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지구과학 (이승연T)

태풍과 날씨 정리
2307 류영은

- 우리가 배웠던 저기압의 개념을 적용해서 생각해보면 온대 지역에서


발생하는 온대 저기압 그리고 이번 태풍과 연관이 있는 열대
저기압은 열대 지역에서 발생하는 열대성 저기압임.

* 태풍이 발생하는 원인이 무엇인가?


- 열대 지역 5도에서 20도 사이의 해양 위에서 발생하는 저기압이다.
- 북태평양 서쪽에서 발생하여 순간 최대 풍속이 17m/s 가 되는
저기압의 형태를 태풍이라고 하는 것임.

● 표면 해수의 온도 상승에 의한 대기 불안정으로 적란운이 생성


되는데 적란운은 수증기가 응결하는 양이 점점 많아지면서 응결열을
방출함. 열대 저기압의 에너지원이 됨으로써 태풍이 생성되는
것이다.

● 태풍이 진행하는 방향 중 우리가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부분?


- 태풍이 돌아가는 방향 중심으로 오른쪽을 위험반원, 왼쪽을
가항반원이라고 한다.
- 태풍은 편서풍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위험 반원에서의 피해 위험이
더욱 더 커지고 그에 반하여 풍향이 다른 가항 반원에서의 피해가 덜
하다는 것을 알아낼 수 있음.

* 태풍이 지상과 해양에서 비슷한 이유는 무엇인가?


- 지상에 있는 물체나 지상과 직접적으로 마찰력이 발생하기에 태풍의
에너지 원인 수증기의 공급이 적고 해양에서는 수온이 낮은 해역을
지날 때 세력이 약해 짐.
수권과 기권의 상호 작용으로 발생하는 기후 현상이라고 설명이 가능함.

* 태풍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대기의 거대한 소용돌이 :


지름 200KM ~ 1500KM 로 다양함 , 평균 높이 15km 임.

* 태풍의 눈은 태풍의 중심에서 공기가 상승하며 생기는 거대한 탑


모양의 적란운이 발생함으로 이로 인해 상승하여 바깥쪽으로 나가는
공기와 중심부로 하강함으로 고기압 지대와 비슷하게 바람이 약한
구간이 만들어진 부분을 의미함.

* 태풍의 눈 바깥 부분은 강한 상승 기류 -> 적란운 발달 -> 거대한


눈벽 형성 적운형 구름 생성으로 나선모양의 구름 띠가 만들어짐.
나선형 구름 띠가 차례대로 지나는 지역은 1~2시간의 간격을 두고
강한 소나기가 발생함.

태풍 예상 및 피해 사례는 사진으로 줌. 메일 사진 보세요.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