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과학 중2 7.

수권과 해수의 순환

7-1-1.수권의 분포와 물의 활용
조승현 (trillion@eduzone.co.kr)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
1) 제작연월일 : 2021-06-23
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무
2) 제작자 : 교육지대㈜
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외에도 저작권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제작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4. zb4 ) 다음의 <보기>에서 수권의 구성과 특징에 대한


※ 그림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을 보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고 물음에 답하시오.
것은?
<보기>
ㄱ. 해수는 바다에 있는 물로 짠맛이 난다.
ㄴ. 담수의 대부분은 액체 상태로 존재한다.
ㄷ. 지하보다 지표에 존재하는 담수의 양이 많다.
ㄱ ㄴ
ㄱ, ㄷ ㄴ, ㄷ

1. zb1 ) 수권을 이루는 A ~ E 에 해당하는 설명으로 옳지 ㄱ, ㄴ, ㄷ


않은 것은?

A 는 짠맛이 난다.
B 는 액체 상태만 있다.
C 는 고산지대, 극 지역에 있다. 5. zb5 ) 지하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D 는 담수이며 땅속에서 흐른다.
지하수는 대부분 맨틀에 분포한다.
E 는 대부분 짠맛이 나지 않는다.
지하수는 땅속에 있어 오염되지 않는다.
지하수는 고갈되지 않는 무한한 자원이다.
지하수는 주로 해수가 스며들어 형성된다.
빙하를 제외한 담수의 대부분은 지하수이다.
2. zb2 ) 수권을 L 페트병에 들어 있는 물에 비유했을
때, 해수와 육지에 있는 물의 양을 계산한 값으로
옳은 것은?

해수 육지에 있는 물
mL mL
6. zb6 ) 다음 그림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의 분포를 나
타낸 것이다. C , D , E 는 B 를 구성한다. A ~ E 에 대
mL mL
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mL mL
mL mL
mL mL

3. zb3 ) 그림의 비율을 보고 ‘지하수’에 해당하는 기호로 A 는 짠맛이 난다.

옳은 것은? B 는 육지의 물이다.


D 는 하천수와 호수이다.
A B
C D E 는 바로 이용할 수 있다.
C 는 주로 고산 지대나 극 지역에 분포한다.
E

I410-ECN-0199-2021-001-001401589
- 1 -
2021년 2학기 중간고사 대비 [기본] 7-1-1.수권의 분포와 물의 활용

7. zb7 ) 수자원과 관련된 내용이 아닌 것은? 11.


zb1 1 ) 그림은 우리나라의 수자원 이용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생활에 주로 활용하는 물은 담수이다.
온천수를 이용하여 관광 산업을 발달시킬 수 있다.
해수는 깨끗하므로 농사에 바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해수는 짠맛을 제거하여 담수가 부족한 지역에서 활용
한다.
담수가 부족한 고산 지대에서는 빙하가 녹은 물을 생활
이나 농업 활동 등에 활용한다. 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8. zb8 ) <보기>의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ㄱ. 이용하는 수자원 총량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보기> ㄴ. 이용량 중 농업용수가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한다.


ㄷ. 생활용수의 이용량이 가장 큰 비율로 증가하였다.
땅속 지층이나 암석 사이의 빈틈을 채우고 있거나 매우
느리게 흐르는 물이다. 빗물이 지층의 빈틈으로 스며들어 ㄱ ㄴ
채워지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수자원으로 ㄷ ㄱ, ㄴ
서 가치가 높다. ㄱ, ㄴ, ㄷ
해수 빙하
호수 하천수
지하수

12. <보기> 중 수자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


9.
zb1 2 )

지구상에 분포하는 물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두 고른 것은?
zb9 )

옳은 것은?
<보기>
수권의 물이 가장 많이 분포하는 곳은 육지이다.
ㄱ. 해수는 생활에 바로 이용하기 좋다.
해수는 짠맛을 가지고 있으나 양이 많아 식수로 손쉽게
ㄴ. 하천수는 담수화 기술로 짠맛을 제거한다.
이용할 수 있다.
ㄷ. 담수는 농업, 공업 활동에 활용될 수 있다.
빙하는 극지방이나 고산지대에 얼음이나 눈의 형태로
분포한다. ㄹ. 빙하가 녹아 액체 상태가 된 물은 고산지대에서 활용
한다.
강물, 호수의 물은 지하수가 부족할 때 대체할 수 있는
ㄱ, ㄴ ㄴ, ㄹ
수자원이다.
ㄷ, ㄹ ㄱ, ㄴ, ㄷ
빙하는 담수이면서 접근성이 좋아서 우리가 손쉽게 이
용할 수 있는 물이다. ㄴ, ㄷ, ㄹ

10. zb1 0 ) 다음 <보기>는 지하수에 대한 설명이다. 13.


zb1 3 ) 수자원의 활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보기> 해수는 짠맛을 제거하여 활용한다.


ㄱ. 생활이나 농업에 바로 이용할 수 있다. 지하수를 농작물 재배에 사용한다.
ㄴ. 대부분 해수가 지층에 스며들어 채워진다. 하천수를 공장의 냉각수로 사용한다.
ㄷ. 적절하게 활용해도 지속적인 사용이 불가능하다. 빙하가 녹은 물에는 염류가 포함되어 있다.
다음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하천수, 호수는 수자원으로 바로 활용할 수 있다.

ㄱ ㄴ
ㄱ, ㄴ ㄱ, ㄷ
ㄱ, ㄴ, ㄷ

I410-ECN-0199-2021-001-001401589
- 2 -
2021년 2학기 중간고사 대비 [기본] 7-1-1.수권의 분포와 물의 활용

14.
zb1 4 ) 지하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18.
zb1 8 ) 표는 수권에서 물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른 것은?
<보기>
ㄱ. 주로 빗물이 지하에 스며들어 생긴다. 육지의 물
종류 A
ㄴ. 일상생활이나 농업 활동에 바로 이용할 수 있다. B C D
ㄷ. 지하수는 지속적으로 채워져 수자원으로서 가치가 높 비율 97.47% 1.76% 0.76% 0.01%
다.
ㄱ ㄱ, ㄴ <보기>

ㄱ, ㄷ ㄴ, ㄷ ㄱ. A 는 짠맛이 나지 않는다.

ㄱ, ㄴ, ㄷ ㄴ. C 는 땅속에 있는 담수이다.
ㄷ. D 는 주로 액체 상태로 존재한다.
ㄹ. B 는 우리가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물이다.
ㄱ, ㄴ ㄴ, ㄷ
ㄷ, ㄹ ㄱ, ㄷ, ㄹ
15.
zb1 5 ) 수권과 수자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ㄴ, ㄷ, ㄹ
수권은 지구에 물이 분포하는 영역이다.
수권의 물은 대부분 짠맛이 나지 않는다. 19.
zb1 9 ) 수자원의 활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수자원은 하천을 유지하기 위해서도 쓰인다. 빙하는 담수이므로 쉽게 활용할 수 있다.
수자원은 공업용수, 농업용수 등으로 쓰인다. 우리나라에서는 공업용수가 가장 많이 이용된다.
우리가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물을 수자원이라 한다. 우리가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물의 양은 매우 많다.
산업의 발달과 생활 수준 향상으로 물 수요가 줄고 있
다.
지하수는 빗물에 의해 지속적으로 채워져 수자원으로서
가치가 높다.
16.
zb1 6 ) 우리나라에서 수자원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용도는?
20.
zb2 0 ) 지하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농업용수 유지용수
땅속 지층이나 암석 사이의 빈틈에 분포한다.
생활용수 공업용수
항상 그 자리에 고여있고 흐르지 않는다.
수출용수
빗물이 지층의 빈틈으로 스며들어 채워진다.
지하수는 수자원으로서 가치가 높다.
가뭄 발생 지역이나 섬에서는 식수로 활용한다.

21.
zb2 1 ) 자원으로서 물의 이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
은 것은?

인구가 늘고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필요한 물의 양은


17. 자원으로서 물의 가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
점점 증가한다.
zb1 7 )

은 것은?
담수가 부족한 고산 지대에서는 빙하가 녹은 물을 생활
물을 공업에 이용한다.
용수나 농업용수로 활용한다.
물을 생활용수로 사용한다.
건조한 사막기후 지대에서는 해수를 담수로 만들어 활
물을 이용하여 농사를 짓는다. 용하기도 한다.
물로 하천을 유지하는 데 사용한다. 수자원 확보를 위해 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물을 절약해
물이 지구의 온도를 급변하게 한다. 야 한다.
지구의 물은 순환하므로 제한 없이 무한정 활용할 수
있다.

I410-ECN-0199-2021-001-001401589
- 3 -
2021년 2학기 중간고사 대비 [기본] 7-1-1.수권의 분포와 물의 활용

22.
zb2 2 ) 수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5.
zb2 5 ) 수권의 분포와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수권은 바다에 분포하는 물이다.
수권을 이루는 물은 모두 담수이다. <보기>

하천수는 지하수에 비해 그 양이 많다. ㄱ. 지구에 분포하는 물을 수권이라고 한다.

육지의 물 중에서 빙하가 가장 양이 많다. ㄴ. 육지에 있는 물은 대부분 액체 상태이다.

수권을 이루는 물은 모두 액체 상태로 존재한다. ㄷ. 육지에 있는 물은 모두 담수이다.


ㄹ. 해수는 수권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한다.
ㄱ, ㄴ ㄱ, ㄷ
ㄱ, ㄹ ㄴ, ㄷ
ㄷ, ㄹ
23.
zb2 3 ) 지구상의 물의 분포를 나타낸 그림에 대한 설명
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6.
zb2 6 ) 지구에 분포하는 물 중에서 양이 많은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해수 - 빙하 - 지하수 - 하천수・호수
해수 - 하천수・호수 - 빙하 - 지하수
빙하 - 지하수 - 해수 - 하천수・호수
하천수・호수 - 해수 - 빙하 - 지하수
<보기> 빙하 - 지하수 - 하천수・호수 - 해수
ㄱ. A 는 호수와 하천수이다.
ㄴ. B 는 빙하로 고체 상태로 분포한다.
ㄷ. 기온이 상승하면, B 의 부피가 증가한다.
ㄹ. C 는 우리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물이다.
ㄱ, ㄴ ㄱ, ㄷ
ㄴ, ㄷ ㄴ, ㄹ 27.
zb2 7 ) 그림은 수권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ㄷ, ㄹ

24.
zb2 4 ) 수권에 분포하는 물의 양이 많은 것부터 차례로
나타낸 것은? A ∼ B 에 해당하는 것을 옳게 짝지은 것은?
ㄱ. 해수 ㄴ. 하천수와 호수 ㄷ. 빙하 ㄹ. 지하수 A B C D
   
ㄱ-ㄴ-ㄷ-ㄹ ㄱ-ㄷ-ㄹ-ㄴ
해수 지하수 하천수 빙하
ㄴ-ㄷ-ㄹ-ㄱ ㄴ-ㄹ-ㄱ-ㄷ
해수 지하수 빙하 하천수
ㄹ-ㄷ-ㄴ-ㄱ
해수 빙하 지하수 하천수
빙하 해수 지하수 하천수
빙하 해수 하천수 지하수

I410-ECN-0199-2021-001-001401589
- 4 -
2021년 2학기 중간고사 대비 [기본] 7-1-1.수권의 분포와 물의 활용

28.
zb2 8 ) 수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수권은 지구상에 분포하는 물을 말한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의 약  %는 해수이다.
짠맛이 나지 않는 물을 담수라고 한다.
육지의 물에는 빙하, 하천수, 호수, 지하수 등이 있다.
육지의 물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은 하천수이
다.

29.
zb2 9 ) 다음 중 수자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
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해수는 담수가 부족한 지역에 바로 활용할 수 있다.
ㄴ. 지하수는 농작물 재배, 생수 개발, 도로 물청소에 활
용된다.
ㄷ. 담수가 부족한 고산 지대에 빙하가 녹아 액체 상태가
된 물을 활용한다.
ㄹ. 지하수는 빗물이 지층의 빈틈으로 스며들어 채워지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활용 가능하다.
ㄱ, ㄴ ㄴ, ㄷ
ㄱ, ㄴ, ㄷ ㄴ, ㄷ, ㄹ
ㄱ, ㄴ, ㄷ, ㄹ

30.
zb3 0 ) 수자원으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물을 <보기>에
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호수 ㄴ. 해수 ㄷ. 빙하
ㄹ. 지하수 ㅁ. 하천수
ㄱ, ㄹ ㄴ, ㄷ
ㄷ, ㅁ ㄱ, ㄹ, ㅁ
ㄷ, ㄹ, ㅁ

I410-ECN-0199-2021-001-001401589
- 5 -
2021년 2학기 중간고사 대비 [기본] 7-1-1.수권의 분포와 물의 활용

[해설] 지하수는 땅속의 빈 공간을 메우며 매우 느리


게 흐르는 물로 빗물이 스며들어 채워지기 때문
에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수자원으로서
1) [정답] 가치가 높다.
[해설] 1)A는 해수이므로 염류에 의해 짠맛이 난다.
2)B는 육지의 물로 빙하와 같은 고체 상태의 물 9) [정답]
도 있다. 3)C는 빙하이므로 고산지대나 극 지역 [해설] 1)수권의 물이 가장 많이 분포하는 곳은 바다
에 위치한다. 4)D는 지하수로 짠맛이 나지 않는 이다. 2)해수는 짠맛으로 인해 담수화 과정을 거
담수이며 땅으로 스며들어 땅속에서 흐른다. 5)E 쳐야 식수로 이용할 수 있다. 4)지하수는 강물이
는 하천수나 호수 등으로 대부분 담수로 짠맛이 나 호수의 물이 부족할 때 대체할 수 있는 수자
나지 않는다. 원이다. 5)빙하는 고산지대와 같이 접근이 어렵고
얼어 있어 쉽게 이용하기 힘들다.
2) [정답]
[해설] 해수는 94.47%이고 1L는 1000mL이므로 해수 10) [정답]
는 974.7mL이고 육지의 물은 2.53%이므로 나머 [해설] ㄴ)지하수는 빗물이 지층에 스며들면서 채워진
지 25.3mL는 육지에 있는 물에 해당한다. 다. ㄷ)적절하게 활용하면 지속적으로 채워지기
때문에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3) [정답]
[해설] A는 해수, B는 육지의 물, C는 빙하, D는 지 11) [정답]
하수, E는 하천수나 호수에 해당한다. [해설] 수자원의 총량은 점차 증가하고 있고 농업용수
가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다. 생활용수는
4) [정답] 1980년에 12%, 2003년에 23%로 가장 큰 비율
[해설] 해수는 염류가 녹아 있는 바닷물로 짠맛이 난 로 증가하였다.
다. 담수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은 빙하
로 지하수보다 양이 많고 고체 상태로 존재한다. 12) [정답]
[해설] ㄱ)해수는 염류 때문에 생활에 바로 이용할 수
5) [정답] 없어 담수화 과정을 거쳐야 한다. ㄴ)하천수는 담
[해설] 지구상의 물 중에서, 해수를 제외한 나머지는 수이기 때문에 바로 이용이 가능하다.
담수이다. 담수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
은 빙하이고, 다음은 지하수이다. 강과 호수의 양 13) [정답]
은 매우 적다. [해설] 빙하가 녹은 물인 빙하수는 염류가 포함되어
1)지하수는 지층이나 암석 사이의 빈틈을 채우거 있지 않은 담수이다.
나 그 사이를 흐르는 물이다. 2), 3)무분별한 개
14) [정답]
발로 지하수가 고갈되거나 오염이 발생할 수 있
[해설] 지하수는 주로 빗물이 지하에 스며들어 생기며
다.
지속적으로 채워져 수자원으로서 가치가 높다. 지
6) [정답] 하수는 양이 풍부하고 간단한 정수 과정을 거치
[해설] A는 해수, B는 담수, C는 빙하, D는 지하수, 면 바로 사용할 수 있어 일상생활이나 농업 활동
E는 호수와 하천수이다. 해수는 수권의 대부분을 에도 바로 이용이 가능하다.
차지하며, 짠맛이 난다. 육지의 물은 대부분 담수
15) [정답]
이며, 빙하가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한다. 빙하는
[해설] 2)수권의 물 대부분은 해수이므로 짠맛이 난
눈이 쌓여 굳어진 고체 상태의 물로, 극지방과
다.
고산 지대에 분포한다. 지하수는 땅속을 천천히
흐르는 물로, 주로 빗물이 지하로 스며들어 생긴 16) [정답]
다. 호수와 하천수는 지표를 흐르거나 고여 있는 [해설] 우리나라에서 수자원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용
물로, 담수이므로 바로 이용할 수 있다. 도는 농업용수이고, 유지용수, 생활용수, 공업용
수의 순서이다.
7) [정답]
[해설] 생활에 우리는 담수를 사용한다. 지하수는 주 17) [정답]
로 생활용수나 농업용수로 이용되며, 온천과 같은 [해설] 물은 비열이 커서 온도 변화가 적은 물질에 속
관광 자원으로도 활용된다. 담수가 부족한 지역에 한다. 물은 지구의 온도가 쉽게 변하지 않게 한
서는 해수의 짠맛을 제거하여 활용하거나, 빙하가 다.
녹은 물을 활용하기도 한다.
18) [정답]
8) [정답]

I410-ECN-0199-2021-001-001401589
- 6 -
2021년 2학기 중간고사 대비 [기본] 7-1-1.수권의 분포와 물의 활용

[해설] A는 해수, B는 빙하, C는 지하수, D는 하천수 27) [정답]


와 호수이다. 우리가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물은 [해설] 육지에 있는 물의 97.2%는 바다에, 나머지
C와 D이다. A는 해수로 짠맛이 느껴진다. 2.8%는 육지에 분포한다. 육지의 물은 대부분 빙
하의 형태로 존재하고, 나머지는 지하수 > 강과
19) [정답]
호수의 순서이다.
[해설] 빙하는 담수지만, 극지방이나 고산지대에 분포
하고 고체상태이므로 수자원으로 활용하기 어렵 28) [정답]
다. 우리 나라에서 농업용수로 사용되는 수자원이 [해설] 육지의 물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은
가장 많다. 우리가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수자원 빙하이다.
은 지하수, 하천수와 호수로 매우 적은 양이다.
물 수요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므로 수자원 29) [정답]
[해설] ㄱ, ㄷ. 담수가 부족한 지역에서는 해수의 짠
을 아끼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맛을 제거하여 활용하거나, 빙하가 녹은 물을 활
20) [정답] 용하기도 한다.
[해설] 지하수는 땅속을 흐르는 물로 빗물이 지하에 ㄴ. 지하수는 주로 생활용수나 농업용수로 이용되
스며들어 생긴다. 지하수는 하천수나 호수에 비해 며, 온천과 같은 관광자원으로도 활용된다.
양이 많고 빗물이 채워지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ㄹ. 지하수는 호수와 하천수에 비해 양이 많고,
활용할 수 있으므로 수자원으로서 가치고 높다. 빗물이 스며들어 채워지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활
용할 수 있어 수자원으로서 가치가 높다.
21) [정답]
[해설]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물을 수자원이라고 한 30) [정답]
다. 지구 상의 모든 물을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 [해설] 수자원으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물은 담수 중
는 것은 아니므로, 수자원은 무한정 활용할 수 에서 주로 호수와 하천수이고, 부족한 경우 지하
있는 것은 아니다. 수를 이용한다. 해수는 짠맛이 나고, 빙하는 얼어
있어 바로 활용하기 어렵다.
22) [정답]
[해설] 1)수권은 지구상에 분포하는 물이다. 2)수권을
이루는 물 중 대부분은 해수이므로 염수이다. 3)
하천수보다 지하수가 더 많다. 5)빙하는 고체 상
태로 존재한다.

23) [정답]
[해설] ㄱ)A는 지하수이다. ㄴ)B는 담수 중 가장 많은
빙하로 고체 상태이다. ㄷ)기온이 상승하면 빙하
가 녹으므로 B의 부피가 감소한다. ㄹ)C는 호수
나 하천수로 우리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물이
다.

24) [정답]
[해설]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의 약 97%는 해수이다.
해수를 제외한 나머지는 담수이다. 담수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은 빙하이고, 다음은 지하
수이다. 하천수와 호수의 양은 매우 적다.

25) [정답]
[해설] 육지에 있는 물은 대부분 고체 상태인 빙하로
존재한다. 육지에 있는 물은 대부분 담수이지만,
염분이 섞여서 짠맛을 내는 물도 일부 있다.

26) [정답]
[해설] 육지에 있는 물의 97.2%는 바다에, 나머지
2.8%는 육지에 분포한다. 육지의 물은 대부분 빙
하의 형태로 존재하고, 나머지는 지하수 > 하천
수, 호수의 순서이다.

I410-ECN-0199-2021-001-001401589
- 7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