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06,07 온대 기후

1 온대 기후의 분포와 특징
(1) 분포 : 대체로 편서풍이 부는 중위도에 분포
(2) 특징 : ① 계절에 따른 기온 변화가 뚜렷함
② 최한월 평균 기온이 –3~18℃임

(3) 온대기후 구분

2 대륙 서안 Vs. 대륙 동안
(1) 편서풍의 영향
: 편서풍의 영향으로 대륙 서안과 대륙 동안의 기후 특성이 다르게 나타남
(2) 대륙 서안
: 해양의 영향을 받아 기온의 연교차가 대륙 동안에 비해 작은 편임
(3) 대륙 동안
: 대륙의 영향을 받아 기온의 연교차가 대륙 서안에 비해 큰 편임,
계절풍의 영향으로 여름철에 고온 다우함
대륙과 해양의 비열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바람을 말한다. 여름에는 대륙이 해양보다 빨
리 가열되므로 대륙에 저기압, 해양에 고기압이 발달하여 해양에서 대륙으로 바람이 분
다. 겨울에는 대륙이 해양보다 빨리 냉각되므로 대륙에 고기압, 해양에 저기압이 발달하
여 대륙에서 해양으로 바람이 분다.

대륙 서안 대륙 동안
연교차 작음 큼
여름강수집중률이
강수 특징 -
높음

2015 개정_이윤지의 세계지리 • 31


06,07 온대 기후

1 온대 기후의 분포

온대 겨울 건조 기후와 온난 습윤 기후는 주로 중위도 대륙 동안에 나타나고,


서안 해양성 기후와 지중해성 기후는 주로 중위도 대륙 서안에 나타난다. 온대
겨울 건조 기후와 온난 습윤 기후는 온대 기후 지역 중에서 위도가 대체로 낮은
편에 속한다. 대륙 서안의 온대 기후 지역에서는 위도30°~40°지역에 지중해
성 기후가 나타나고, 위도 40°~60°지역에 서안 해양성 기후가 나타난다.

3 서안 해양성 기후(Cfb)
(1) 특징
① 연중 바다로부터 불어오는 편서풍의 영향을 크게 받음
② 기온의 연교차가 작음
③ 연중 강수가 고른 편 → 수운 교통에 유리

(2) 분포 : 북·서부 유럽, 북아메리카 북서 해안, 칠레 남부, 오스트레일리아 남동부, 뉴질랜드 등

(3) 주민 생활
① 강수일수가 많고 일사량이 적어 여름이 대체로 서늘함 → 목초지 조성에 유리함
② 가축 사육, 혼합 농업
③ 대도시가 발달한 북해 연안 : 낙농업, 화훼 농업

4 지중해성 기후(Cs)
(1) 특징
① 비슷한 위도대의 대륙 동안에 비해 기온의 연교차가 작음
② 여름은 고온 건조하고, 겨울은 온난 습윤함

2015 개정_이윤지의 세계지리 • 32


06,07 온대 기후

2 지중해성 기후의 건·우기 시기 차이

( )반구의 지중해성 기후 ( )반구의 지중해성 기후

계절 Aw Cs 계절 Aw Cs
북반구 북반구
남반구 남반구

(2) 분포 : 남·북위 30°~40°의 대륙 서안에 주로 나타남(지중해 연안,


미국 캘리포니아, 칠레 중부, 오스트레일리아 남서부, 아프리카 남단 등)

2015 개정_이윤지의 세계지리 • 33


06,07 온대 기후

(3) 주민 생활
① 여름철에 외부의 열기가 집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벽을 두껍게, 창문을 작게 만듦
② 일부 지역에서는 햇빛을 반사시키기 위해 벽면을 하얗게 칠하기도 함
③ 세계적인 관광지
④ 계절에 따라 농업의 특색이 다르게 나타남
특징 요인
올리브, 오렌지, 코르크참나무 등을 재배하는 뿌리가 깊고 잎이 단단한 경엽수가 여름철의
여름
수목 농업이 이루어짐 고온 건조한 기후에 잘 견딤
겨울 밀, 귀리, 보리 등의 곡물 농업이 이루어짐 온난하고 강수량이 많음

⑤ 이탈리아, 스위스, 오스트리아 등 지중해 연안의 산지 지역에서는 이목이 이루어짐 → 알프스 산지에서의 이목이 유명함

5 대륙 동안의 온대 기후
⑴ 특징
① 중위도 대륙 동안은 해양보다 대륙의 영향을 크게 받아 기온의 연교차가 큼
② 계절풍의 영향이 큼
③ 강수량의 계절 차가 큼 → 하천의 유량 변동이 커 수운 교통에 불리함
④ 낙엽 활엽수와 침엽수의 혼합림이 많으나, 상록 활엽수(조엽수)도 분포함

2015 개정_이윤지의 세계지리 • 34


06,07 온대 기후

⑵ 구분과 분포
① 강수량의 계절적 차이를 기준으로 온대 겨울 건조 기후와 온난 습윤 기후로 구분됨

⑶ 주민 생활
① 계절에 따라 강수량의 차이가 뚜렷하여 홍수와 가뭄이 빈번한 편임
② 여름철 열대 저기압의 영향으로 인해 풍수해, 해일 등의 피해가 발생함
③ 지역에 따라 농목업의 차이가 나타남

2015 개정_이윤지의 세계지리 • 35


08 건조 기후와 건조 지형

1 건조 기후 구분

(1) 특징
① 무수목 기후에 해당함
② 연 강수량 500mm 미만
② 기온의 일교차가 매우 큼
③ 강수량 < 증발량

세계에서 평균 강수량이 가장 적은 지역은 극지방이지만, 사막은주로 위도 20°~30°의 지역에서 나타난다. 이는


이 지역의 증발량이 강수량보다 많기 때문이다.

(2) 구분
사막 기후(BW) 스텝기후(BS)

▷ 연 강수량 250mm 미만 ▷ 연 강수량 250~500 mm


▷ 기온의 일교차가 매우 큼 ▷ 짧은 우기 동안에 키 작은 풀이 자라 초원을 형성
▷ 식생이 매우 빈약함 ▷ 유기물이 풍부한 흑색토인 체르노젬 등이 분포
▷ 유기물이 적고 표토층에 염분이 많은 사막토 ▷ 사막 주변 지역에 분포

사막 기후(BW) 스텝기후(BS)
▷ 평평한 지붕 : 강수량이 매우 적음 ▷ 조립과 분해가 쉬운 천막집
전통
▷ 창이 작고 벽이 두꺼운 흙벽돌 집 → 이동식 생활에 유리
가옥
▷ 건물이 인접하여 좁은 골목
▷ 강한 일사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 중위도 스텝에서는 한랭한 겨울철에
의복
머리나 전신을 가리는 의복이 발달함 대비한 가축의 가죽이나 털로 만든 옷
▷ 오아시스 농업과 관개 농업(지하수, 외래 하천, ▷ 구대륙 : 유목(양, 염소)생활
농업 관개 시설 등을 이용)을 통해 밀, 대추야자 등 재배 ▷ 신대륙 : 기업적 방목 및 상업적 목적으로 대규모 밀 재배
▷ 낙타 유목
▷ 최근 태양열, 태양광 발전소 건설 활발
기타
▷ 사막 체험 관광 발달

2015 개정_이윤지의 세계지리 • 36


08 건조 기후와 건조 지형

2 사막 형성 원인

아열대 고압대 지역 대륙내부지역 대륙서안의 한류 연안지역 탁월풍의 바람그늘 지역

연중 한류가 흘러 상승 기류가
대기 대순환에 따라 연중 하강 고온 건조한 바람이 불어와 사막이
바다와 멀어 수분 공급이 어려움 형성되지 못해 대기가 안정되어
기류 발달 만들어짐
있음
사하라 사막 고비 사막 나미브 사막(벵겔라해류) 파타고니아 사막
그레이트 빅토리아 사막 타커라마간 사막 아타카마 사막(페루해류)

만점 세계지리 – 건조 지역에서 물을 얻는 방법

2015 개정_이윤지의 세계지리 • 37


08 건조 기후와 건조 지형

3 건조 기후 지역의 지형

(1) 지형 형성 작용: 기계적(물리적) 풍화 작용 활발, 바람과 유수에 의한 지형 탁월


*물리적 풍화 작용 : 압력이나 온도의 변화 등과 같이 물리적인 요인에 의해 암석이 잘게 부서지는 과정으로 기온의 일교차가 큰 사막 지역과 한랭한 한대 기후
지역, 고산 지역 등에서 우세하게 나타난다.
(2) 바람에 의해 형성된 지형

바람의 퇴적 바람의 침식 바람의 침식 바람의 침식

바람에 날려 온 모래가 쌓여 이루 바람에 날린 모래의 침식을 받아 형성


바람에 날린 모래가 바위의 아랫부 바람에 의해 모래가 제거되고 굵은
어진 모래 언덕 된 여러 개의 평평한 면(面)과 모서리
분을 깍아 형성된 버섯모양의 바위 자갈만 넓게 깔린 지표면
가 생긴 돌

(3) 유수에 의해 형성된 지형

구분 특징

비가 내릴 때에만 일시적으로 물이 흐르는 골짜기 혹은 하천(건천)

골짜기 입구에 유수의 운반 물질이 퇴적된 부채 모양의 지형

여러 개의 선상지가 연속적으로 분포하는 복합 선상지

건조 분지의 평탄한 저지대 또는 저지대에 비가 많이 내렸을 때 일시적으로 물이 고이는 염호


경암과 연암의 차별적 풍화와 침식에 따라 형성됨

2015 개정_이윤지의 세계지리 • 38


08 건조 기후와 건조 지형

★ A~E 지형명을 쓰고, A~E에 대한 설명에 O / X로 답하시오.

(1) A는 경사 급변점을 중심으로 발달한다. ( O / X )


(2) A는 경사가 완만한 고기습곡산지 주변에서 주로 발달한다. ( O / X )
(3) A가 연속적으로 발달하여 이어진 지형을 바하다라고 한다. ( O / X )
(4) B에는 강수 시 일시적으로 물이 흐른다. ( O / X )
(5) B는 포상홍수 침식으로 형성된 완경사면이다. ( O / X )
(6) C의 물은 주로 식수나 관개용수로 이용된다. ( O / X )
(7) C 저지대의 충적층에는 회백색의 포드졸이 널리 분포한다. ( O / X )
(8) D는 주로 바람의 침식 작용으로 형성된다. ( O / X )
(9) D는 바람의 방향에 따라 모양이 쉽게 바뀔 수 있다. ( O / X )
(10) D의 바람을 받는 쪽은 완경사를 이루고 그 반대쪽은 급경사를 이룬다. ( O / X )
(11) E는 바위가 바람에 날려 온 모래에 깎여 형성되었다. ( O / X )
(12) E는 윗부분보다 아랫부분이 집중적으로 침식된다. ( O / X )

답: (1) O (2) X (3) O (4) O (5) X (6) X (7) X – 포드졸토에 대한 설명임 (8) X (9) O (10) O (11) O (12) O

2015 개정_이윤지의 세계지리 • 39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