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과학 중2 7.

수권과 해수의 순환

7-1-1.수권의 분포와 물의 활용(01)


조승현 (trillion@eduzone.co.kr)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
1) 제작연월일 : 2021-09-29
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무
2) 제작자 : 교육지대㈜
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외에도 저작권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제작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3. zb3 ) 그림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의 분포를 나타낸


※ 그림은 수권을 구성하는 물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을 보고 것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르면?
1. zb1 ) B~D 에 해당하는 것을 옳게 짝지은 것은?
<보기>
B C D
ㄱ. 지구상의 물은 대부분 식수로 사용하기 적합하다.
빙하 지하수 호수와 하천수
ㄴ. C 는 담수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빙하를 가
빙하 호수와 하천수 지하수
리킨다.
지하수 호수와 하천수 빙하
ㄷ. A 의 대부분은 육지에 분포한다.
호수와 하천수 빙하 지하수
ㄱ ㄴ
호수와 하천수 지하수 빙하
ㄱ, ㄴ ㄴ, ㄷ
ㄱ, ㄴ, ㄷ

2. zb2 ) 위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 zb4 ) 지구에서 수권의 분포는 해수(  )와 육지의 물
(  )로 나뉜다. 육지의 물 중에서 가장 많은 양을
A 에는 염류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차지하는 것은?
B 는 고체 상태로 분포하는 물이다. 강 빙하
C 는 토양이나 암석 틈 사이에 존재한다. 토양 호수
D 에서 식수나 농업용수 등을 주로 얻는다.
지하수
지구 온난화로 A 의 양은 줄어들고, B 의 양은 늘어나
고 있다.

I410-ECN-0199-2021-001-001401589
- 1 -
2021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 [기본] 7-1-1.수권의 분포와 물의 활용(01)

5. zb5 ) 지구상에 분포하는 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 9. zb9 ) 그림은 수권을 이루는 물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
은 것은? 다.
육지에 있는 물은 주로 담수이다.
담수 중 대부분은 빙하의 형태로 존재한다.
우리가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물은 해수이다.
바다와 육지에 분포하는 모든 물을 수권이라고 한다.
지구상의 물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은 해수이
다.
A ∼ E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A 는 육지에 분포하는 물이다.


B 에서는 호수와 하천수가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한다.
6. zb6 ) ‘수자원 장기 종합계획’(  )에 의해 우리나라의 C 는 주로 극지방에 분포한다.
수자원 이용 현황을 부등호로 올바르게 나타낸 것
D 는 기상 현상을 일으키는 주원인이다.
은?
E 는 우리가 쉽게 이용하기 어렵다.
농업용수 > 생활용수 > 유지용수
농업용수 > 유지용수 > 생활용수
유지용수 > 생활용수 > 농업용수
생활용수 > 농업용수 > 유지용수 10. zb1 0 ) 수자원 활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생활용수 > 유지용수 > 농업용수 지하수는 식수로만 사용할 수 있다.
지하수는 많은 양을 끊임없이 사용할 수 있다.
빙하가 녹은 물은 수자원으로 가치가 없다.
하천수는 식수로 사용하지 못하고 농업용수로만 쓰인다.
7. zb7 ) 수자원의 활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수는 담수로 바꾸어 식수가 부족한 지역에 활용할 수
지하수는 농작물 재배에 사용한다. 있다.
해수와 빙하는 바로 활용하기 쉽다.
하천수, 호수는 바로 활용할 수 있다.
빙하는 녹은 물을 수자원으로 활용한다.
지하수는 가뭄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이나 섬에서 식수 11. zb1 1 ) 그림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의 분포를 나타낸
로 활용한다. 것이다.

8. zb8 ) 지하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짠맛이 없는 담수로서 바로 활용할 수 있다. A ∼ E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ㄴ. 높은 고산 지대나 극 지역에 고체 상태로 분포한다. A 는 육지에 분포하는 물이다.


ㄷ. 지속적으로 채워지기 때문에 수자원으로서 가치가 높 B 에서는 지하수가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한다.
다. C 는 주로 극지방에 분포한다.
ㄱ ㄴ D 는 수자원으로서 가치가 높지 않다.
ㄱ, ㄷ ㄴ, ㄷ E 는 모두 염류를 포함하고 있다.
ㄱ, ㄴ, ㄷ

I410-ECN-0199-2021-001-001401589
- 2 -
2021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 [기본] 7-1-1.수권의 분포와 물의 활용(01)

12.
zb1 2 ) 지구상에 분포하는 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14.
zb1 4 ) 수권을 이루는 물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지구상에 분포하는 모든 물을 수권이라고 한다.
ㄴ. 육지의 물 중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지
하수이다.
ㄷ. 육지의 물 중 우리는 주로 지표면에 흐르는 강이나
호수의 물을 사용한다. A ∼ E 에 대한 설명으로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ㄱ ㄱ, ㄴ 대로 고른 것은?

ㄱ, ㄷ ㄴ, ㄷ <보기>
ㄱ, ㄴ, ㄷ ㄱ. A 는 육지에 분포하는 물이다.
ㄴ. B 에서는 호수와 하천수가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한다.
ㄷ. C 는 주로 극지방과 고산지역에 분포한다.
ㄹ. D 는 토양이나 암석 틈 사이로 흐르는 물이다.
ㅁ. E 는 우리가 쉽게 이용하기 어렵다.
ㄱ, ㄷ ㄴ, ㅁ
ㄷ, ㄹ ㄱ, ㄴ, ㅁ
ㄴ, ㄹ, ㅁ

13.
zb1 3 ) 그림은 지구에 존재하는 물의 분포를 나타낸 것
이다.

15.
zb1 5 ) 수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지구상에 분포하는 물을 말한다.
B C D 는 담수이다.
바다에 있는 해수는 짠맛을 갖는다.
B 는 주로 액체상태로 존재한다.
짠맛이 나지 않는 물을 담수라고 한다.
D 가 부족하면 C 를 개발하여 활용한다.
육지의 물은 대부분 액체 상태로 존재한다.
우리는 주로 접근성이 좋은 D 의 물을 이용한다.
육지의 물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은 빙하이다.
A 는 사람들이 쉽게 이용하기 어려운 수자원이다.

I410-ECN-0199-2021-001-001401589
- 3 -
2021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 [기본] 7-1-1.수권의 분포와 물의 활용(01)

16.
zb1 6 ) 다음 그림은 수권을 이루는 물의 분포를 나타낸 18.
zb1 8 ) 수자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것이다.
해수는 수자원으로서 가치가 없다.
빙하가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크다.
지하수는 짠맛을 제거하여 식수로 활용한다.
수자원은 하천수와 호수의 물만을 가리킨다.
우리는 주로 짠맛이 나지 않는 담수를 활용한다.

A ∼ E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A 는 육지에 분포하는 물이다.


C 는 극지방에만 분포한다. 19.
zb1 9 ) 수권의 분포와 활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E 는 우리가 쉽게 이용하기 어렵다.
B 에서는 지하수가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한다. 해수는 수권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D 는 토양이나 암석 틈 사이로 흐르는 물이다. 빙하는 담수의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한다.


하천수는 수자원으로 바로 활용할 수 있다.
해수는 염분이 높아 수자원으로서 가치가 없다.
지하수는 지속적으로 채워지기 때문에 수자원으로서 가
치가 높다.

17.
zb1 7 ) 그림은 수권을 구성하는 물의 분포를 나타낸 것 20.
zb2 0 ) 수자원의 활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있는
이다.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해수는 수자원으로서 가치가 없다.
ㄴ. 하천수와 호수는 바로 활용할 수 있다.
ㄷ. 지하수는 지속적으로 채워져 수자원으로서 가치가 높
다.
ㄹ. 수권을 이루는 물 중 해수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하천수가 많은 양을 차지한다.
고른 것은?
ㄱ, ㄴ ㄴ, ㄷ
<보기>
ㄱ, ㄴ, ㄷ ㄴ, ㄷ, ㄹ
ㄱ. A 에는 여러 가지 염류가 포함되어 있다.
ㄱ, ㄴ, ㄷ, ㄹ
ㄴ. B 는 고체 상태로 분포하는 물이다.
ㄷ. C 는 지하수이고, D 는 호수와 하천수이다.
ㄱ ㄷ
ㄱ, ㄴ ㄴ, ㄷ
ㄱ, ㄴ, ㄷ

I410-ECN-0199-2021-001-001401589
- 4 -
2021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 [기본] 7-1-1.수권의 분포와 물의 활용(01)

21.
zb2 1 ) 물의 가치와 활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24.
zb2 4 ) 그림은 수권에 분포하는 물을 나타낸 것이다.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수자원의 양은 무한하다.
ㄴ. 물은 주로 일상생활에서 이용되고 산업에서는 이용되
지 않는다.
ㄷ. 우리가 주로 이용하는 강과 호수의 물은 강수량의 영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향을 많이 받는다.
것은?
ㄹ. 지하수는 가뭄이 발생하거나 물 소비량의 증가로 물
부족 상황에 대비한 대체 수자원으로 이용된다. <보기>

ㄱ, ㄴ ㄱ, ㄹ ㄱ. A 는 해수이다.

ㄴ, ㄷ ㄴ, ㄹ ㄴ. 빙하는 수권 전체에서  를 차지한다.

ㄷ, ㄹ ㄷ. C 는 지속적으로 채워지기 때문에 수자원으로서 가치


가 높다.
ㄱ ㄴ
ㄴ, ㄷ ㄱ, ㄷ
22.
zb2 2 ) 지하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ㄱ, ㄴ, ㄷ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지하수는 땅속 지층이나 암석 사이의 빈틈 등에 존재
한다. 25.
zb2 5 ) 다음 중 지구상의 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ㄴ. 가뭄이 들어 강이 마를 때 유용한 수자원으로 활용된
다. 하천수와 호수는 식수로 이용된다.
ㄷ. 지하수는 사용하고 나면 쉽게 마르기 때문에 잘 보존 빙하는 고체 상태로 극지역에만 분포한다.
해야 한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의 약  는 해수이다.
ㄱ ㄷ 육지의 물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은 빙하이다.
ㄱ, ㄴ ㄴ, ㄷ 지하수는 육지의 물 중 두 번째로 많은 양을 차지한다.
ㄱ, ㄴ, ㄷ

26. 그림은 지구에 존재하는 물의 분포를 나타낸 것


23.
zb2 6 )

zb2 3 ) 그림은 수권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이다.

A 와 B 에 해당하는 것을 옳게 짝지은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A B A B A 는 짠맛이 나지 않는다.
   
빙하 해수 빙하 지하수 B 는 빙하이다.

해수 빙하 해수 지하수 C 는 짠맛이 난다.

해수 호수와 하천수 D 는 고체 상태로 존재한다.


지구상의 물 중 대부분은 육지에 존재한다.

I410-ECN-0199-2021-001-001401589
- 5 -
2021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 [기본] 7-1-1.수권의 분포와 물의 활용(01)

27.
zb2 7 ) 지구의 수권을 이루는 물의 종류 중 다음 설명에 30.
zb3 0 ) 다음 중 수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당하는 것은?
수권 중 해수는 염류가 녹아 있다.
액체 상태로 존재한다. 짠맛이 나지 않는 물을 담수라고 한다.
지구의 물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한다. 담수의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은 지하수이다.
짠 맛이 난다. 육지에 있는 물은 빙하, 지하수, 하천수, 호수 등이 있
해수 빙하 다.
호수 하천수 지구상의 수권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지하수 해수이다.

28.
zb2 8 ) 지구상의 물의 분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
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지구상의 물은 대부분 담수이다.
ㄴ. 담수는 주로 고체상태로 존재한다.
ㄷ. 육지의 물은 주로 하천수와 호수로 존재한다.
ㄱ ㄴ
ㄱ, ㄴ ㄴ, ㄷ
ㄱ, ㄴ, ㄷ

29.
zb2 9 ) 그림은 수권을 이루는 물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
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A 는 바다에 분포하고 짠맛을 갖는다.


B 는 담수이며 대부분 고체 상태로 존재한다.
C 는 육지 물 중 가장 많고 주로 극지방에 분포한다.
D 는 땅 속 지층이나 암석 틈 사이로 흐르는 물이다.
E 는 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쉽게 이용하기 어렵
다.

I410-ECN-0199-2021-001-001401589
- 6 -
2021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 [기본] 7-1-1.수권의 분포와 물의 활용(01)

9) [정답]
[해설] 1)A는 해수이다. 2)B는 육지의 물로 빙하가 가
장 많은 양을 차지한다. 3)C는 빙하로 주로 극지
1) [정답] 방이나 고산지대에 분포한다. 4)D는 지하수이다.
[해설] 위 그래프는 수자원의 분포를 나타낸 것으로 기상 현상을 일으키는 주원인은 수증기이다. 5)E
A는 염분을 포함하는 해수를, B는 육지의 물 중 는 호수나 하천수로 우리가 가장 쉽게 이용할 수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빙하이고 C와 D는 각 있다.
각 지하수, 호수나 하천수를 나타낸다.
10) [정답]
2) [정답] [해설] 1)지하수는 주로 생활용수나 농업용수로 이용
[해설] 1)A는 해수로 염류를 많이 포함하고 있어 바 된다.
로 사용하기 어렵다. 2)지하수를 무분별하게 개발할 경우 지반이 무너
2)B는 빙하로 고산지와 극지방에 고체상태로 존 지거나 지하수 고갈 또는 오염이 발생할 수 있
재한다. 다.
3)C는 지하수로 토양이나 암석의 틈 사이에 존재 3, 5)담수가 부족한 극지방이나 고지대 지역에서
하고 지속적으로 채워질 수 있어 수자원으로써 는 빙하를 녹인 물을 활용하기도 하며 염류가 있
가치가 높다. 어 짠 해수는 담수화 과정을 거쳐 활용할 수 있
4)D는 강과 호수의 담수로 손쉽게 사용할 수 있 다.
어 식수나 농업용수 등으로 주로 활용된다.
5)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녹아 바다로 유입되기에 11) [정답]
B가 줄어들고 A가 늘어난다. [해설] 1)A는 해수이다. 2)B는 육지의 물로 빙하가 가
장 많은 양을 차지한다. 3)C는 빙하로 주로 극지
3) [정답] 방에 분포한다. 4)D는 지하수로 지속적으로 채워
[해설] ㄱ)지구상의 물은 대부분 해수로 염수이기 때 지기 때문에 수자원으로서의 가치가 높다. 5)E는
문에 식수로 사용하기 부적합하다. ㄴ)C는 빙하 하천수나 호수에 해당하며 주로 담수이다.
로 담수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ㄷ)A는
해수이고 B가 육지의 물이다. 12) [정답]
[해설] 지구상에 분포하는 모든 물을 수권이라고 하면
4) [정답] 수권의 대부분은 해수가 차지하고 육지의 물 중
[해설] 육지의 물의 양은 빙하>지하수>강과 호수 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빙하이다. 육지의
이다. 물 중 구하기 쉽고 담수인 강이나 호수의 물을
주로 사용한다.
5) [정답]
[해설] 우리가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물은 하천수나 호 13) [정답]
수이다. 해수는 염수이기 때문에 쉽게 활용할 수 [해설] 1)B는 빙하, C는 지하수, D는 하천수와 호수
없다. 로 담수이다. 2)B는 주로 고체상태로 존재한다.
3)가뭄 등으로 하천수나 호수가 부족하면 지하수
6) [정답]
를 개발하여 활용한다. 4)하천수와 호수는 접근성
[해설] 우리 나라에서 수자원은 농업용수>유지용수>생
이 좋아 가장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물이다. 5)A
활용수>공업용수 순으로 많다.
는 해수로 염수이기 때문에 쉽게 이용하기 어렵
7) [정답] 다.
[해설] 해수는 염류를 포함하는 염수이기 때문에 바로
14) [정답]
사용하기 어렵고 담수화 과정이 필요하다. 빙하는
[해설] A는 수권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해수
고체상태로 분포하기 때문에 빙하를 녹여 사용하
로 바닷물이며 염류가 있어 짠맛이 나는 염수이
여야 하므로 바로 사용하기 어려운 수자원이다.
다.
8) [정답] B는 육지의 물로 담수가 차지하는 비율이다.
[해설] 지하수는 땅속을 흐르는 물로 염류가 없는 담 C는 육지의 물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빙
수로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수자원이다. 지하수 하로 주로 고산지대나 극지방에 고체상태로 분포
는 빗물이 스며들어 지속적으로 채워지기 때문에 한다.
수자원으로서 가치가 높다. D는 육지의 물 중 두 번째로 많은 지하수로 땅속
ㄴ.고산지대나 극지방에 고체상태로 분포하는 것 을 흐르는 물이다.
은 빙하이다. E는 하천수나 호수로 지표면을 흐르거나 고여있
는 물로 쉽게 수자원으로 활용하는 물이다.

I410-ECN-0199-2021-001-001401589
- 7 -
2021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 [기본] 7-1-1.수권의 분포와 물의 활용(01)

의 영향을 많이 받아 가뭄 때는 사용할 수 있는
15) [정답]
양이 부족하다. ㄹ)지하수는 빗물이 땅속으로 스
[해설] 수권은 지구에 분포하는 물로 해수>빙하>지하
며들어 지속적으로 채워져 물 부족 상황에 대비
수>호수나 하천수 순으로 많다.
한 대체 수자원으로서 가치가 높다.
해수는 바닷물로 염류가 있어 짠맛이 나는 염수
이며 빙하, 지하수, 호수나 하천수는 육지의 물이 22) [정답]
며 짠맛이 나지 않는 담수에 해당한다. [해설] 지하수는 땅속의 지층이나 암석 사이의 빈틈에
육지의 물 중 가장 많이 차지하는 빙하는 고체상 존재하며 빗물이 스며들어 지속적으로 채워져 쉽
태로 극지방이나 고산지대에 분포한다. 게 마르지 않기 때문에 수자원으로서 가치가 높
다. 강수량의 영향을 많이 받는 강이 가뭄에 마
16) [정답] 르면 지하수를 대체 수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해설] 지구 상에 분포하는 모든 물을 수권이라고 하
며 해수>빙하>지하수>호수나 하천수 순으로 많 23) [정답]
다. 해수는 염류를 포함한 염수이며 수권 중 약 [해설] A는 해수, B는 육지의 물 중 가장 많은 비율
97%를 차지한다. 빙하는 극지방과 고지대에 분포 을 차지하는 빙하를 나타낸다.
하며 담수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한다. 접근하
24) [정답]
기 쉬운 호수나 하천수의 물을 쉽게 활용할 수
[해설] A는 해수, B는 빙하, C는 지하수를 나타낸다.
있다.
지하수는 빗물이 스며들어 지속적으로 채워져 수
17) [정답] 자원으로서 가치가 높다.
[해설] ㄱ. 가장 많이 차지하는 A는 해수로 염화 나트
륨, 염화 마그네슘 등 여러 염류가 포함되어 있 25) [정답]
[해설] 지구 상에 분포하는 모든 물을 수권이라고 하
는 염수이다.
며 해수>빙하>지하수>호수나 하천수 순으로 많
ㄴ. B는 육지의 물 중 가장 많이 차지하는 빙하
로 고산지대나 극지방에 존재하며 눈이 쌓여 굳 다. 해수는 염류를 포함한 염수이며 수권 중 약
97%를 차지한다. 빙하는 극지방과 고지대에 분포
어진 고체 상태로 존재한다.
하며 담수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한다. 접근하
ㄷ. C는 지하수이고 D는 호수와 하천수이다.
기 쉬운 호수나 하천수의 물을 쉽게 활용할 수
18) [정답] 있다.
[해설] 1)해수는 지구상의 물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수
26) [정답]
자원으로서 가치가 있다. 2)해수가 차지하는 비율
[해설] 1)A는 해수로 염류가 존재하는 염수이기 때문
이 가장 크다. 3)지하수는 담수이므로 짠맛을 내
에 짠맛이 난다.
지 않는다. 4)수자원은 지구상의 물 중 우리가 자
3)C는 담수 중 지하수로 짠맛이 나지 않는다.
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모든 물을 가리킨다.
4)D는 호수, 하천수이다. 고체 상태로 존재하는
19) [정답] 수권은 B 빙하이다.
[해설] 해수는 수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물로 염수이 5)그래프에서 지구상의 물 중 대부분은 A 해수에
기 때문에 바로 활용할 수는 없지만 담수화 과정 포함되므로 바다에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을 거친 후 여러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27) [정답]
20) [정답] [해설] 수권을 이루는 물의 대부분은 해수이다. 해수
[해설] ㄱ)해수는 지구상의 물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는 액체 상태이고 해수에 녹아 있는 염류 중 가
수자원으로 가치가 매우 높다. ㄴ)하천수와 호수 장 많은 것은 염화나트륨으로 짠 맛을 낸다.
는 담수이며 쉽게 구할 수 있어 바로 활용할 수
28) [정답]
있다. ㄷ)지하수는 빗물이 땅속으로 스며들어 지
[해설] ㄱ)지구상의 물은 대부분 해수이므로 염수이
속적으로 채워지므로 수자원으로서 가치가 높다.
다. ㄴ)담수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ㄹ)수권을 이루는 물 중 해수가 가장 많고 그 다
빙하이므로 주로 고체상태이다. ㄷ)육지의 물은
음으로 빙하가 가장 많다.
빙하와 지하수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21) [정답]
29) [정답]
[해설] ㄱ)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수자원의 양은 한정
[해설] 1)A는 해수로 염류에 의해 짠맛을 낸다. 2)B는
되어 있다. ㄴ)물은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농업,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된다. ㄷ)강과 호수 육지의 물로 담수이며 빙하가 가장 많아 대부분
고체 상태로 존재한다. 3)C는 빙하로 육지의 물
의 물은 우리가 주로 사용하는 물이지만 강수량
중 가장 많고 주로 극지방이나 고산지대에 분포

I410-ECN-0199-2021-001-001401589
- 8 -
2021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 [기본] 7-1-1.수권의 분포와 물의 활용(01)

한다. 4)D는 지하수로 땅 속 지층이나 암석의 틈


사이를 흐른다. 5)E는 하천수나 호수로 접근성이
좋아 가장 이용하기 쉽다.

30) [정답]
[해설] 1)해수는 염류가 녹아있어 짠맛이 나 수자원으
로 바로 이용하기 어렵다.
2)짠맛이 나지 않는 물을 담수라 하며 주요 수자
원으로 이용된다.
3)담수의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은 극지방
과 고산 지대에 고체 상태로 존재하는 빙하이며
수자원으로 이용하기 어렵다.
4)육지에 있는 물은 고산 지대에 빙하, 호수와 하
천의 물, 지하수 등이 있다.
5)지구상의 수권 중 해수가 약 97%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다.

I410-ECN-0199-2021-001-001401589
- 9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