다.

Most organs come from cadavers, but the number of living donors is rising. There were 1,788 last year, up
15% from 1989. Of these, 1,773 provided kidneys, nine provided portions of livers.

대부분의 장기가 사체들에서 나오지만, 살아있는 기증자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지난 해에는 1,788 명으로
1989년에 비해 15 퍼센트가 늘었다. 이들 중 1,773 명이 신장을 제공했고, 아홉 명은 간의 일부를 기증했다.

Six of the living donors gave their hearts away. How? They were patients who needed heart-lung transplant
packages. To make way for the new heart, they gave up the old one; doctors call it the "domino practice."

6명의 살아있는 기증자들은 심장을 제공했다. 어떻게 이것이 가능했을까? 그들은 심장-폐 이식 수술이 필요한
환자들이었다. 새로운 심장에 자리를 내주기 위해, 그들은 이전의 심장을 포기했고, 의사들은 이것을 “도미노
시술”이라 부른다.

In 1972 Dr. Thomas Starzl, the renowned Pittsburgh surgeon who pioneered liver transplants, stopped
performing live-donor transplants of any kind.

1972년 간 이식술의 선구자인 저명한 피츠버그 외과의사인 토마스 스타즐 (Thomas Starzl)은 모든 종류의
살아있는 기증자를 이용한 장기이식 수술을 중지했다.

He explained why in a speech in 1987: "The death of a single well-motivated and completely healthy living
donor almost stops the clock worldwide. The most compelling argument against living donation is that it is
not completely safe for the donor."

그는 그 이유를 1987년의 한 연설에서 설명했다: “한 명의 선량한 동기를 가진 완벽하게 건강한 살아있는


기증자의 죽음은 거의 전세계를 충격에 빠트릴 수 있죠. 생존 기증에 대한 가장 주목할만한 논박은 그 행위가
기증자에게 완전히 안전하지 않다는 점입니다.”

Starzl said he knew of 20 donors who had died, though other doctors regard this number as miraculously low,
since there have been more than 100,000 live-donor transplants.

스타즐은 자신이 20명의 사망한 기증자들을 알고 있다고 말했는데, 다른 의사들은 10만 명 이상의 생존 기증자를
이용한 장기 이식이 있어왔으므로 그 숫자가 믿을 수 없게 적다고 생각한다.

There will never be enough cadaver organs to fill the growing needs of people dying from organ or tissue
failure. This places higher and higher importance, and risk, on living relatives who might serve as donors.

장기나 조직의 문제로 죽어가는 사람들의 수요의 증가를 채울 충분한 양의 사체 장기는 결코 없을 것이다. 이 점은
기증자로서 역할을 할 수도 있는 살아있는 친척들에 점점 더 큰 중요성과 함께 위험도 부담시킨다.

Organs that are either redundant (one of a pair of kidneys) or regenerative (bone marrow) become more and
more attractive. Transplants become a matter of high-stakes risk calculation for the donor as well as the
recipient and the intense emotions involved sometimes have people playing long shots.

여분이 있거나 (두 개의 신장 중 하나) 재생산이 가능한 (골수) 장기들은 점점 더 관심을 끌고 있다. 장기 이식은
기증자뿐만 아니라 수여자에게도 큰 도박과 같은 위험성의 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에 수반되는 강렬한 감정은 때로
사람들로 하여금 오래 지속되도록 만든다.

Federal law now prohibits any compensation for organs in the United States. In China and India, there is a
brisk trade in such organs as kidneys. Will the day come when Americans have a similar marketplace for
organs? Turning the body into a commodity might in fact make families less willing to donate organs.

연방법은 현재 미국 내에서 장기에 대한 어떤 보상도 금지한다. 중국과 인도에서는 신장과 같은 장기들이


활발하게 거래된다. 미국인에게도 장기를 위한 유사한 시장이 생길 날이 올 것인가? 인체를 상품으로 바꾸는 일은
사실, 가족들로 하여금 장기를 기증할 의지를 떨어뜨릴지도 모른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