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Concepts for Today

3rd edition (2011.04.01 개정판)


READING FOR TODAY 4

UNIT 4. Science and Technology


Chapter 10. Antarctica: Whose Continent Is It Anyway? 도대체 남극은 누구의 땅인가?

Last February, the World Discoverer, our cruise ship, stopped in front of a white ice cliff higher than the ship’s
mast. As large as France, the Ross Ice Shelf of Antarctica extends unbroken along the Ross Sea for hundreds of
miles.

지난 2월 우리의 유람선 <World Discoverer>호는 돛대보다 높은 하얀 빙벽 앞에 멈춰 섰다. 프랑스만한 크기의


남극의 로스 빙붕 (Ross Ice Shelf)은 로스 해를 따라 끊김 없이 수백만 마일이나 뻗어있다.

Like other passengers on our cruise ship, we had been lured by an irresistible attraction: the chance to visit the
most remote place on Earth, and the most unusual. The coldest place on Earth is also the subject of conflicting
interests: scientists, tourist, environmentalists, oil and mineral seekers.

유람선에 승선한 다른 승객들처럼, 우리도 억누를 수 없는 매력에 빠져들었다. 지상에서 가장 외딴 장소이자 가장


특이한 장소를 방문하는 기회 말이다. 지상에서 가장 추운 이곳은 또한 과학자, 관광객, 환경보호주의자, 석유와
광물 채취자 등 여러 관심이 충돌하는 대상이기도 하다.

Scientists treasure the unparalleled advantages for research; tourists prize the chance to visit Earth’s last
frontier; environmentalists fear that increases in both activities will pollute the continent and jeopardize its
fabulous creatures; others contend that preserving Antarctica as a kind of world park will deprive the rest of
the world of much needed oil and mineral reserves.

과학자들은 연구를 위한 비할 데 없는 이점들을 소중히 여기고; 관광객들은 지구의 마지막 경계를 방문하는
기회를 잡으려 하고; 환경보호주의자들은 위의 두 활동의 증가가 남극을 오염시키고 남극의 믿을 수 없는 만큼의
생물들을 위험에 빠뜨릴 것을 염려하며; 다른 이들은 일종의 세계의 공원인 남극을 보존하는 것은 세계의 다른
지역으로부터 석유와 광물 보유량의 상당부분을 박탈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Fears of Antarctica’s ruin through commercial exploitation have been partly reduced by the October, 1991, 31-
nation signing of the Madrid Protocol, which bans oil and gas exploration for the next 50 years.

상업적 개발로 인한 남극 파괴에 대한 공포는 1991년 10월, 향후 50년간 석유 및 천연가스 개발을 금지한
마드리드 의정서 (Madrid Protocol, 남극조약의정서)에 31개국이 서명하면서 다소 줄어들었다.

But Antarctica’s unique attributes―it is the coldest, driest, and highest continent―will keep it at the focus of
conflicting scientific and touristic interests.

하지만, 가장 춥고, 가장 건조하며, 가장 높은 지대의 대륙이라는 남극만의 특성은 과학 및 관광 측면의 관심들이


지속적으로 충돌하는 초점이 될 것이다.

Think of a place as remote as the far side of the moon, as strange as Saturn and as inhospitable as Mars, and
that will give some idea of what Antarctica is like.

달의 저 건너편처럼 멀리 떨어진, 토성처럼 희한한, 그리고 화성처럼 사람이 살기 힘든 장소들을 떠올려보면,


남극이 어떤 곳인지 관한 몇 가지 생각들을 전해 준다.

A mere 2.4 percent of its 5.4 million-square-mile land mass is ice-free, and then, only for a few months a year.
Scientists estimate that 70 percent of the world's fresh water is locked away in Antarctica's icecap: if it were
ever to melt, sea levels might rise 200 feet.

5백4십만 평방 마일의 땅덩어리 중 단지 2.4 퍼센트만이 얼음이 없고, 그마저도 연중 몇 달에 불과하다.


과학자들은 세계의 신선한 물의 70 퍼센트가 남극의 만년설에 갇혀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만일 이것이 녹는 일이
발생하면, 해수면은 200 피트 (약 61 미터)나 상승할 것이다.

In Antarctica, winds can blow at better than 200 mph, and temperatures drop as low as minus 128.6℉. There's
not a single village or town, not a tree, bush, or blade of grass on the entire continent.

남극에서는 풍속이 200 mph (시속 200 마일, 약 시속 320 킬로미터)까지 불고, 기온은 화씨 영하 128.6도 (섭씨 약
영하 54도)까지 떨어진다. 그곳엔 대륙 전체에 단 하나의 마을도 없고, 나무, 덤불, 풀잎 하나도 존재하지 않는다.

But far from being merely a useless continent, Antarctica is vital to life on Earth. The continent's vast ice fields
reflect sunlight back into space, preventing the planet from overheating.
그러나 거의 쓸모없는 대륙인 것과는 정반대로, 남극은 지구 생명체들에 필수적이다. 남극 대륙의 광활한 얼음
지대는 태양광을 우주로 반사시키며 지구가 과열되는 것을 막아주고 있다.

The cold water that the breakaway icebergs generate flows north and mixes with equatorial warm water,
producing currents, clouds, and ultimately creating complex weather patterns.

분리된 빙산이 만들어내는 차가운 물은 북쪽으로 흘러 들어 적도의 따뜻한 물과 섞여, 해류와 구름을 형성하고,
궁극적으로 복잡한 기상 패턴을 만들어낸다.

Antarctic seas teem with life, making them an important link in the world food chain. The frigid waters of the
Southern Ocean are home to species of birds and mammals that are found nowhere else.

남극해에는 생명들로 득실거리고 세계의 먹이 사슬과 중요한 연결고리가 되고 있다. 남빙양 (Southern Ocean)의
얼음장 같은 물은 지구상 어느 곳에서도 찾을 볼 수 없는 조류와 포유류 종들의 고향이다.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 (NSF) is the government agency responsible for the U.S. stations in Antarctica.
Because of the continent's extreme cold and almost complete isolation, the NSF considers it to be the best
place to study and understand such phenomena as temperature circulation in the oceans, unique animal life,
ozone depletion, and glacial history.

미국국립과학재단 (National Science Foundation)은 남극대륙의 미국 기지를 책임지고 있는 정부 기관이다. 이


대륙의 극한의 추위와 거의 완벽한 고립 덕분에, 미국국립과학재단은 대양의 해수 온도 순환, 독특한 동물의 삶,
오존 감소, 그리고 빙하기 역사를 연구하고 이해할 최적의 장소로 여기고 있다.

And buried deep in layers of Antarctic ice lie clues to ancient climates, clues such as trapped bubbles of
atmospheric gases, which can help predict whether present and future global warming poses a real threat.

그리고 남극대륙에 깊이 묻힌 얼음 층에 대기 가스의 갇힌 공기방울과 같은 고대의 기후에 관한 단서들이 존재해


현재 및 미래의 기후 온난화가 진정한 위협이 될 지를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Until scientists began the first serious study of the continent during the 1957-58 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IGY), a multicountry cooperative research project, Antarctica was dismissed as a vast, useless continent.

과학자들이 1957-58년 다국적 연구 협력 프로젝트인 국제 지구 관측년 (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기간


동안 남극대륙에 관한 첫 진지한 연구를 시작하기 전까지, 남극대륙은 광활하고 쓸모없는 대륙으로 잊혀져 있었다.
Based upon early explorations and questionable land grants, seven countries, including Great Britain, Chile, and
Argentina, claim sovereignty over vast tracts of the continent.

초기 개척과 의문스러운 토지 점유에 기반하여, 영국, 칠레, 아르헨티나를 비롯한 7개 국가가 남극대륙의 광활한
지대에 대한 주권을 주장했다.

However, as IGY wound down, the question of who owns Antarctica came to a head. The 12 participating
countries reached an international agreement, the Antarctica Treaty, which took effect in June 1961.

그러나 IGY가 종료되어 가면서, 남극 대륙을 누가 소유하고 있느냐는 문제는 곪아서 터질 듯했다. 참여한 12개
국가는 국제 협약인 남극 조약 (Antarctica Treaty)을 체결하기에 이르렀고, 이 조약은 1961년 6월에 효력을
발휘하기 시작했다.

The number has since grown, making 39 in all. It established Antarctica as a "continent for science and peace,"
and temporarily set aside all claims of sovereignty for as long as the treaty remains in effect.

그 때 이후로 참여국의 숫자는 계속 증가해 총 39개 국에 이르렀다. 남극 조약은 남극을 “과학과 평화를 위한
대륙”으로 만들었고, 조약이 효력을 유지하는 한 한시적으로 어떤 주권에 대한 주장도 물리쳤다.

The rules of the treaty meant that as tourists to Antarctica, passengers on our cruise ship needed neither
passports nor visas. Except for a handful of sites of special scientific interest, specially protected areas, and
specially managed areas, there was nothing to restrict us from wandering anywhere we wanted.

조약의 규칙은 남극으로의 관광객으로서 우리 유람선의 승객들은 어떤 여권이나 비자도 필요치 않음을 의미했다.
특별 보호 지역과 특별 관리 지역 등 특정 과학적 목적을 위한 몇 안 되는 지역을 제외하면, 우리가 원하는
어디든지 돌아다니는 것을 제한할 아무 것도 존재하지 않았다.

Primarily because of its scientific and ecological importance, many scientists feel that Antarctica should be
dedicated to research only. They feel that tourists should not be permitted to come.

주로 남극의 과학 및 생태학적 중요성 때문에, 많은 과학자들은 남극 대륙이 연구용 목적에만 한정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관광객들이 들어오는 것을 허용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However, recent events have shown that the greatest future threat to Antarctica may not be tourism or
scientific stations, but the worldwide thirst for oil and minerals.
그러나, 남극 대륙에 대한 가장 큰 미래의 위협은 관광이나 과학 기지들이 아니라 석유와 광물의 전세계적인
부족이라는 것을 최근 사건들은 보여주었다.

“The reason the Antarctic Treaty was negotiated and went through so quickly,” geologist John Splettstoesser
explains, "is that at the time, relatively few minerals were known to exist there."

“남극 조약이 협상이 이루어져 정말 빠른 시간에 통과된 이유는, 당시에는 그곳에 비교적 광물이 거의 없다고
알려졌었기 때문이죠.”라고 지질학자 존 스플렛스토에서 (John Splettstoesser)는 설명한다.

By the early 1970s, however, there were some indications that there might be gas and oil in Antarctica. The
treaty countries decided that no commercial companies would be permitted to explore for resources.

그런데 1970년대 초반, 남극대륙에 천연가스와 석유가 있을지 모른다는 몇 가지 암시가 발견되었다. 조약
국가들은 어떤 상업적 기업에게도 자원을 탐사하는 것을 허용할 수 없다고 결정했다.

The Madrid Protocol bans all exploration or commercial exploitation of natural resources on the continent for
the next 50 years.

마드리드 의정서는 향후 50년간 남극대륙의 모든 개척 또는 천연 자원의 상업적 개발을 금지한다.

Like the Antarctic Treaty itself, the Madrid Protocol is binding only on the 39 treaty countries. There's nothing
to stop non-treaty countries from establishing commercial bases anywhere on the continent and doing
whatever they please.

남극 조약 자체와 마찬가지로, 마드리드 의정서는 39개 국가들 사이에서만 체결된 것이다. 조약에 참여하지 않는
국가가 남극 대륙의 어느 지역에든지 상업적 기지를 구축하여 자신들이 원하는 행위를 하는 것을 막을 방법은
없다.

Where do we go from here? So far, no non-treaty nation has expressed a serious interest in setting up for
business in Antarctica. So far, none of the countries claiming sovereignty has moved to formally annex
Antarctic territory.

우린 이제 어디로 가야 하나? 여태까지, 남극대륙에서 사업을 착수할 진지한 관심을 표명한 조약에 참여하지 않는
국가는 없었다. 여태껏 주권을 주장한 국가들 중 어떤 나라도 남극 대륙 영토를 공식적으로 합병하는 움직임은
보이지 않았다.
So whose continent is Antarctica, anyway? Former Vice President Albert Gore best expresses the feelings of
those of us who have fallen in love with this strange and spectacular land: "I think that it should be held in
trust as a global ecological reserve for all the people of the world, not just in this generation, but later
generations to come as well."

따라서 남극대륙은 도대체 누구의 땅인가? 전 부통령 앨 고어 (Albert Gore)가 이 희한하고 놀라운 땅과 사랑에
빠져버린 우리들의 느낌을 가장 잘 표현했듯이: “저는 이곳을 세계의 모든 사람들을 위해 글로벌 생태계 보전지로
맡아두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현 세대에서뿐만 아니라 다가올 이후 세대에서도 말이죠.”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