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지구과학 1

1. 고체지구
가. 판 구조론의 정립 : 아래 이론을 토대로 지구 표면은 여러 개의 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판들이 이동하며 지진, 화산 같읕 지각 변동이 일어난다는 이론이다. 실제로 손톱이 자라는 속
도로 움직이고 있다.
01. 베게너의 대륙 이동설
베게너는 독일의 기상학자로 극지방에 있는 빙하를 연구하고 있었다. 어느 날 빙하의 움
직임을 보고 '땅도 빙하처럼 움직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대륙의 이동설
을 주장했다.
초대륙(대륙이 한 덩어리로 뭉쳐 있는 상태)인 판게아가 존재했으나, 분리되고 쪼개져 수
륙 분포를 이루게 되었다는 학설이다.

사진 출처 :https://unsplash.com/

지구과학 1 1
증거
1)

①남아메리카와 아메리카 해안선의 일치


②지질구조(암석이나 지층이 배열된 상태, 지각변동에 따라 암석이나 지층이 변형된 상태)의
연속성
③멀리 떨어져 있는 대륙에서 메소사우루스 및 식물과 같은 종류의 화석이 발견
-그 당시 지질학자들이 기상학자인 베게너의 이론을 반기지 않아 터무니 없는 주장을 함.

④빙하가 움직일 시 흔적을 남기는데, ③번과 동일한 이유로 비슷한 흔적을 발견


한계
2)

대륙 이동의 원동력을 설명할 수 없어 인정받지 못했다.

02. 홈스의 맨틀 대류설


지구를 반으로 잘라보면 지각<맨틀<핵 순으로 되어 있다. 그 중 맨틀이 대류한다는 설이
다.
암석이 완전히 녹으면 마그마가 된다. 암석이 부분적으로 녹은 상태를 부분 용융이라고
하는데 유동성이 있는 맨틀을 연약권이라고 부른다.
맨틀이 대류하는 이유는 2가지로 나뉜다. 방사성 동위 원소가 붕괴할 때 열이 방출되고
지구 중심으로 갈수록 온도가 높아지는데, 중심부의 열이 맨틀쪽으로 올라온다. 결국 맨
틀 상하부의 온도차가 발생하여 맨틀 내부에 열대류로 인한 맨틀 위 대륙이 이동하게 되
는 것이다. 열이 올라오는 곳은 고온으로 맨틀이 상승하게 되고 저온인 맨틀은 하강하게
된다.
맨틀이 상승하는 부분은 대륙지각이 분리되어 새로운 해양이 생성되고 맨틀이 하강하는
부분은 산맥과 해구가 생성된다.

지구과학 1 2
03. 해저 지형 탐사(음향측심법)
2차 세계대전 당시, 전쟁의 이로운점으로 과학기술이 발전한다. 다른 나라를 공격하기 위
해 잠수함을 탄 바닷 속 적을 확인하기 위한 음향측심법이 발달되었다. 탐사선에서 해저
로 초음파를 쏴서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인데, 직접 가보지 않아도 해저 지형을 가늠할 수
있는 수단으로 쓰인다.
솟아오른 2개의 해저 산맥을 해령이라 부른다. 가운데 움푹 들어간 부분은 열곡이라고 부
른다. 바다에 깊이 파여 있는 구멍을 해구라 부른다.

04. 헤스와 디츠의 해저 확장설


딱딱한 대륙이 양쪽으로 늘어나면 가운데 공간이 생긴다. 빈 공간으로 마그마가 올라와
서 딱딱하게 굳으며 새로운 해양 지각(판)이 된다.
대륙이 양쪽으로 늘어나기 전에는 작은 바다였으나, 대륙이 양쪽으로 계소 늘어나면서
해양판이 넓어진다. 그러면서 바다가 넓어진다는 이론이 해저 확장설이다.

증거 (해령에서 판이 생성되는가?)
1)

①해령에서 멀어질수록 판의나이,퇴적물의 두께 , 수심증가


-대륙이 양 옆으로 밀려나면서 해령에 쌓인 퇴적물들도 같이 옮겨간다. 해령 주변에 있는 퇴
적물보다는 쌓인 기간이 길고, 두께도 두꺼워진다.
-해령은 마그마가 활발한 화산활동을 하고 있기 때문에 빵을 굽듯이 해저가 부풀어 있다. 반
대로 해령에서 멀어질수록 열이 식기 때문에 고도가 낮아진다.
②판과 판이 만나 해구(바다구멍)가 형성되며 베니오프대 발견
-대륙이 양쪽으로 밀려나면 경우가 있고, 밀려난 판이 서로 만나는 경우도 있다. 두 판이 서로
밀도가 달라 밀도가 높은 판이 아래로 밀려난다. 그 틈을 해구라고 부른다. 판이 맞붙어 있는
곳은 지진이 발생한다. 지진이 발생하는 진원을 베니오프대 혹은 섭입대 라고 부른다. 섭입대
는 잦은 지진으로 소멸하게 된다.

지구과학 1 3
③고지자기 줄무늬가 해령을 축으로 대칭적으로 분포한다.
-지구 내부에 거대한 자석이 있는 것처럼 지구 주위에 자기장이 존재한다. 남극(S)에서 북극
(N)으로 흘러가는 방향을 정자극기, 북극(N)에서 남극(S)으로 흘러가는 방향을 역자극기 라
고 한다.
-암석이 발견될 때 내부를 보면 그 당시 지구의 자기장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④해령을 확대해 보면 빨간네모박스와 같다. 두 판이 멀어진다고 가정한다면 초록색 부분이


생긴다. 이 부분을 변환단층이라고 한다.

지구과학 1 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