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 자온쌤과 함께하는 지구과학 시간

Ⅰ. 고체지구의 변화 – 3. 변동대와 화성암 학번: 이름: 8~10

※생성원인에 따라 2) 마그마 생성 조건

01. 화성암
1) 마그마의 생성 장소

※함수광물
- 각섬석, 운모류는 광물구조 내에 (OH)를 포함하고
있어 가열하면 H  O가 빠져나온다.

※대륙조산대 하부
- D, 물이 포함된 화강암질 암석은 지하로 갈수록 용
- 해양지각에 포함된
융점이 낮아지므로 조산대 하부의 깊은 곳에서 화강암
함수광물에서 빠져나온
질 마그마 생성
① 현무암질 마그마 H  O가 맨틀 물질의
생성 용융점을 낮춰 현무암질
※섭입대에서의 맨틀 용융
마그마 생성
-판이 섭입하면서 생긴 마찰열로 지각을 이루는 암석
베 -A→C
니 이 용융X, 섭입하는 판 위에 놓인 맨틀이 부분용융하여
-대륙지각 하부에 현무암질 마그마가 생성

② 화강암질 마그마 마그마가 부착되어 온도를

생성 높여 화강암질 마그마 생성 ※부분 용융

-B→B’
-지구 내부에는 다양한 암석이 존재하므로 마그마는 2
가지 이상의 물질이 섞여있는 혼합물로 불규칙한 녹는
-혼합에 의해 안산암질
③ 안산암질 마그마 점을 가지게 됨, 환경에 따라 암석이 용융될 때 일부
마그마 생성, 분출
생성 광물은 용융되고 일부 광물은 결정 상태로 남아 있게

-맨틀물질 상승에 의한
압력감소에 의해 맨틀의
현무암질 마그마
④열점 부분적 용융으로 마그마
생성
생성(A→A’)
-온도 증가 요인 존재함

현무암질 마그마 -맨틀물질 상승


⑤해령
생성 -압력 감소 (A→A’)
㈜ 자온쌤과 함께하는 지구과학 시간
Ⅰ. 고체지구의 변화 – 3. 변동대와 화성암 학번: 이름: 8~10

3) 마그마의 분화 작용 5) 화성암의 종류(SiO  함량, 산출상태에 따라 분류)


: 화성암은 마그마의 조성과 생성환경에 따라
구성 광물이 달라지며 광물이 정출되면서 점차
마그마의 조성이 변해감.
- 용융점이 높은 광물부터 낮은 광물 순으로 정출

▶유색광물 정출 순서: 감람석→휘석→ 각섬석→흑운모


※ 화학조성(SiO  ,구성광물,색)에 따른 분류
▶무색광물 정출 순서: Ca사장석→Na사장석→정장석→석영
:고철질(염기성암), 중성질(중성암), 규장질(산성암)
*초기(고온)에 정출될수록: Fe, Mg, Ca 성분多, 어두움
①SiO  함량 66%이상: 산성암, 밝은색, 낮은온도
*후기(저온)에 정출될수록: Si, Na, K 성분多, 밝음
Na  O, K  O, SiO  비율 ↑
※보엔의 반응계열
②SiO  함량 52%이하: 염기성암, 어두운색, 높은온도
-보엔은 실험을 통해 마그마에서 광물이 만들어지는
CaO, FeO, MgO 비율 ↑
과정을 밝혀냄
-불연속 반응 계열과 반응 계열로 나뉨
※산출상태(조직크기, 결정크기)에 따른 분류
-불연속 반응 계열: 감, 휘, 각, 흑
: 화산암, 반심성암, 심성암
-연속 반응 계열: 고용체인 사장석이 정출(Ca→Na)
①화산암: 냉각속도 빠름, 세립질・비결정질・유리질
-두 계열의 정출이 끝나고 나서 최종적으로 정장석,
②반심성암: 반상조직, 석기・반정
백운모, 석영등이 정출된다.
③심성암: 냉각속도 느림, 조립・등립질
-모든 종류의 화성암에 적용되는 것은X
-주로 섭입대에서 생성되는 마그마에서 만들어진 화
성암에서 관찰 **TiP!! 화성암의 조직
조립질(5mm↑)
4) 마그마의 다양성 입상조직 육안, 돋보기
중립질(2~5mm)
① 상부맨틀의 부분용융에 의해 1차적으로 현무암질 마그 (현정질) 관찰 O
세립질(2mm↓)
마가 생성된다. (지표로 곧바로 올라오는 경우 현무암질 마
현미경 관찰O 미정질
그마의 화산활동 발생) 비현정질
현미경 관찰X 유리질
② 현무암질 마그마가 지각 하부에서 머물러 부분용융 시
- 등립질: 입자들의 상대적 크기가 동일함
키면 화강암질 마그마 형성
③ 마그마가 주변의 지각 물질을 녹이면 화학조석이 다른
마그마로 변화 하기도함(동화 작용)
④ 화학성분이 다른 마그마가 만나 직접 섞임(혼합작용)
⑤ 마그마 장소에서 결정과정이 진행되어 화학 성분이 다
른 잔액 마그마가 형성(결정분화작용)
㈜ 자온쌤과 함께하는 지구과학 시간
Ⅰ. 고체지구의 변화 – 3. 변동대와 화성암 학번: 이름: 8~10

6) 화성암의 산출상태 7) 화성암의 조직


- - 마그마가 냉각되는 속도에 따라 광물입자가 성장할 수
있는 크기가 달라서 조직이 다르게 생성

-마그마가 지하 깊은 곳에서 천천히 냉각


지하 깊은 곳에 큰 규모로 관입(100km  ①
저반 -광물이 충분히 성장할 수 있음
↑) 조
암주 -광물 입자가 비교적 큼
지하 깊은 곳에 관입(100km  ↓) 립
-맨 눈 구별 가능
암경 마그마가 지표로 나오는 화도에서 굳어짐 질
-저반, 암주, 심성암에서 잘 나타남
암맥 마그마가 지층 사이로 비스듬히 관입 -마그마가 지표에서 빠르게 냉각

암상 마그마가 지층에 평행하게 관입 -광물이 충분히 성장할 수 없음

병반 마그마가 볼록 렌즈 모양으로 관입 -광물의 결정 크기가 매우 작음

-맨 눈 구별X
용암류 마그마가 지각 틈을 따라 지표로 분출 질
-용암류, 화산암에서 잘 나타남
-지표에 가까운 지하에서 비교적 빠르게 냉각

-미세한 광물 입자(석기)속에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입자(반정)이 들어있는 모양

-병반, 암상, 암맥에서 잘 나타남

-마그마가 지표로 분출하여 매우 르개 냉각

-광물이 결정을 형성하지 못함

-용암류에서 관찰

8) 산출상태와 조직에 따른 화성암 구분

<화산암>

현무암 안산암 유문암

<심성암>

반려암 섬록암 화강암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