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3학년 [실전1] 3.

지표의 변화
2학기

[1~2] 오른쪽과 같이 얼음 설
탕을 플라스틱 통 안에 넣고 4 얼음 설탕이 든 플라스틱 통을 흔드는 것과 자
뚜껑을 닫은 다음 흔들어보았 연에서 물이나 나무뿌리가 바위에 하는 일의 공
습니다. 물음에 답하시오. 통점을 쓰시오.

1 위 실험은 무엇을 알아보기 위한 것입니까?


( )
① 돌이 만들어지는 과정
② 흙이 만들어지는 과정
[5~7] 다음 두 흙을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③ 얼음이 만들어지는 과정
④ 얼음 설탕의 단단한 정도
⑤ 얼음 설탕이 부서지는 데 걸리는 시간

(가) (나)
2 위의 실험 결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골라 기호를 쓰시오.
5 흙을 관찰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어느
<보기> 것입니까? ( )
㉠ 얼음 설탕의 모양이 달라집니다.
① 흙을 맛본다.
㉡ 얼음 설탕이 부서져 가루가 생깁니다.
② 흙을 뭉쳐 본다.
㉢ 얼음 설탕이 서로 뭉쳐서 한 덩어리가 됩
③ 눈으로 색깔을 관찰한다.
니다.
④ 돋보기로 알갱이를 자세히 관찰한다.
( ) ⑤ 손으로 만졌을 때의 느낌을 관찰한다.

6 (가)와 (나) 중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는


3 흙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골라 기호를 쓰시오.
것은 어느 것입니까? ( )
• 잘 뭉쳐집니다.
① 흙은 바위가 부서져서 만들어진다. • 어두운 갈색입니다.
② 바위틈에서 나무뿌리가 자라면서 바위가 부 • 식물의 뿌리나 나뭇잎 조각 등이 섞여 있습
서진다. 니다.
③ 바위가 작게 부서진 알갱이와 부식물이 섞여
( )
서 흙이 된다.
④ 바위틈에 있는 물이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하
면서 바위가 부서진다. 7 (가)와 (나) 중에서 부식물이 많이 섞여 있는 것

⑤ 자연 상태에서 바위나 돌이 흙으로 변하는 을 골라 기호를 쓰시오.


데에는 짧은 시간이 걸린다. ( )

[실전1] - 1 - copyright◯
C
[8~9] 다음은 운동장 흙과 화단 흙의 물 빠짐을 [11~12] 다음과 같이 흙 언덕의 위쪽에 색 모래를
비교하는 실험입니다. 물음에 답하시오. 뿌리고, 흙 언덕 위쪽에서 물을 흘려보냈습니다.
물음에 답하시오.

8 위 실험에서 같게 해야 할 조건을 <보기>에서


모두 골라 기호를 쓰시오.
11 위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 )
<보기>
① 흙 언덕의 위쪽은 흙이 많이 깎인다.
㉠ 흙의 양 ㉡ 물의 양
② 흙 언덕의 아래쪽은 흙이 많이 쌓인다.
㉢ 흙의 종류 ㉣ 물을 붓는 빠르기
㉤ 플라스틱 통의 크기 ③ 흐르는 물은 흙 언덕의 모습을 변화시킨다.
㉥ 거즈의 종류나 사용한 장수 ④ 흙 언덕 아래쪽의 흙은 위쪽의 흙보다 물
빠짐이 더 빠르다.
( )
⑤ 색 모래로 물에 의해 흙이 어떻게 이동하
는지 쉽게 알 수 있다.

9 운동장 흙과 화단 흙의 물 빠짐이 서로 다른 까
닭을 쓰시오. 12 다음 ㉠과 ㉡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흙 언덕의 위쪽에서는 ( ㉠ ) 작용이 활발하


고, 흙 언덕의 아래쪽에서는 ( ㉡ ) 작용이
활발합니다.

㉠: ( )
㉡: ( )

10 다음은 운동장 흙과 화단 흙이 든 비커에 물


을 붓고 유리 막대로 저은 뒤, 잠시 놓아둔 모 13 강 상류의 모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
습입니다. 은 어느 것입니까? ( )
① 강폭이 좁다.
② 강의 경사가 급하다.
③ 큰 돌을 많이 볼 수 있다.
④ 넓은 평야나 들을 볼 수 있다.
(가) (나) ⑤ 계곡이나 산을 많이 볼 수 있다.
(가)와 (나) 중에서 화단 흙을 고르고, 화단
흙에서 식물이 잘 자라는 까닭을 쓰시오.

14 강 상류와 강 하류 중에서 퇴적 작용보다 침식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곳을 쓰시오.
( )

[실전1] - 2 - copyright◯
C
15 강 하류의 모습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 18 바닷물의 침식 작용으로 만들어진 바닷가 지
두 고르시오. ( , ) 형을 <보기>에서 골라 기호를 쓰시오.
① 강폭이 좁다.
<보기>
② 강의 경사가 완만하다.
㉠ ㉡
③ 바위를 많이 볼 수 있다.
④ 침식 작용보다 퇴적 작용이 활발하다.
⑤ 오랜 시간이 지나도 모습이 전혀 변하지 않
는다. ㉢ ㉣

( )

[16~17] 다음은 강의 전체적인 모습입니다. 물음


에 답하시오.


19 다음과 같은 지형의 공통점으로 옳은 것을 모
두 고르시오. ( , )

▲ 모래 해변 ▲ 갯벌
16 ㉠과 ㉡ 지역 중에서 모래를 많이 볼 수 있는 ① 바닷가에서 볼 수 있는 지형이다.
곳을 골라 기호를 쓰시오. ② 강 상류에서 볼 수 있는 지형이다.
( ) ③ 강 하류에서 볼 수 있는 지형이다.
④ 바닷물의 침식 작용으로 만들어졌다.
⑤ 바닷물의 퇴적 작용으로 만들어졌다.

20 퇴적 작용이 침식 작용보다 활발한 곳을 모두


17 ㉠과 ㉡ 지역에서는 각각 흐르는 물의 어떤 작
고르시오. ( , )
용이 더 활발하게 일어나는지 쓰시오. ① 강 상류
② 강 하류
③ 흙 언덕의 위쪽
④ 바닷가에서 모래 해변이나 갯벌
⑤ 해안가에 바위가 가파르게 깎여 있는 절벽

[실전1] - 3 - copyright◯
C
3학년 [실전2] 3. 지표의 변화
2학기

[1~2] 오른쪽과 같이 얼음 설 [5~6] 다음 두 흙을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탕을 플라스틱 통 안에 넣고 뚜
껑을 닫은 다음 흔들어보았습니
다. 물음에 답하시오.

▲ 운동장 흙 ▲ 화단 흙
1 위 실험 결과로 옳지 않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 ) 5 운동장 흙과 화단 흙의 알갱이를 자세히 관찰할
① 얼음 설탕의 모양이 달라진다. 때 필요한 도구는 어느 것입니까? ( )
② 얼음 설탕의 크기가 달라진다. ① 자 ② 저울
③ 얼음 설탕이 녹아서 서로 붙는다. ③ 돋보기 ④ 쌍안경
④ 얼음 설탕이 부서져서 가루가 생긴다. ⑤ 망원경
⑤ 얼음 설탕이 부서져서 작은 알갱이가 생긴다.

6 위 흙의 특징을 비교한 것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 , )
2 위 실험은 무엇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알아보기
위한 것인지 쓰시오.
운동장 흙 화단 흙
( )
① 어두운 갈색 밝은 갈색
큰 것도 있고
② 비교적 큼.
작은 것도 있음.
③ 약간 부드러움. 거칢.
3 오른쪽의 사진에서 ④ 잘 뭉쳐지지 않음. 잘 뭉쳐짐.
바위나 돌을 부서지 주로 모래나 흙 식물의 뿌리나 나뭇잎
게 하는 것이 무엇인 ⑤
알갱이만 보임. 조각이 섞여 있음.
지 쓰시오.

( )
7 오른쪽과 같이 운동장 흙
과 화단 흙의 물 빠짐을
비교하는 실험에서 다르
게 해야 할 조건은 무엇
4 자연에서 흙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쓰시오. 인지 쓰시오.

[실전2] - 1 - copyright◯
C
8 다음은 앞 7번과 같이 실험한 결과 일정한 시간 11 앞의 실험에서 물에 뜨는 물질은 대부분 무엇
동안 빠져나온 물의 양입니다. 운동장 흙과 화 인지 쓰시오.
단 흙 중 각각 어느 흙에서 빠져나온 물인지 쓰 ( )
시오.

12 운동장 흙과 화단 흙 중에서 식물이 잘 자라는


흙을 고르고, 그 까닭을 쓰시오.

㉠: ( ) ㉡: ( )

9 운동장 흙과 화단 흙의 물 빠짐 정도가 서로
13 부식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
다른 까닭으로 옳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서 모두 골라 기호를 쓰시오.
( )
① 흙의 무게가 다르기 때문에 <보기>
㉠ 화단 흙보다 운동장 흙에 많습니다.
② 흙의 색깔이 다르기 때문에
㉡ 식물이 잘 자라는 데 도움을 줍니다.
③ 흙의 알갱이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 식물의 뿌리나 죽은 곤충, 나뭇잎 조각
④ 운동장 흙은 거칠고, 화단 흙은 부드럽기 때
등이 썩은 것입니다.
문에
⑤ 운동장 흙은 잘 뭉쳐지지 않고, 화단 흙은 잘 ( )
뭉쳐지기 때문에

[14~15] 다음과 같이 흙 언덕의 위쪽에 색 모래


를 뿌리고, 흙 언덕 위쪽에서 물을 흘려보냈습니
다. 물음에 답하시오.

[10~12] 다음과 같이 운동장 흙과 화단 흙이 든


비커에 물을 붓고 유리 막대로 저은 뒤, 잠시 놓아 ➡
두었습니다. 물음에 답하시오.

14 위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어느 것입
니까? ( )
① 흙 언덕이 더 높아진다.
▲ 운동장 흙 ▲ 화단 흙 ② 흙 언덕의 위쪽에 흙이 쌓인다.
③ 색 모래는 흙 언덕 위쪽에 그대로 있다.
10 위의 실험 결과, 물에 뜨는 물질이 더 많은 흙 ④ 흙 언덕의 위쪽에서는 퇴적 작용이 활발하다.
은 어느 것인지 쓰시오. ⑤ 흙 언덕의 아래쪽에서는 퇴적 작용이 활발
( ) 하다.

[실전2] - 2 - copyright◯
C
15 앞의 실험에서 흙 언덕의 모습이 변한 까닭을 18 강 하류에서 볼 수 있는 모습은 어느 것입니
설명한 것입니다.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까? ( )
말을 쓰시오. ① ②

흐르는 ( )이/가 흙 언덕 위쪽의 흙을


깎고 운반해 아래쪽에 쌓았기 때문입니다.

( ) ③ ④

[16~17] 다음은 강의 전체적인 모습입니다. 물


음에 답하시오.

19 오른쪽 지형에 대한 설명
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
시오. ( , )
① 강 상류에서 볼 수 있
16 ㉠과 ㉡ 지역 중에서 다음과 같은 모습을 볼
다.
수 있는 곳을 골라 기호를 쓰시오. ② 오랜 시간에 걸쳐 만들어졌다.
③ 흙이나 모래가 쌓여서 만들어졌다.
④ 바닷물의 침식 작용으로 만들어졌다.
⑤ 바닷물의 퇴적 작용으로 만들어졌다.

( )

20 다음 중 주로 일어나는 바닷물의 작용이 나


머지와 다른 것은 어느 것입니까? ( )
① ②

17 ㉠과 ㉡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 )
① ㉠ 지역은 강폭이 넓다. ③ ④
② ㉠ 지역은 강의 경사가 완만하다.
③ ㉡ 지역에서는 침식 작용이 활발하다.
④ ㉡ 지역에서는 계곡이나 산을 많이 볼 수

있다.
⑤ ㉡ 지역에서는 모래나 흙이 넓게 쌓여 있
는 것을 볼 수 있다.

[실전2] - 3 - copyright◯
C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