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Ⅱ. 세계의 자연환경과 인간 생활 5.

독특하고 특수한 지형들

학년 반 번 이름

- 독특한 건조 지형과 빙하 지형을 조사하고, 그 형성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화산 지형, 카르스트 지형, 해안 지형의 형성 과정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1. 건조 지형
▼ 유수에 의해 형성되는 지형 건조 지형은 건조하고 일교차가 큰
환경에서 주로 물리적 풍화로 만들
어진다. 그리고 식생이 거의 없고 한
번에 폭우가 오는 경우가 많아, 비가
왔을 때 포상홍수의 형태로 침식 작
용이 일어난다. 또 바람에 의한 침
식, 퇴적, 운반 작용이 활발하다.
▲ 건조 지형의 특징
• ( 와디 ) 비가 내릴 때만 일시적으로 물이 흐르는 골짜기(하천) → 평상시는 교통로로 이용
건조분지의 평탄한 저지대로 비가 내릴 때 일시적으로 물이 고이는 호수
• ( 플라야 )
→ 염분 성분이 녹아 있어 ‘염호’라고도 부르며, 식수와 농업용수로는 사용 불가
• ( 선상지 ) 산지를 흐르던 하천이 넓은 평지 만나면서 운반 물질이 부채 모양으로 퇴적된 지형
• ( 바하다 ) 여러 개의 선상지가 연속적으로 분포하는 복합 선상지 건조 기후 지역에서 많은 비가 짧

• ( 오아시스 ) 사막에서 지표로 샘이 솟아 풀·나무 자라는 곳 → 밀, 대추야자 재배 및 마을 형성 은 시간 동안 내릴 때 빗물이 산비


탈에서 지표면을 덮는 형태로 넓게
▼ 바람에 의해 형성되는 지형 퍼져 흘러내리는 것을 말한다.
▲ 포상홍수

• ( 사구 ) 바람에 날려 온 모래가 쌓여 이루어진 모래 언덕


• ( 바르한 ) 한쪽 방향의 바람이 우세하게 불어 형성된 초승달 모양의 사구
• ( 버섯바위 ) 바람에 날린 모래가 바위의 아랫부분을 깎아 형성된 버섯 모양의 바위
• ( 삼릉석 ) 바람에 날린 모래의 침식을 받아 형성된 여러 개의 평평한 면과 모서리가 생긴 돌
• ( 사막포도 ) 모래가 바람에 날려 제거되어 자갈만 넓게 깔린 지형
수평 지층의 대지 및 고원이 침식·해체되는 과정에서 상단의 덮개 역할을 하는
• ( 메사 )
경암층과 하단의 연암층이 탁자 모양으로 남게 된 지형
• ( 뷰트 ) 메사가 점차 침식, 풍화되면서 정상부가 좁아져 고립 구릉으로 변한 것

2. 빙하 지형
빙하 지형은 과거 신생대 제4기의
▼ 빙하의 침식에 의해 형성된 지형
빙기 때 빙하로 덮여 있었던 중·고
위도 지역 및 해발고도가 높은 고산
지역에 발달한다. 그 시기에 빙하가
이동하면서 침식작용과 퇴적작용을
일으킨다. 그 후 간빙기가 되거나 빙
하가 녹아 빙하 지형이 나타난다.
▲ 빙하 지형의 특징

거대한 빙하가 골짜기를 따라 중


• 곡빙하 골짜기를 따라 흘러내리는 빙하 → 흘러내리며 다양한 침식 지형을 만듦
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 ( 호른 ) 산 정상부가 빙하의 침식을 받아 형성된 뾰족한 봉우리
서 침식을 하여 생긴 지형으로, 보
• ( 권곡 ) 골짜기의 상부가 빙하 침식으로 움푹 꺼진 지형 통 U자형으로 나타나, U자곡이라고
• ( 현곡 ) 본류 빙식곡의 절벽 위에 지류 빙식곡이 높이 걸려 있는 형태의 골짜기 불린다. 기온이 상승하여 녹으면 우
• ( U자곡 ) 빙하가 골짜기를 따라 이동하면서 사면을 깊게 깎아 만든 U자 모양의 빙식곡 리 눈에 U자형 골짜기가 나타난다.
• ( 피오르 ) U자곡에 바닷물이 들어와 형성된 지형을 이름 ▲ 빙식곡

- 1 -
▼ 빙하의 퇴적에 의해 형성된 지형

• 빙력토 평원 빙하가 후퇴한 후 운반한 물질(자갈·모래·점토 등)이 그대로 퇴적되어있는 평원


빙하가 이동하면서 운반한 물질이 빙하 말단부에 주변 지형보다 높게
• ( 드럼린 )
솟은 모양으로 퇴적된 지형
빙하가 운반한 물질이 빙하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숟가락을 엎어 놓은
• ( 모레인 )
볼록한 모양의 퇴적 지형
빙하의 밑에서 빙하가 녹은 물이 흐르면서 좁고 길게 제방 모양으로
• ( 에스커 )
토사를 퇴적시켜 형성된 지형

3. 화산 지형
내적 작용으로 인해 지하의 마그마
▼ 화산체
가 분출하여 형성된 지형이다. 따라
서 세계적으로는 판과 판의 경계나
판이 분리되는 곳에서 주로 나타난
다. 환태평양 조산대, 알프스-히말라
야 조산대, 동아프리카 지구대, 대서
양 중앙해령 등에 분포하고 있다.
▲ 화산 지형의 특징

• ( 종상화산 ) 점성이 높아 유동성이 작은 유문암·안산암질 용암 → 종 모양, 경사 급함


• ( 순상화산 ) 점성이 낮아 유동성이 큰 현무암질 용암 → 방패 모양, 경사 완만함
• ( 성층화산 ) 화산 쇄설물과 용암이 반복적으로 쌓여 형성된 화산
• ( 칼데라 ) 화산 분출 후 화구 부근이 무너져 형성 → 이곳에 물이 고이면? ( 칼데라호 )
• ( 이중화산 ) 화산 분출 후 소규모의 분화가 더 일어나 형성

▼ 분출 후 용암의 흐름에 의해 형성된 지형

• ( 용암대지 ) 점성이 약한 현무암질 용암이 지표를 덮어 넓고 평탄한 대지 형성

• ( 용암동굴 ) 용암 분출 시 상층의 용암은 굳어지고 하층 내부의 용암이 흘러가면서 형성

• ( 주상절리 ) 뜨거운 용암이 급격히 식어 여러 방향으로 수축이 일어나며 형성 → 기둥 모양의 절리 형성

◆ 화산 지형의 주민생활
• 화산재가 쌓여 만들어진 ( 화산회토 ) → 무기질 풍부해 농업에 도움 증기의 압력으로 온천수와 수증기
농업 발달 - 이탈리아의 에트나 화산, 베수비오 화산 → 포도, 오렌지, 올리브 생산 를 주기적으로 분출하는 온천이다.
- 일본 간토평야의 벼농사 발달
▲ 간헐천
• 뜨거운 지하수 → 지열발전에 이용 or 가정에 공급
지열 및 지하자원
• 지열발전 : 이탈리아에서 시작 → 뉴질랜드, 아이슬란드, 미국도 실용화 중
풍부
• 광물 자원 풍부: 금, 은, 구리, 주석, 흑연, 유황 등 ex) 칠레의 ( 구리 )
• 다양한 화산 지형을 관광자원으로 활용: 주상 절리, 용암 동굴 등
관광 산업
• ( 온천 ) & ( 간헐천 ) : 일본 규슈 지방, 미국 하와이, 아이슬란드, 뉴질랜드 등

- 2 -
4. 카르스트 지형
◆ 카르스트 지형 석회암은 탄산칼슘(CaCO₃)으로 구
의미 • ( 석회암 )의 주성분인 ( 탄산칼슘 )이 오랫동안 빗물이나 지하수의 ( 용식 )작용을 받아 형성 성되어 약산성의 빗물이나 지하수를
만나 용식작용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 암석의 물질이 물과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녹는 과정을 의미
용식작용 암석이다.
• 용식의 속도는 ( 물 )의 양과 ( 온도 )의 영향을 받음
이란?
• 열대, 아열대기후에서 잘 발달 (∵ 강수량多, 이산화탄소多, 지하수 잘 흐름) ▲ 석회암

▼ 카르스트 지표에서 나타나는 지형

보통 지중해성 기후 지역에서 나타
• ( 돌리네 ) 용식작용으로 인해 움푹 파인 웅덩이 모양의 지형 나는 석회암 풍화토를 말한다. 철,
• 우발라 여러 개의 돌리네가 성장하여 결합해 스케일이 더 커진 지형 알루미늄 등의 성분이 산화되고 집

• ( 탑카르스트 ) 수직에 가까운 절벽을 이루는 석회암 봉우리 ex) 중국-구이린, 베트남-할롱만 적되어 붉은색을 띠며, 배수가 잘되
어 경지는 주로 밭으로 이용된다.
• ( 석회화 단구 ) 탄산칼슘이 함유된 온천수가 흐르면서 형성된 계단 모양의 독특한 지형
▲ 테라로사
• ( 테라로사 ) 석회암이 풍화된 토양으로 붉은색을 띠며, 배수가 잘되어 주로 밭농사로 이용됨

▼ 카르스트 지하에서 나타나는 지형

빗물이나 지표수가 땅속으로 흘러가 석회암층이 용식되어 만들어진 동굴


• ( 석회동굴 )
→ 탄산칼슘이 동굴 내부에 침전되면 ‘종유석, 석순, 석주’ 발달
석회동굴 내부의 동굴 천정에서 지하수가 물방울로 떨어질 때, 지하수에 용해되어 있던
• 종유석
탄산칼슘 성분이 천장에 집적하여 바닥 쪽으로 성장해가는 지형
• 석순 탄산칼슘 성분이 종유석이 성장하는 바닥 쪽에서 천장으로 자라는 지형
• 석주 종유석과 석순이 만나 하나의 큰 기둥 모양의 지형

5. 해안 지형
◆ 해안 지형 형성 작용
• 해수면 위에 부는 바람에 의해 발생
파랑
• 해안에 다양한 유형의 침식 및 퇴적 지형을 발달시킴
• 해안선과 평행하게 이동하는 일정한 바닷물의 흐름
연안류
• 모래·자갈 등 해안의 퇴적물을 운반 ▲ 파랑과 연안류
• 조수 간만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바닷물의 흐름
조류
• 조차가 큰 지역→ 조력발전소 입지에 유리
바람 • 바다에서 육지로 바람 불 때 해안의 모래를 육지 쪽으로 이동시킴

◆ 해안 지형의 형성
• 바다로 돌출되어 나온 비교적 뾰족한 모양의 지형

• 파랑 에너지가 ( 집중 )되어 ( 침식 ) 작용 활발 → 암석 해안 형성
• 바다가 육지 쪽으로 들어와 있는 형태의 지형
만 ▲ 곶과 만
• 파랑 에너지가 ( 분산 )되어 ( 퇴적 ) 작용 활발 → 모래 해안 발달

- 3 -
▼ 해안 침식 지형 [암석 해안]
: 파랑의 작용이 강한 ( 곶 )에 발달 → 해안 침식지형 형성

• ( 해식애 ) 해안의 산지나 구릉에 파랑의 침식으로 형성된 절벽


• ( 파식대 ) 해식애가 후퇴하면서 해식애 기저부에 발달한 평탄면
• 시스택 파랑의 차별 침식으로 형성된 바위섬(바위기둥)
• 시아치 파랑의 차별 침식으로 형성된 아치 모양의 암석
• ( 해식동굴 ) 파랑의 침식작용으로 해식애에 형성된 해안동굴
지반의 융기 또는 해수면 하강으로 높은 곳에 위치하게 된 과거의 파식대
• ( 해안단구 )
→ 농경지, 교통로, 취락 입지 / 둥근 자갈 나타남
▲ 해안단구 형성 과정

▼ 해안 퇴적 지형 [모래 해안]
: 파랑의 작용이 미약한 ( 만 )에 발달→ 해안 퇴적지형 형성

• ( 사빈 ) 하천에서 공급된 모래와 해안의 암석 침식물이 해안을 따라서 퇴적되어 형성된 모래사장
• ( 해안 사구 ) 사빈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해안선 배후에 퇴적되어 형성된 모래 언덕
• ( 사주 ) 파랑, 연안류에 의해 운반된 모래가 제방 모양으로 퇴적된 지형
• 육계도 사주의 성장으로 육지와 연결된 섬
• 육계사주 육계도와 육지를 연결하는 사주
• ( 석호 ) 발달한 사주가 만의 입구를 막으면서 형성된 호수

[Mission 6.] 세계의 지형을 찾아 떠나는 여행지 조사하기

① 내가 보고 싶은 지형

② 지형이 위치한 나라

③ 그 지역의 기후대

④ 방문하고 싶은 시기

⑤ 그 지역과 지형에 대해
조금 더 조사한 내용

- 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