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7

지형 환경과 인간 생활

2023-1학기 한국지리 (비상교육)


용암의 종류

용암 현무암질 조면암·안산암질

온도 높다 낮다

점성 낮음 높음

유동성 크다 작다

화산체 경사 완만 급함

화산체 형태

화산체 용암 대지, 순상 화산 종상 화산(용암 돔)


교재 43쪽

개마고원

철원 용암
대지
교재 43쪽

어떤 용암이 어떻게 분출하였나?

찢어진 틈

· 열하 분출
찢어진 틈을 따라 용암이 분출
→ 골짜기를 따라 흐르다가 메꾸어 버림
백두산 천지 - 칼데라호 한라산 백록담 - 화구호

✓ 백두산 천지는 화산 분화 이후 정상부가 중력에 의해 무너지며 형성된 칼데라에 물이 고인 칼데라 호

✓ 한라산 백록담은 화산 분화 후 굳은 화구에 물이 고인 화구호


백두산 천지 한라산 백록담
교과서 57쪽
용암 동굴 점성이 작은 용암이 흘러내릴 때
현무암질
표층부와 하층부의 냉각 속도 차이에 의해 형성됨
분출된 용암이 냉각되는 과정에서 교과서 54쪽
주상 절리
다각형의 기둥 모양으로 절리가 형성
건천 평소에는 물이 흐르지 않다가,
비가 오거나 하여 수량이 증가할 때에만 흐르는 하천
철원∙평강 일대의 용암 대지

용암 대지 용암 대지

주상 절리
주상 절리

한탄강 한탄강
교재 44쪽

주상 절리
▲ 석회암 분포 지역 ▲ 한반도의 지체 구조
교재 45쪽

물구멍

▲ 카르스트 지형의 모식도


석회암 풍화토: 석회암이 용식된 후 남은 철분 등이 산화되어 형성된 붉은색의 토양 밭으로 이용되는 돌리네

모암(기반암)의 성질이 반영된 간대토양으로 '테라로사'라 불린다.

우발라 돌리네

석회동굴

교과서 59쪽
교재 45쪽

✓ 저하 등고선
시멘트 회사
→ 석화암 지대

저하 등고선

저하 등고선
교과서 63쪽
우리나라 동굴 지형

▲ A동굴 ▲ B동굴

석회 동굴 용암 동굴
교과서 63쪽

석회 동굴 용암 동굴
기반암 석회암 현무암

기반암 형성 시기 고생대 신생대

석회암 지대에서 빗물이나 점성이 작은 용암이 흘러


지하수가 스며들어 내릴 때 주로 표층부와
형성 과정
용식 작용에 의해 하층부의 냉각 속도 차이에
지하에 동굴이 형성 의해 형성

이용 현황 관광 자원 관광 자원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