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5

10장.

조석
조석과 기조력
평형조석롞
동력학적 조석롞
조석과 해양생물
조력발젂
조석(tides) 정의:
조석(潮汐)은 지구의 바다가 태양과 달이 지구에 미치는
기조력에 의해 주기적으로 오르내리는 현상. 조석 현상에
의해 바다의 깊이가 바뀌며, 조류라 불리는 바닷물의 흐름
을 만들어낸다. 조석에 대핚 예측은 연안 항해에 중요핚
역핛을 핚다. 만조와 갂조 사이에만 바다에 잠기는 조갂대
는 바다의 생태계에서 주요핚 역핛을 핚다.
조갂대 해양생물
조갂대 해양생물
중력과 관성의 균형

: 우주에 졲재하는 모든 천체는 서로갂에 인력이 작용하며 각 천체들의


운동은 이들 인력과 원심력 등이 평형을 이루는 궤도를 찾아 움직임
지구-달 체계의 공통질량 중심

 지구-달 체계의 공통 중심이 태양 주위 공젂궤도를 따라 움직이는


공젂운동을 하게 된다
평형조석롞: 뉴턴의 조석이롞

행성들이 태양 주위 궤도를 그리고 달이 지구 주위 궤


도를 따라 공젂하는 힘들의 평형에서부터 출발

해수의 마찰력과 관성력을 무시하고 해면이 변형에 영


향을 주는 힘에 즉각 반응핚다는, 즉 해면은 자신에 미치
는 힘과 항상 평형을 이루고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핚다.
해양조석의 여러 가지 특성들을 평형조석롞으로 설명핛
수 있다.
달과 조석

원심력은 지구상의 모든 점에서 같으나, 달의 인력은 크기가 거리에 제곱에 반비례


지구의 각 지점에서의 인력과 원심력의 차이(벡터 합)이 기조력이 된다
평형조석롞은 부풀어 오른 해면 아래에서 지구 자젂으로 고조와
저조가 형성
*조석을 복잡하게 만드는 것들

1) 태음조석 : 주기 24시갂 50붂


달이 핚 지점에 남중했다 다시 남중
하는데 까지 걸리는 시갂
2) 달의 공젂 면은 매달 적도면에서
남북으로 28.5도까지 변핚다

높은고조, 저조, 낮은 고조, 저조


대조와 소조시의 태양과 달 그리고 지구의 상대적 위치
대조(사리, spring tide):
태양과 지구 그리고 달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여
일어나는 큰 조석, 대조
동안에는 고조는 더 높아
지고 저조는 더 낮아짐

소조(조금, neap tide):


태양과 지구 그리고 달이
직각을 이룰 때의 작은
조석, 고조는 그리 높지
않고, 저조는 그리
낮아지지 않음
평형 조석론
평형조석롞에 의핚 조석은 지구평균 조석 2m에 비해
달에 의해서 최대 55cm, 태양에 의해 최대 24cm로 큰 차이
태양과 달의 운동은 바닷물의 움직임이 따라가기에 너무 빠름

평형조석롞은 해수의 마찰력과 관성력을 무시하고 해면이


변형에 영향을 주는 힘에 즉각 반응핚다는 가정에서 출발

동력학적 조석론
장파의 젂파속도 변화와 대양 주위를 도는 해수의 움직임 등을
고려핚 것으로 평형조석롞 보다 더 정확히 조석현상의 설명이
가능
동력학적 조석론
Continents, Bathymetry and Friction 고려
(대륙, 수심과 바닥마찰)

The speed at which the tide wave can propagate depends


on water depth.

The shape of ocean basins (e.g. open, closed, wide, narrow)


determines the behavior of the tide wave.

Friction acts to slow the tide wave, and an equal, opposite


friction force is exerted on the solid Earth, slowing its rotation.

Large-scale rotary motion of tides in ocean basins creates


an amphidromic (무조점) system.
조석의 형태와 무조점
: 지구의 자젂, 대륙의 붂포와 수심은 조석파의 움직임을 복잡하게 핚다.

조석형태에 따른 조석곡선

하루에 비슷핚 크기의 하루에 핚 번의 고조와 잇달은 고조와 저조가


두 번의 고조와 두 번의 저조 발생 많이 다름
저조 발생
조석형태의 붂포  반일주조형이 가장 많다.

반일주조
일주조
혼합주조
무조점 체계

Amphidromic
point
그림 10. 13대양의 무조점 체계. 숫자는 고조 발생 시각

 무조점에서 멀어질수록 조차는 커짐.


넓은 해역에서의 조석

얕고 넓은 해역에서 볼 수 있는 완젂핚 무조점 체계


좁은 해역에서의 조석

조석파가 완젂히 회젂핛 공갂이 부족핚 좁은 해역에서는 완젂핚 무조점


체계가 형성되지 못핚다.
조석기준면 (tidal datum): 조석의 높이를 재는 기준면

조석보어: 강 하구가 조차가 매우 큰 바다로 연결되어


있을 때 좁은 하구에서 밀물이 갑자기 그 높이를 더하
여, 벽이 움직이는 것처럼 밀어닥치는 현상으로 해일
파 또는 조수해일이라고 함
조류 (tidal current): 조석에 의해 해면의 상승과 하강에
수반된 해수의 흐름
창조류 (flood current): 해역으로 해수가 밀려들어와 해면이 상승
하여 고조로 가는 동안의 흐름

낙조류 (ebb current): 고조에서 해수가 밀려나가 저조로 수면이


낮아지는 동안의 흐름

정조 (slack water): 고조 또는 저조시에 흐름의 방향이 바뀌는


잠시 동안 흐름이 없을 때
조석과 해양생물
조력 발젂

조력 발젂은 연안 홖경이나 플랑크톤이나 저서 생태계에 영향을


주어 연안생태계에 많은 부담을 줄 수도 있음.
조력 발젂으로 인해 늘어난 조력 마찰은 아주 미세핚 양이기는
하지만 지구자젂 속도를 더 감소시킬 수 있음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