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폭포 하천의 경사급변점에 나타나는 낙수현상

폭호 폭포 아래 암반 상에 깊게 파인 둥근 와지
풍화혈 하상의 기반암에 마식작용으로 형성된 침식혈
소 하천의 공격사면 바로 밑 하상에 형성된 수심이 깊은 곳
하천지형
감입곡류하천 기반암을 침식시켜 폭에 비해 곡이 깊은 산지 사이를 흐르는 곡류하천
(침식)
미앤더코어 곡류가 절단된 후 현재 하도와 구하도 사이에 형성되는 원추형의 지형
협곡 양쪽 곡벽이 급경사를 이루는 좁고 깊은 계곡
하식애 하천의 침식작용으로 형성된 단대
하식동 하천의 침식작용으로 형성된 동굴
삼각주 하천이 운반하는 사력퇴적물이 하구에 쌓여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퇴적지형
선상지 곡구에 발달한 부채꼴 모양의 사력 퇴적 지형
곡저 평야 하곡의 충진에 의해 곡저를 중심으로 형성된 퇴적 지형
하천지형
포인트바 활주사면에 모래나 자갈이 쌓여 형성된 퇴적 지형
(퇴적)
자연제방 홍수 범람 시 하천 양안을 따라 사질퇴적물이 쌓여 고도차를 보이는 지형
하중도 하천 가운데 존재하는 섬 모양의 지형(목본류)
사력퇴적지 하천 가운데 존재하는 섬 모양의 지형(초본류 또는 식생(x)
구하도 과거의 하천이 흘렀던 곳
yazoo 하도 자연제방 너머의 평탄한 범람원을 흐르는 지류하천
우각호 곡류가 절단된 구하도상에 형성된 소뿔 모양의 하천
천정천 하천퇴적작용으로 하상이 주변보다 높아진 하천
망류하도구간 하천이 본류와 합류하면서 그물모양을 이루고 흐르는 하천
하천습지 하천의 본류나 지류 구간에 형성된 하천 습지
배후습지 자연제방 뒤에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은 저습지
샛강습지 하중도와 범람원 사이, 과거에는 하천 본류 구간이었느나 현재 습지화된 지형
하안단구 하천 작용으로 형성된 하천 양안의 계단 모양 지형
호소성 습지 호소 형태의 습지
용천 지하수의 용출
기반암 하상 기반암으로 이루어진 하천의 하상 지형
풍극 하천의 유로가 다른 하천의 유로에 의해 쟁탈당하여 말라버린 하도 구간
범람원 홍수 시 하천의 범람으로 사력물질이 쌓인 퇴적 지형
하천 충적 평야 하천 양안의 제방 내부에 형성된 저기복의 충적 지형
인공 호수 인공 구조물이나 토지이용으로 형성된 호수
포트홀군 하상의 기반암에 마식작용으로 형성된 침식혈이 집단적으로 분포하는 곳
하천선돌 기반암 침식에 의해 암반 하상에 형성된 잔류암체
둠벙습지 계곡 상부에 통수 등에 의해 형성된 습지
해식애 파식 작용으로 해안에 형성된 해안절벽
해식동 파식 작용으로 해안에 형성된 동굴
해안 지형 파식대 파식 작용으로 해안에 형성된 암석 평탄면
(침식 시스택 기반암이 육지와 분리되어 고립된 촛대모양의 암괴
및 시아치 해식동이 관통되어 아치모양을 이루는 지형
풍화) 노치 해식작용으로 만들어진 소규모 침식혈
마린포트홀 기반암이 노출된 해안에서 파식작용으로 인해 만들어진 포트홀
해안타포니 산지타포니와 구분하여 염풍화가 우세한 환경에서 형성된 풍화혈
간석지 만조와 간조가 교차되는 해안 퇴적지형(갯벌 포함)
염습지 염생식물이 밀집하여 생장하는 해안 간석지
해안 지형 거력해안 거력(>256mm)으로 이루어진 해안 퇴적 지형
(퇴적) 자갈해안 대부분 크고 작은 자갈(>5mm)로 해안이 이루어진 곳
모래해안 주로 모래로 이루어진 해안퇴적지형(=사빈)
패사해안 부서진 조개껍질 조각들로 이루어진 모래해안
사취 파랑과 연안류의 작용으로 만의 입구에 형성되는 세부리 모양의 퇴적지형
사주 파랑과 연안류의 작용으로 해안에 나란히 형성된 사질퇴적지형
사주섬 사주의 양끝이 육지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모래섬
육계사주 육지로부터 돌출, 성장하여 가까운 섬에 연결된 사주
육계도 육계사주의 발달로 육지와 연결된 섬
범 사빈사면 너머에 형성된 계단모양의 사력퇴적지형
비치리지 사빈해안에 나란히 형성된 모래언덕들
석호 사주, 사취 등으로 만의 입구가 막혀 바다와 분리되어 형성된 자연호수
해안 사구 바람에 의해 운반된 모래가 퇴적된 바닷가의 언덕
사구 습지 사구 지대에 형성된 습지 환경
해안 평야 해안지역의 저기복 해성 충적지형
해안 지형 해안 단구 해수면 변동으로 형성된 단구 지형
(기타) 간척지 바다나 호소를 막아 개척한 땅
돌리네 석회암의 용식으로 형성된 와지
우발라 돌리네가 확장되어 합쳐진 지형
자연교 기반암의 침식이나 동굴의 붕괴로 형성된 아치모양의 지형
카르스트 지형 카렌 or 라피에 석회암의 용식 이후 잔존하는 돌기둥 모양 지형
석회동굴 석회암 용식 결과 형성된 동굴
카르스트 건곡 석회암 지대의 수계 때 비가 내려도 물이 흐르지 않는 하천
카르스트 용천 지하로 흐르던 하천이 용출되어 형성된 샘
용암원정구 점성이 강한 용암이 단 한번에 분출되어 형성된 급경사의 돔모양 화산체
분석구 화산쇄설물로 이루어진 원추형의 화산
응회구 미립질 쇄설물로 구성된 화산쇄설구
응회환 응회구의 극단적인 형상을 보이는 화산체
마르 화산체보다 분화구가 큰 폭발성 화산지형
용암동굴 용암류에 의해 형성된 동굴
화구 마그자가 지표로 분출하는 입구
중앙화구구 칼데라에서 2차적인 분출로 형성된 화산 지형
화구호 화구에 담수하여 형성된 호소
화산 지형 칼데라 화구의 2차적인 함몰이나 폭발로 형성된 화산성 분지
칼데라 호 칼데라에 담수하여 형성된 호소
파트 분화구 용암누출과 관련한 함몰화구 형태의 지형
용암대지 용암류가 누적되어 형성된 대지
스텝토 용암대지 위로 솟은 잔존 기반암체
베개 용암 베개모양의 용암체
밧줄구조 용암이 흐르며 굳은 표면이 밧줄모양으로 형성된 구조의 용암체
주상절리지형 용암의 수축현상에 기인하는 수직 절리 지형
튜물러스 용암류의 표면이 작은 언덕 또는 돔상의 형태를 이루는 지형
곶자왈 용암의 표면에 굳어있던 암석이 깨지고 뒤틀려 생성된 암편이 지표면에 쌓여 만들어진 불규칙한 지형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