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6

Ⅰ- 2

퇴적 구조와 퇴적 환경

01 퇴적암의 생성
퇴적물이 퇴적암으로 되는데 일어나는 속
성 작용의 특징을 알아둔다.

속성 작용=다짐 작용+교결 작용

아래 부분의 퇴적물이 위에 쌓인 퇴적물의


다짐 작용
무게에 눌리면서 퇴적물 입자 사이의 간격
(A)
이 좁아져 다져지는 작용
지하수에 녹아 있던 물질이 퇴적물 사이에
교결 작용
침전되어 퇴적물 입자 사이를 메우며 서로
(B)
붙여 굳어지게 하는 작용

교결 물질

A B

•퇴적물의 무게 증가 공극이 석회 물질이나


•퇴적물에 의한 압력 증가 규질 물질로 채워져
•입자 사이의 공극 감소 단단한 암석이 된다.
•퇴적물의 밀도 증가

1 /16 완자쌤의 비밀노트


02 퇴적암의 종류와 특징
구성 물질의 기원에 따른 퇴적암의 분류를
알아둔다.

쇄설성 퇴적암 암석 부스러기가 퇴적되어 형성


물속에 용해된 물질의 침전이나 물의
화학적 퇴적암
증발로 형성
유기적 퇴적암 생물의 유해가 퇴적되어 형성

퇴적물의 기원으로 퇴적암을 분류한다.

구분 퇴적물 → 퇴적암
모래 → 사암
(가) 점토 → 셰일
쇄설성 자갈 → 역암
화산재 → 응회암
석회 물질(CaCO3) 침전 → 석회암
(나)
규질(SiO2) 침전 → 처트
화학적
증발 잔류(NaCl) → 암염
(다) 석회질(CaCO3) 생물체 → 석회암
유기적 규질(SiO2) 생물체 → 처트

석회암과 처트는 화학적 기원으로도 생성될 수 있고, 유기적 기원


으로도 생성될 수 있다.

2 /16 완자쌤의 비밀노트


03 퇴적 구조의 종류와 퇴적 환경
퇴적 구조로 지층의 상하를 구별하고, 퇴적
구조가 형성되는 환경을 알아둔다.

(가) (나) (다) (라)


역전되었다. 물이 흐르거나 바람이 분 방향:
층리의 경사가 완만해지는 방향
•V자 모양의 틈이 넓은 쪽이 위쪽
(가) 건열
•형성 환경: 건조한 기후
•입자가 작아지는 쪽이 위쪽
(나) 점이 층리
•형성 환경: 수심이 깊은 환경
•층리의 폭이 넓은 쪽이 위쪽
(다) 사층리
•형성 환경: 사막이나 하천
•물결 모양의 뾰족한 쪽이 위쪽
(라) 연흔
•형성 환경: 수심이 얕은 환경

퇴적 환경에서 형성되는 퇴적 구조를 안다.

육지 삼각주(A): 연안 환경,
A 사층리
바다
하천
B 대륙붕

대륙붕: 연안 환경, 연흔
대륙대(B): 해양 환경, 점이 층리

3 /16 완자쌤의 비밀노트


04 한반도의 퇴적 지형
한반도의 대표적인 퇴적 지형을 이루는 암석
의 형성 시기와 환경, 암석의 종류 등을 알아둔다.

(가) 태백시 구문소 (나) 진안군 마이산

(다) 제주도 한경면 수월봉 (라) 고성군 덕명리 해안

(가) 구문소 (나) 마이산


•고생대 바다에서 퇴적 •중생대 육지의 호수 환경
•주로 석회암으로 구성 에서 퇴적
•삼엽충 화석 산출, 연흔, •주로 역암으로 구성
건열 발견
(다) 수월봉 (라) 덕명리 해안
•신생대 수성 화산 활동으 •중생대 육지의 호수 환경
로 분출된 화산 쇄설물이 에서 퇴적
퇴적 •주로 사암, 셰일로 구성
• 주로 응회암으로 구성 •공룡 발자국 화석 산출,
연흔, 건열 발견

4 /16 완자쌤의 비밀노트


Ⅰ- 2
지질 구조

01 습곡과 단층
습곡이 형성될 때 작용한 힘의 종류를 알고,
습곡의 구조를 알아둔다.

횡압력 횡압력
B
A

지층이 아래로 오목한 지층이 위로 볼록한


구조 ➡ 향사 구조 ➡ 배사

상반과 하반의 모습을 보고, 단층이 형성될


때 작용한 힘과 단층의 종류를 판단한다.

단층면
상반
상반
하반
하반
(가) (나) (다)

단층면을 따라 단층면을 따라 단층면 양쪽 지층이


상반이 아래로 상반이 위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
이동 이동 ➡ 주향 이동 단층
➡ 장력 작용 ➡ 횡압력 작용
➡ 정단층 ➡ 역단층

5 /16 완자쌤의 비밀노트


02 절리, 관입과 포획
주상 절리와 판상 절리를 구분한다.

(가) (나)

(가) 주상 절리 (나) 판상 절리
•기둥 모양 •얇은 판 모양
•마그마가 급격히 냉각될 •심성암이 지표로 노출될
때 가장자리부터 냉각, 때, 외부 압력이 감소하여
수축하면서 발달 암석이 팽창하면서 발달
•화산암에 잘 나타난다. •심성암에 잘 나타난다.

관입암과 포획암을 구분한다.

B C D
A

주변 암석을 뚫고 들어간 A: 주변 암석에 둘러싸여 있는 D:


관입암 ➡ 주변 암석(B)보다 포획암 ➡ 주변 관입암(C)보다
나중에 형성 먼저 형성

6 /16 완자쌤의 비밀노트


03 부정합
부정합의 형성 과정을 알아둔다.

형성 과정: 퇴적 → 융기 → 침식 → 침강 → 퇴적

C CC B CC BDC BD
A BB AABB AABB AB
A A A A

A, B, C층 C층의 일
(가) (나) (다) (라)

하여 D층이
지층이 융기 지층이 침강
이 퇴적된다. 부가 침식 하여 수면 위
된다. 로 드러난다. 퇴적된다.
➡ 형성 순서: (가) → (다) → (나) → (라)

부정합면을 경계로 위 지층과 아래 지층의


관계로 부정합의 종류를 판단한다.

부정합면 부정합면 부정합면 심성암

(가) (나) (다)

부정합면을 경계 부정합면을 경계 부정합면의 아래


로 상하 지층이 나 로 상하 지층이 서 에 심성암이나 변
란하다. 로 경사져 있다. 성암이 분포한다.
➡ 평행 부정합 ➡ 경사 부정합 ➡ 난정합

7 /16 완자쌤의 비밀노트


Ⅰ- 2
지층의 나이

01 지사학 법칙
지사학 법칙을 알아둔다.

수평 일반적으로 퇴적물은 수평으로 쌓인다. ➡


퇴적의 현재 지층이 기울어져 있거나 휘어져 있으
법칙 면 지각 변동을 받았다고 판단한다.
지층 지층의 역전이 없었다면 아래 지층이 위 지층
누중의 보다 먼저 형성된 것이다. ➡ 지층의 변형이
법칙 나 역전은 퇴적 구조나 화석으로 판단한다.
관입한 암석은 관입당한 암석보다 나중에
관입의 생성되었다. ➡ 마그마가 관입하면 열 때문
법칙 에 관입당한 암석은 변성 작용을 받으므로
변성된 암석이 먼저 생성된 것이다.
부정합면을 경계로 상하 지층 사이에는 긴
부정합의 시간 간격이 있다. ➡ 구성 암석의 종류와 상
법칙 태, 지질 구조, 산출되는 화석의 종류가 달라
진다.
동물군 더 복잡하고 진화된 화석이 발견되는 지층
천이의 이 나중에 생성된 것이다. ➡ 주로 표준 화석
법칙 을 이용하여 지층의 선후 관계를 파악한다.

8 /16 완자쌤의 비밀노트


02 지층의 대비
암상의 대비로 지층의 생성 순서를 정한다.

7 5 7
6 4 6
부정합면
3 4
5
역암

4 2 3
응회암
석회암

3 1 2
셰일
사암

•건층(응회암층, 석탄층)을 찾아 연결한다.


•건층을 경계로 상하로 나누어진 영역에서 같은 종류의
지층이면 같은 시기에 퇴적된 것으로 보고 연결한다.
•지층의 역전이 없다면 아래쪽에 있는 것이 먼저 퇴적
된 것으로 보고 지층의 생성 순서를 판단한다.

화석의 대비로 지층의 생성 순서를 정한다.

4 6 6
3 4 5
2 3 4
화폐석

1 2 2
암모나이트
삼엽충

•암상에 관계없이 같은 표준 화석이 산출되면 같은 시대


에 퇴적된 것으로 보고 연결한다.
•지층의 역전이 없다면 아래쪽에 있는 것이 먼저 퇴적된
것으로 보고 지층이 생성된 시기의 순서를 결정한다.

9 /16 완자쌤의 비밀노트


03 방사성 동위 원소와 절대 연령
방사성 동위 원소의 반감기를 이해한다.
방사성 동위 원소의 양

100

75 •반감기: 방사성 동위 원소인


자원소

50`%(1
/
2)가 되는 데 걸린
모원소의 양이 처음 양의
50
모원소
25

%
시간
( )

0
T 2T 3T
시간
반감기

모원소와 자원소의 양으로 반감기 횟수를


구할 수 있다.

모원소의 처음 양에 대한 반감기
모원소 : 자원소
비율 모원소의 양 횟수

50 % 2
/
1 1:1 1회

25 % 4=(1
/
1 2)2
/ 1:3 2회

12.5 % 8=(1
/
1 2)3
/ 1:7 3회

 반감기가 2억 년이고, 반감기 횟수가 2회 지난 화


절대 연령은 반감기×반감기 횟수로 구한다.

성암의 절대 연령은 4억 년이다.

10 /16 완자쌤의 비밀노트


04 상대 연령과 절대 연령
지층의 상대 연령을 판단한다.

지층과 암석의 생성 순서: C 퇴적 → A 관입 → 부정합 u-u′


→ D 퇴적 → B 관입 → 부정합 → E 퇴적

방사성 동위 원소 X 자원소
E
D
u u'

A B
C ㉠ ㉡
변성 부분 (X의 반감기: 1억 년)
▲ 어느 지역의 지질 단면도 ▲ 방사성 동위 원소 X와 자

화성암 A 또는 B의 상대량)
원소의 상대량(㉠ 과 ㉡ 은

방사성 동위 원소 X(모원소)와 자원소의 양


을 이용하여 화성암 A, B의 절대 연령을 구한다.
•화성암 A가 B보다 먼저 생성되었으므로 남아 있는
모원소의 양이 적다. ➡ A는 ㉡, B는 ㉠이다.

A B
㉡1:3 ㉠1:1
화성암

2회 1회
모원소 : 자원소

1억 년 1억 년
반감기 횟수
X의 반감기
2회×1억 년 1회×1억 년
=2억 년(중생대) =1억 년(중생대)
절대 연령

11 /16 완자쌤의 비밀노트


Ⅰ- 2
지질 시대의 환경과 생물

01 표준 화석과 시상 화석
표준 화석과 시상 화석의 조건을 알아둔다.
생존 기간

O 분포 면적
생존 기간이 길고, 생존 기간이 짧고,
분포 면적이 좁다. 분포 면적이 넓다.
➡ 시상 화석 ➡ 표준 화석

화석의 대표적인 예를 알아둔다.

A 시상 화석의 예 B 표준 화석의 예
•고사리: 온난 다습한 육 •고생대: 삼엽충, 필석, 갑
지 환경 주어, 방추충
•산호: 따뜻하고 얕은 바 •중생대: 공룡, 암모나이트
다 환경 •신생대: 화폐석, 매머드

화석이 이용되는 예를 알아둔다.


•시상 화석(A): 지질 시대 기후 및 환경 연구에 이용
•표준 화석(B): 지질 시대 구분, 지층의 대비에 이용

12 /16 완자쌤의 비밀노트


02 고기후 연구 방법
O
18

O
따뜻한 기후일 때 산소 동위 원소비( 16 )

를 알아둔다.

빙하 속 물 분자의 산소 동위 원소비 높다.


해양 생물 화석의 산소 동위 원소비 낮다.

대기 중 CO2(이산화 탄소) 농도로 기후를


온실 기체

추정하고, 이때 산소 동위 원소비를 알 수 있다. (나)는


빙하 또는 해양 생물 화석의 산소 동위 원소비이다.

CO™ 300
(가) 농도 250
(ppm) 200
높다
산소
(나) 동위
원소비 낮다
40 30 20 10 0
A B

•CO2 농도가 낮다. •CO2 농도가 높다.


시간(만 년 전)

➡ 한랭한 기후 ➡ 따뜻한 기후
•산소 동위 원소비가 높다. •산소 동위 원소비가 낮다.

•(나)는 따뜻한 기후에 낮게 나타나므로 해양 생물 화석


의 산소 동위 원소비이다.

13 /16 완자쌤의 비밀노트


03 지질 시대의 환경
평균 기온

541 252.2 66 (백만 년 전)


A B C
선캄브리아

트라이아스기
오르도비스기
캄브리아기

실루리아기

팔레오기
시대

제4기
네오기
데본기
석탄기
페름기

쥐라기

백악기
C
(
)

22
17
12
한랭 온난
▲ 지질 시대별 지구의 평균 기온 변화

지질 시대별 기후의 특징을 알아둔다.

A(고생대) B(중생대) C(신생대)


•대체로 온난 •빙하기 없이 전 •팔레오기, 네오

•제 4 기에 여러
•오 르 도 비 스 기 반적으로 온난 기는 온난
말과 석탄기 말
에 빙하기 번의 빙하기와
간빙기

지질 시대별 수륙 분포의 특징을 알아둔다.

A(고생대) B(중생대) C(신생대)


•말기에 대륙들 •판게아 분리 •히 말 라 야 산 맥
이 하나로 합쳐 •대서양과 인도 형성
져 판게아 형성 양 형성 시작 •현재와 비슷한
수륙 분포

14 /16 완자쌤의 비밀노트


04 지질 시대의 생물
지질 시대별 생물의 특징을 알아둔다.

고생대 중생대 신생대


A B C
해양
어류 양서류 파충류 포유류
무척추동물

5 4 3 2 1 0
시간(억 년 전)
▲ 현생 누대 동안 번성한 주요 동물계(A, B, C는 ‘대’ 수준)

A 이전
•시생 누대: 바다에서 최초의 생명체 출현,
광합성 생물(남세균) 출현, 스트로마톨라이트
(선캄브리
•원생 누대: 원시적인 다세포 생물 출현, 에
아 시대)
디아카라동물군 화석
•해양무척추동물, 어류, 양서류, 양치식물
번성

A
- 캄브리아기: 무척추동물 번성
- 오르도비스기: 어류 출현
(고생대) - 실루리아기: 최초의 육상 식물 출현
- 데본기: 어류 번성
- 석탄기와 페름기: 방추충, 양치식물 번성
•화석: 삼엽충, 필석, 갑주어, 방추충
B •파충류, 겉씨식물 번성
(중생대) •화석: 공룡, 암모나이트, 시조새

C
•최초의 인류 출현
•포유류, 조류, 속씨식물 번성
(신생대)
•화석: 화폐석, 매머드

15 /16 완자쌤의 비밀노트


05 생물의 대멸종

시기를 알아둔다. ➡ 약 5번의 대멸종


현생 누대에 생물계의 급격한 변화가 나타난

고생대 중생대 신생대


지질 시대 A B C
생물 속의 수

2000


1000
❶ ❷


0
❶ 오르도비스기 말
❷ 데본기 말: 갑주어 멸종
❸ 페름기 말: 삼엽충, 방추충 멸종 ➡ 가장 큰 규모의 멸종
❹ 트라이아스기 말
❺ 백악기 말: 암모나이트, 공룡 멸종

그림의 지질 시대별 주요 특징을 안다.

A(고생대) B(중생대) C(신생대)


•말기에 판게아 •판게아 분리 •제 4 기에 여러
•말기에 빙하기 •온난한 기후 번의 빙하기
•전 기간에 삼엽 •바다에 암모나 •히 말 라 야 산 맥
충 번성 이트, 육지에 형성
•양치식물 번성 공룡 번성 •최초의 인류 출현
•겉씨식물 번성

16 /16 완자쌤의 비밀노트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