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6

지권의 변화

- 고온의 마그마가 지표로 분출되어 지형이 변함


- 마그마가 지표로 분출되는 현상은 지구 내부
에너지가 방출되는 과정

* 지각변동
: 지구 내부 에너지가 지진 , 화산활동 , 습곡산맥의
형성 , 대륙 이동 등의 현상을 일으키는 것
< 해 보기 >
1. ( 가 )~( 다 ) 를 오랜 시간에 걸쳐 일어나는 지각 변동과 짧은 시간에
걸쳐 일어나는 지각 변동으로 구분해보자 .

→ 화산 활동과 지진은 짧은 시간에 걸쳐 일어나는 지각 변동이고 ,


습곡 산맥의 형성은 오랜 시간에 걸쳐 일어나는 지각 변동이다 . 즉
지각 변동이 일어나는 속도는 다양하다 .

2. ( 가 )~( 다 ) 가 일어나는 지역을 조사하고 , 이 지역들의 분포 양상을


설명해보자 .

→ 화산 활동 , 지진이 일어나는 지역과 습곡 산맥이 분포하는 지역은


대체로 사장자리에 좁고 길게 분포한다 .
대륙 이동설 (1912)-> 맨틀 대류설 (1929)-> 해저확장설 (1926)-> 판구조론 (1960
후반 )

♣ 판구조론
- 판의 경계 부근에서 지진이나 화산 활동 등과 같은 지각 변동이
일어난다고 설명하는 이론

- 지구 표면은 10 여 개의 판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연약권의 상부와


하부의 온도 차이로 맨틀 대류 발생으로 연약권 위에 떠 있는 판이
이동

- 각 판들의 이동 속도와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부딪히거나


물리적인 성질에 따라서는 암석권 , 연약권 , 하부맨틀 , 핵으로 나눌 수도
있다 .

♣ 암석권
- 지각과 상부 맨틀의 일부를 포함한 두께 약 100KM 구간

- 여러 개의 조각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이를 판이라고 함

- 판은 대륙판과 해양판으로 구분

- 판의 내부에서는 지각변동 ( 지진 , 화산 등 ) 이 적지만 판의 경계에서는


지각변동이 활발
♣ 연약권
- 물리적인 성질에 따라 지구의 층을 구분할 때 , 딱딱한
암석권 아래로 평균 지하 100km~400km 부근의
부드러운 부분

- 연약권은 맨틀 상부에서 지진파의 속도가 줄어드는 부분


→S 파와 P 파가 모두 통과하므로 액체 상태는
아니지만 압력과 온도로 인해 암석의 일부가 부드럽게
녹아있어 S 파 , P 파의 속도가 줄어드는 구간
: 맨틀 대류가 하강하면서 판과 판이 서로 충돌하는 곳

- 해양판과 대륙판이 부딪히거나 해양판과 해양판이 부딪히는


곳에서는 밀도가 상대적으로 더 큰 해양판이 지구 내부로
비스듬하게 들어감 . 이곳에서 V 자 모양의 깊은 해저 골짜기인
해구 형성 및 지진과 화산 활동 활발함

- 해구와 나란하게 습곡 산맥이나 호상 열도가 만들어짐

- 대류판과 대륙판이 부딪히는 곳에서는 두 판이 충돌하면서


높이 솟아올라 거대한 습곡 산맥이 만들어지고 지층이
휘어지거나 끊어지며 지진이 자주 발생
: 맨틀 대류가 상승하면서 판이 갈라져 서로 멀어지는 곳

- 해저 산맥인 해령 형성 지진과 화산활동 활발하다 . 해령


정상부의 갈라지는 틈에서 마그마가 분출하여 새로운 해양
지각이 만들어짐 .

- 발산형 경계는 대부분 해저에 분포하지만 ,


아이슬란드와 같이 육지에 드러나 있는 곳도 있음 .
: 판이 생성되거나 소멸되지 않고 두 판이 수평적으로 미끄러지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며 스치는 곳

- 두 판이 어긋나는 곳은 판 사이의 마찰력 때문에 두 판 사이에


응력이 누적되게 되고 , 누적된 힘이 마찰력보다 커지게 된다 . 이때
변환단층에서는 그동안 축적해 온 잠재에너지를 지진의 형태로
방출하며 단층을 따라서 움직임이 일어나게 됨 .

- 변환 단층이 발달하고 지진이 자주 일어나지만 , 화산 활동은


일어나지 않음 .

- 보존 경계에서 화산활동은 일어나지 않지만 접촉면을 따라서


화산 활동이 일어나면 화산 쇄설물 , 용암과 같은 화산 분출물 방출됨 .
* 화산 쇄설물 : 화산 폭발로 생성된 고체 물질로 , 크기에 따라 화산암과
화산력 , 화산재 , 화산진으로 구분 .

화산 활동의 이로운 점
- 화산 활동이 일어난 지역이 시간이 지나면 식물이 자라기 좋은 토양으로
만들어짐
- 화산 지대에 형성된 독특한 지형과 온천은 관광 자원으로 활용 가능

화산 활동의 피해
- 지표로 방출된 화산 쇄설물이나 용암이 흘러내리면서 산불이나 산사태
발생 위험
지진의 이로운 점
- 지진파를 분석하여 지구 내부의 구조와 물질에 관한 여러 가지 정보를
얻을 수 있음
- 지진파를 이용하여 석유 , 천연가스 등 유용한 지하자원이 매장된
지역을 찾을 수 있음
- 지질 구조를 파악하여 댐이나 도로 등을 건설하기에 적합한 지역 선정
가능

지진의 피해
- 땅의 진동으로 산사태가 발생
- 지표면이 갈라져서 도로와 건물 붕괴
- 가스 누출이나 전기 누전 등으로 화재 발생
구분 지진이 주는 영향

지진으로 대규모 화재가 발생하여 대기가 오염된다 .


기권 건물과 도로 등이 붕괴하고 산사태 등으로 발생한
분진들이 대기 중으로 퍼져나간다 .
쓰나미가 발생하여 해안 지역에 피해가 발생하고 ,
수권
댐이 붕괴되어 물이 범람한다 .

지권 땅이 갈라지고 , 산사태가 일어난다 .

생물권 생태계가 파괴되고 , 인명 피해가 발생한다 .


피해 종류 피해 내용
- 화산재에 덮여서 농작물이 피해 입었다 .
환경적
- 하천과 양식장의 물고기들이 떼죽음을 당했다 .
- 도로 교통이 마비되고 , 항공기 운항이 금지되었다 .
사회적 - 물이나 식료품을 사재기하거나 은행에서 현금을 대량
인출하는 등 극심한 혼란이 발생하였다 .
- 경제 활동이 크게 위축되었다 .
- 어업과 관광업을 비롯한 여러 산업 분야에서 큰 타격을
경제적 입었다 .
2. 화산 분출로 항공기 운항이 중단된 사례를 찾아보고 , 그 피해를
정리해 보자 .

:2010 년 아이슬란드에서 격렬한 화산 활동이 일어나 최소 1 조 6000 억


원 이상의 피해가 발생하였다 . 항공기 운항 중단으로 항공 업계는
물론이고 관광 , 물류 등 관련 업계도 큰 타격을 받았다 . 각종 국제
행사에 차질이 생기고 , 이는 주식 하락으로까지 이어졌다 .
 
p.135
 
방법 화산 분출물의 종류와 피해
(가) 화산 분출물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 화산
쇄설물과 물이 섞여 매우 빠르게 흐르는 화산 이류의 경로를
조절하여 피해를 줄일 수 있다 .

(나) 용암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 용암 등 화산


분출물에 직접 물을 뿌려서 굳게 만들면 화산 분출물의 이동
속도를 감소시키고 , 이동량을 줄이며 , 경로를 조절하여 피해를
줄일 수 있다 .

(다) 용암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 용암은 낮은 곳으로


흐르기 때문에 수로를 건설하여 이동 경로를 조절할 수 있다 . 또 ,
2. 화산   분출로 발생한 지구와 생명 시스템의 피해 사례를 찾아보고 ,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책 수립의 필요성과 구체적인 방법을 논의해보자 .
:1883 년 인도네시아 크라카타우 섬에서 섬의 대부분이 날아가 버릴 정도로 격렬한 화산
폭발이 일어났다 . 바다에서는 쓰나미가 발생하여 약 36000 명이 사망하였고 , 화산재가
햇빛을 차단하여 지구의 기온이 약 0.5℃ 낮아져 생태계에 영향을 미쳤다 .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선 화산 활동을 예측하고 신속하게 화산 활동 상황을 알릴 수
있는 경보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 또 , 화산체 주변에 댐이나 제방 , 수로 등을 건설하
고 , 화산 폭발 시의 행동 요령을 국민 모두가 숙지해야 한다 .

3. 화산 분출로 예측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조사하여 발표해 보자 .


: 화산 폭발의 전조 현상에는 지진 활동도 증가 , 가스 분출 , 지표면의 변형 등이 있다 .
지진 활동도는 일정한 지역 내에서 지진 활동이 일어나는 정도이다 .
또 , 분화구 주변에서 아황산 가스의 양을 측정하여 화산 폭발을 예측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 지표면의 변형도 화산 폭발을 예측하는 데 이용된다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