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과학 중2 7.

수권과 해수의 순환

7-2.해수의 특성과 순환(02)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
1) 제작연월일 : 2020-09-25
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무
2) 제작자 : 교육지대㈜
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외에도 저작권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제작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01 해수의 온도

1. zb1 ) 해수의 표층 수온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3. zb3 ) 깊이에 따른 해수의 온도 분포를 설명한 내용으
옳은 것은? 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태양 복사 에너지 해수의 연직 수온 분포 <보기>
해류 강수량과 증발량 ㄱ. 심해층은 수온이 ℃ 이상으로 높다.
대륙의 분포 ㄴ. 표층 수온은 해수의 염분에 따라 달라진다.
ㄷ. 깊어질수록 수온이 급격히 낮아지는 층은 수온약층이
라고 한다.
ㄹ. 표층에서는 수온이 높고, 깊이에 따른 수온이 거의
일정한 층이 형성된다.
2. zb2 ) 그림은 전 세계 해수면의 수온 분포를 나타낸 것
ㄱ, ㄴ ㄱ, ㄷ
이다.
ㄴ, ㄷ ㄷ, ㄹ
ㄱ, ㄷ, ㄹ

4. zb4 ) 그림은 깊이에 따른 해수의 온도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위도에 따라 해수면의 수온이 다르게 나타난다.
ㄴ. 저위도는 고위도보다 태양 에너지가 적게 도달한다.
ㄷ.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갈수록 해수면의 수온이 낮아진
다.
ㄱ ㄴ
A ∼ C 의 명칭을 옳게 짝지은 것은?
ㄱ, ㄴ ㄱ, ㄷ
A - 심해층 A - 혼합층
ㄱ, ㄴ, ㄷ
B - 혼합층 B - 심해층
C - 수온약층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55
- 1 -
[강남 3구 기출] 7-2.해수의 특성과 순환(02)

5. zb5 ) 다음 그림은 우리나라 어느 해역에서  월과  월 7. zb7 ) 다음 그림은 같은 시기에 서로 다른 바다에서 측


의 깊이에 따른 수온을 관측하여 얻은 결과이다. 이 정된 수온의 연직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바르게 설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명한 것은?

A 는 중위도 지역이다.
B 는 고위도 지역이다.
 월이  월보다 혼합층의 두께가 두껍다. C 는 저위도 지역이다.
 월에는  월보다 바람이 강하게 분다. 바람이 가장 강한 곳은 C 지역이다.
 월에 수온약층의 물이 더욱 깊이 혼합된다. 태양에너지를 가장 많이 받는 곳은 B 지역이다.
 월이  월보다 해수면 부근의 수온이 더 높다.
 월과  월 모두 심해층의 깊이에 따른 수온변화는 거
의 없다.

8. zb8 ) 그림은 수온의 연직 분포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


을 나타낸 것이다. 이 실험을 잘못 설명한 것은?

6. zb6 ) 그림은 위도가 다른 (가)~(다) 해역의 깊이에 따른


수온의 연직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전등은 태양에 해당한다.


이를 설명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B 는 심해층에 해당한다.
고른 것은?
전등 빛이 강할수록 A 의 온도가 높다.
<보기> 전등이 물을 가열하면 심해층이 만들어진다.
ㄱ. (가)는 저위도 지역이다. 휴대용 선풍기의 바람이 강할수록 혼합층이 두꺼워진다.
ㄴ. (나) 해역은 표층 수온이 낮고, 깊이 들어갈수록 수온
의 변화가 거의 없으므로, 고위도 지역이다.
ㄷ. (다) 해역은 다른 해역보다 혼합층의 두께가 두껍게
나타나는 것으로부터 바람이 약하게 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ㄱ ㄷ
ㄱ, ㄴ ㄴ, ㄷ
ㄱ, ㄴ, ㄷ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55
- 2 -
[강남 3구 기출] 7-2.해수의 특성과 순환(02)

9. zb9 ) 다음은 해수의 연직 수온 분포 실험 과정이다. 이 12.


zb1 2 ) <보기>에서 주변에 비해 염분이 높은 곳으로만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가) 수조에 물을 담고 온도계  개를 cm 깊이 간격으로 <보기>


설치한다. ㄱ. 바닷물이 어는 지역
(나) 가열 장치를 켜고  분 동안 수면을 가열한 후, 각 ㄴ. 하천수가 흘러드는 연안 지역
온도계의 온도를 측정한다.
ㄷ. 빙하 녹은 물이 흘러드는 지역
(다) 휴대용 선풍기로 약  분 동안 바람을 일으킨 후, 수
ㄹ. 증발량이 강수량보다 많은 지역
온이 다시 일정해졌을 때, 온도를 측정한다.
ㅁ. 강수량이 증발량보다 많은 지역
ㄱ, ㄴ ㄱ, ㄹ
ㄴ, ㄷ ㄴ, ㄷ, ㄹ
ㄷ, ㄹ, ㅁ

수조의 물은 해수에 비유할 수 있다. 13.


zb1 3 ) 그림은 여름철과 겨울철의 우리나라 주변 바다의
가열 장치는 태양에 비유할 수 있다. 염분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실험 (나)의 결과, 수심이 깊어질수록 수온이 감소한다. 은?
실험 (다)의 결과, 물의 표면 온도가 높아진다.
실험 (다)의 결과, 물은 크게  개의 층으로 구분된다.

02 해수의 밀도

10. zb1 0 ) 해수에 녹아 있는 염류와 염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염분은 계절과는 관련이 없다.
전 세계 해수의 평균 염분은 psu 이다.
한류가 발달하여 겨울에 염분이 높다.
해수에 얼음이 어는 해역의 염분은 낮다.
담수의 유입으로 인해 여름에 염분이 더 높다.
염분이란 해수 g에 포함된 염류의 총량을 g수로
나타낸 것이다. 지형의 영향을 받아 남해안의 염분이 가장 높다.

육지로부터 하천수가 많이 유입되는 해역의 염분은 낮 강수량이 증발량보다 많은 여름이 겨울에 비해 염분이
다. 낮다.

해수 속에 두 번째로 많이 녹아 있는 염류는 쓴맛을 내


는 염화 마그네슘이다.

11. 표는 A ∼ C  세 지역의 증발량과 강수량을 나


14.
zb1 4 ) 염분이 psu 인 해수를 증발시켜 천일염 kg을
얻으려고 할 때, 필요한 해수의 양은?
zb1 1 )

타낸 것이다. 염분의 크기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kg kg
지역 A B  C 
kg kg
강수량   
kg
증발량   

A>B>C A>C>B
C>B>A C>A>B
B>C>A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55
- 3 -
[강남 3구 기출] 7-2.해수의 특성과 순환(02)

15.
zb1 5 ) 표는 어떤 해수 kg 에 녹아 있는 염류의 질량과 18.
zb1 8 ) 그림은 우리나라 부근의 해류를 나타낸 것이다.
성분비를 나타낸 것이다.

염류 질량( g ) 성분비(%)
A  
B  
황산마그네슘  
황산칼슘  
기타  
계 C 

이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A B C 중 조경수역을 형성하는 데 직접 관여하는 해


류를 모두 골라 기호와 이름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A 는 염화마그네슘이다.
B - 북한한류
B 는 짠맛을 내는 물질이다.
C - 동한난류
이 해수의 염분은 psu 이다.
A - 황해난류, B - 북한한류
이 해수 kg 에 녹아 있는 염류의 양은 g 이다.
A - 황해난류, C - 동한난류
염분이 psu 인 해수 kg 을 증발시키면 약 g 의
염화마그네슘을 얻을 수 있다. B - 북한한류, C - 동한난류

16.
zb1 6 ) 다음 표는 여러 해역의 해수 kg 속에 녹아 있는 19.
zb1 9 ) 그림 (가)와 (나)는 우리나라 주변 해류의 분포를

평균 염류의 양을 나타낸 것이다.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동해 홍해 북극해
(가)   
(나)   
황산 마그네슘   
기타  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두 개 고르면?

(가)는 염화 마그네슘이다. (가)는 여름철, (나)는 겨울철이다.


(나)는 쓴 맛이 나는 염류이다. (가)보다 (나)일 때 조경수역이 남하한다.
북극해의 염분은 psu 이다. (가)는 (나)보다 동해안의 평균 수온이 낮다.
짠 맛이 가장 많이 나는 해수는 홍해이다. 우리나라의 조경 수역은 남해안에 형성된다.
각 해수에서, 황산 마그네슘이 전체 염류에 대해 차지 북한 한류와 동한 난류는 모두 쿠로시오 해류의 일부이
하는 비율은 모두 다르다. 다.

03 해수의 순환 20.
zb2 0 ) 해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한류와 난류가 만나는 곳을 조경 수역이라 한다.


17.
zb1 7 ) 해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류에는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흐르는 따뜻한 난류가
해류를 일으키는 원인은 바람이다.
있다.
한류가 흐르는 해역은 주변 바다보다 수온이 낮다.
쿠로시오 해류는 우리나라 주변에 흐르는 해류의 근원
난류는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흐르는 따듯한 해류이다. 이 된다.
해수가 일정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흐르는 것을 해류 바다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움직이는 해수의
라고 한다. 흐름을 해류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 조경 수역의 위치는 여름에는 한류의 세 북한 한류와 동한 난류가 만나는 서해에는 다양한 어종
력이 강해지므로 남하한다. 이 모여들어 좋은 어장이 형성된다.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55
- 4 -
[강남 3구 기출] 7-2.해수의 특성과 순환(02)

21.
zb2 1 ) 다음은 조석 현상에 대해 학생들이 발표한 것이 23.
zb2 3 ) 그림은 우리나라 해안에서  일 동안 해수면 높이
다. 학생들의 발표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고른 것은?

<보기>
(가) 간조일 때 갯벌에서 조개를 캘 수 있어.
(나) 하루에 만조와 간조의 횟수는  번씩 일어나.
(다) 만조와 간조 시 해수면의 높이의 차를 조석이라고
해.
(라) 밀물과 썰물로 인해 해수면의 높이가 주기적으로 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하는 현상을 조차라고 해. 고른 것은?
(가), (나) (가), (다) <보기>
(나), (다) (나), (라) ㄱ. 만조와 간조는 하루에 약 두 번씩 일어난다.
(다), (라) ㄴ. 이 기간 동안 조차는 증가하고 있다.
ㄷ. ㉠은 만조, ㉡은 간조에 해당한다.
ㄹ. ㉠~㉡ 구간 동안 해안가에서 밀물이 일어난다.
ㅁ. ㉡시기에 고기잡이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기가 쉽다.

22.
zb2 2 ) 그림은 어느 해안 지역에서 하루 동안 측정한 해 ㄱ, ㄷ ㄴ, ㄹ

수면의 높이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 ㄷ, ㅁ ㄱ, ㄷ, ㅁ


으로 옳은 것은? ㄴ, ㄷ, ㄹ

24.
zb2 4 ) 그림은 서해안 어느 지역에서 하루 동안 해수면
의 높이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B 와 C 사이에서는 밀물이 일어난다.


만조와 간조는 하루에  회씩 반복된다.
A 에서 C 까지의 시간을 조석 주기라고 한다.
해수면 높이가 높은 B 와 D 를 간조라고 한다.
갯벌에서 조개나 굴을 캐기 좋은 시간은 오전  시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시경과  시경은 만조이다.


이 지역의 조차는 약 m 이다.
 시에서  시 사이에는 썰물이 나타난다.
 시경 고기잡이배가 드나들기에 적당하다.
 시경에는 갯벌에 나가 조개잡기에 적당한 시간이다.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55
- 5 -
[강남 3구 기출] 7-2.해수의 특성과 순환(02)

25.
zb2 5 ) 우리나라 주변에서 흐르는 해류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있는 대로 고른 것
은?

ㄱ. ㉠과 ㉢은 난류이다.
ㄴ. ㉡은 북한한류이다.
ㄷ. ㉡과 ㉢은 조경 수역을 형성한다.
ㄹ. ㉡이 강하게 흐르면, 조경 수역은 북쪽으로 이동한다.
ㄱ, ㄴ ㄷ, ㄹ
ㄱ, ㄴ, ㄷ ㄴ, ㄷ, ㄹ
ㄱ, ㄴ, ㄷ, ㄹ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55
- 6 -
[강남 3구 기출] 7-2.해수의 특성과 순환(02)

로 얼음이 어는 해역이나, 증발량이 많은 해역의


염분은 증가한다.

1) [정답] 11) [정답]


[해설] 해수의 표층 수온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해설] 강수량이 많으면 염분이 낮아지고 증발량이 많
태양 복사에너지의 양이다. 으면 염분이 높아지므로 염분의 크기는 보통 (증
발량-강수량)이 클수록 커진다. 따라서 염분의 크
2) [정답]
기는 A>B>C순이다.
[해설] ㄱ)저위도 지역은 수온이 높고 고위도로 갈수
록 수온이 낮아지므로 위도에 따라 해수면의 수 12) [정답]
온이 다르게 나타난다. ㄴ)저위도는 고위도보다 [해설] 바닷물이 얼거나 증발량이 강수량보다 많은 지
태양 에너지가 많이 도달한다. ㄷ)저위도에서 고 역은 염분이 높다. 하천수의 유입, 해빙, 강수량
위도로 갈수록 태양에너지가 적게 도달하므로 수 이 증발량보다 많은 지역은 염분이 낮다.
온이 낮아진다.
13) [정답]
3) [정답] [해설] 1)여름철이 겨울철보다 염분이 낮다. 2)겨울에
[해설] ㄱ)심해층은 태양복사에너지가 거의 도달하지 염분이 높은 이유는 여름보다 강수량이 적기 때
않아 수온이 낮다. ㄴ)표층 수온은 도달하는 태양 문이다. 3)여름에는 강수량이 증발량보다 많아 염
복사에너지의 양에 따라 달라진다. 분이 낮다. 4)남해안은 해류의 영향을 받아 염분
이 가장 높다.
4) [정답]
[해설] A는 혼합층, B는 수온약층, C는 심해층이다. 14) [정답]
[해설] 염분은 해수 kg 속에 들어 있는 염류의 총량
5) [정답]
이므로 psu 는 해수 kg 속에 염류가 총 g
[해설] 해수의 연직분포는 혼합층, 수온약층, 심해층
들어 있다. 따라서 천일염 kg을 얻으려면
으로 나뉜다. 2월이 8월보다 바람이 강하게 불어
kg  g     ,   kg의 해수가 필요하
혼합층이 두껍게 나타나며 8월은 태양복사 에너
다.
지가 강하므로 2월보다 해수면 부근의 수온이 높
다. 3)수온약층은 깊이가 깊어질수록 수온이 낮아 15) [정답]
져 안정하여 혼합되지 않는다. [해설] 1)A는 염화나트륨이다. 2)B는 염화마그네슘으
로 쓴맛을 낸다. 3)염분은 해수 1kg 속에 녹아
6) [정답]
있는 염류의 총량이므로 염류의 총량이 g이므
[해설] ㄱ)(가)는 표층 수온이 가장 높으므로 태양복사
로 염분은 psu 이다. 4)이 해수 2kg에 녹아 있
에너지가 많이 도달하는 저위도 지역이다. ㄴ)(나)
는 염류의 양은 70g이다. 5)염분비 일정 법칙에
해역은 수온이 낮고 깊이에 따라 큰 변화가 없는
의해 염분이 달라도 각 염류간의 비율은 일정하
고위도 지역이다. ㄷ)(다)해역은 바람이 강하게 불
므로 psu  g  psu  x 이고 x ≒ g이다.
어 혼합층이 두껍게 나타난다.
16) [정답] ,
7) [정답]
[해설] 1)(가)는 염화나트륨이다. 2)(나)는 염화마그네
[해설] 1)A는 고위도지역이다. 2)B는 중위도 지역이
슘으로 쓴 맛이 난다. 3)염분은 해수 1kg 속에
다. 4)바람이 가장 강한 곳은 혼합층이 두꺼운 B
녹아있는 염류의 총량을 나타내므로 북극해의 염
지역이다. 5)태양에너지를 가장 많이 받는 곳은
분은      ÷   psu 이다. 4)짠
표층 수온이 가장 높은 C지역이다 .
맛이 가장 많이 나는 해수는 염류가 가장 많은
8) [정답] 홍해이다. 5)각 해수에서 황산마그네슘이 전체 염
[해설] 4)전등이 물을 가열하면 물의 표면 쪽 온도가 류에 대해 차지하는 비율은 모두 같다.
높아지면서 깊이가 깊어질수록 온도가 낮아져 수
17) [정답]
온 약층이 만들어진다.
[해설] 5)우리나라에서 여름에는 난류의 세력이 강해
9) [정답] 지므로 조경수역의 위치가 북상한다.
[해설] 4)실험 (다)에서 선풍기로 바람을 일으키면 표
18) [정답]
면의 물이 혼합되면서 온도가 일정한 구간이 나
[해설] 우리나라 동해에서 조경수역은 북한한류(B)와
타난다.
동한난류(C)가 만나 형성된다.
10) [정답]
19) [정답]
[해설] 염분은 해수 kg에 녹아 있는 염류의 총 g수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55
- 7 -
[강남 3구 기출] 7-2.해수의 특성과 순환(02)

[해설] 1)(가)는 조경수역이 남하했으므로 겨울철, (나)


는 조경수역이 북상했으므로 여름철이다. 2)조경
수역은 한류와 난류가 만나는 경계에 생기므로
(가)보다 (나)일 때 조경수역이 북상한다. 3)(가)는
(나)보다 한류의 세력이 강하므로 동해안의 평균
수온이 낮다. 4)우리나라의 조경수역은 동해안에
형성된다. 5)북한 한류는 연해주 해류의 일부이
다.

20) [정답]
[해설] 5)북한 한류와 동한 난류는 우리나라 동해에서
만나 조경수역을 형성한다.

21) [정답]
[해설] 가)간조일 때는 해수면의 높이가 가장 낮아나)
조석 주기가 약 12시간 25분이므로 만조와 간조
는 하루에 2번씩 일어난다. 다)만조와 간조 시 해
수면의 높이차를 조차라고 한다. 라)밀물과 썰물
로 해수면의 높이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현상을
조석이라고 한다.

22) [정답]
[해설] A, C는 간조이고, B, D는 만조이다. 간조와
만조 사이는 밀물이 일어나고, 만조와 간조 사이
는 썰물이 일어난다. 갯벌은 해수면이 낮은 간조
시간대에 이용할 수 있다.

23) [정답]
[해설] ㄴ)조차는 만조 때와 간조 때의 해수면의 높이
차로 이 기간 동안 조차는 점점 감소하고 있다.
ㄹ)㉠~㉡구간은 해수면의 높이가 점점 낮아지는
썰물이 일어난다. ㅁ)㉡시기는 간조로 갯벌이 넓
게 드러나 있어 고기잡이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
기에 어렵다.

24) [정답]
[해설] 1)3시경과 15시경은 해수면의 높이가 가장 높
으므로 만조이다. 2)조차는 만조와 간조의 해수면
의 높이 차이로 약 6m이다. 3)3시에서 9시 사이
에는 해수면의 높이가 낮아지므로 썰물이 나타난
다. 4)15시경은 만조이므로 해안에 물이 많아 고
기잡이배가 드나들기 적당하다. 5)9시경은 간조이
므로 갯벌이 넓게 펼쳐져 조개잡기에 적당하다.

25) [정답]
[해설] ㄱ)㉠과 ㉢은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흐르는 난
류이다. ㄴ)㉡은 북쪽에서 내려오는 북한 한류이
다. ㄷ)㉡은 북한 한류 ㉢은 동한 난류로 우리나
라 동해에서 만나 조경수역을 형성한다. ㄹ)㉡이
강하게 흐르면 조경수역은 남쪽으로 이동한다.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55
- 8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