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3

2 지구의 구성 물질

02. 변동대에서의 화성암


학습 목표

• 변동대에서 마그마가 생성됨을 설명할 수 있다.

• 판 경계에서 안산암질, 유문암질, 현무암질 마그마가


생성됨을 설명할 수 있다.
스스로 생각해보기

바우르다르붕가 화산
세인트헬렌스 화산

 북아메리카의 세인트헬렌스 화산
- 용암의 유동성이 작고 격렬하게 분출

 아이슬란드의 바우르다르붕가 화산
- 용암의 유동성이 크고 조용히 분출
스스로 생각해보기

바우르다르붕가 화산
세인트헬렌스 화산

두 화산은 모두 판 경계 부근에 위치하는데


화산의 분출 형태가 서로 다른 까닭은 무엇일까?
→ 북아메리카의 세인트헬렌스 화산은 섭입 경계로,
여기서 분출되는 마그마는 안산암질 마그마로,
점성과 휘발 성분의 함량이 커서 격렬하게 분출한다.
스스로 생각해보기

바우르다르붕가 화산
세인트헬렌스 화산

두 화산은 모두 판 경계 부근에 위치하는데


화산의 분출 형태가 서로 다른 까닭은 무엇일까?
→ 바우르다르붕가 화산에서는 대부분 용암이 분출되고
세인트헬렌스 화산에서는 많은 양의 화산 쇄설물과
용암이 분출된다.
마그마의 성질에 따른 화산의 형태

해보기 : 화산의 종류와 마그마의 특성


 두 화산의 모양이 서로 다른 까닭을
마그마의 성질과 연관 지어 조사해 보자.

(가) 한라산 (나) 피나투보 화산


→ (가)는 산의 경사가 완만한 순상 화산이고
(나)는 경사가 급한 종상 화산이다.
마그마의 성질에 따른 화산의 형태
해보기 : 화산의 종류와 마그마의 특성
 두 화산의 모양이 서로 다른 까닭을
마그마의 성질과 연관 지어 조사해 보자.

(가) 한라산 (나) 피나투보 화산


→ (가)를 만든 마그마는 점성이 적은 현무암질 마그마로서,
빨리 이동하기 때문에 경사가 완만하다.
→ (나)를 만든 마그마는 점성이 크고 기체의 함량이 많은
안산암질 - 유문암질 마그마로서
이동 속도가 느리므로 경사가 급한 화산을 형성한다.
용암의 성질과 화산

어두운색 밝은색

높다 낮다
크다 작다
작다 크다
완만하다 급하다
적다 많다
조용한 분출 격렬한 폭발
순상화산 성층화산 종상 화산
용암 대지 용암 돔
용암의 성질과 화산

Mt. Mauna Kea 순상 화산 Mt. St. Helens 종상 화산

Pajarito Plateau 용암 대지 산방산 종상 화산


용암의 성질과 화산

Mt. St. Helens 용암돔 Mt. Fuji 성층 화산

산방산과 한라산
마그마의 생성 조건
온도 상승(B→D)
온도가 상승하여 유문암질 또는 안산암질 마그마 생성
마그마의 생성 조건
압력 감소(B)
맨틀 물질이 상승하여 압력 감소로 현무암질 마그마 생성
마그마의 생성 조건
녹는점 하강
‘물이 포함된 맨틀의 용융 곡선’으로 용융 온도가 떨어지면
A 지점 맨틀이 녹아 현무암질 마그마 생성
마그마의 생성 조건
장소 과정
섭입대 부근의
▸현무암질 마그마 상승 → 대륙 지각 하부 온도 상승
A 대륙 지각 하부
→ 대륙 지각 용융 → 화강암질 마그마 생성
(수렴 경계)
▸하부 맨틀에서 방사성 동위 원소의 붕괴로 열 발생
열점 → 온도 상승으로 뜨거워진 물질 급속 상승
A′
(판의 내부) → 해양 지각 및 상부 맨틀이 온도 상승 → 용융
→ 현무암질 마그마 생성
해령 하부 ▸고온의 맨틀 물질 상승 또는 장력 작용 → 압력 감소
(발산 경계) → 용융점에 도달 → 현무암질 마그마 생성
B
열점 ▸맨틀 하부의 고온의 물질 상승 → 압력 감소(용융점 하강)
(판의 내부) → 현무암질 마그마 생성
▸해양판이 섭입 → 온도∙압력 상승
섭입대 부근의
→ 해양 지각(함수 광물)에서 물이 빠짐
C 해양 지각
→ 연약권 맨틀에 물(촉매) 공급 → 암석의 용융점 하강
(수렴 경계)
→ 부분 용융 → 현무암질 마그마 생성
마그마의 생성 장소
발산 경계
 해령 하부 / 열곡대 하부
 고온의 맨틀 물질 상승 → 압력 감소 → 녹는점 내려감 → 부분 용융
 현무암질 마그마 생성
마그마의 생성 장소
섭입 경계
 베니오프대(섭입대)
 해양 지각 섭입 → 연약권의 용융점 하강 → 현무암질 마그마 생성
→ 이 마그마가 상승 → 대륙 하부 부분 용융 → 유문암질 마그마 생성
→ 두 마그마가 섞임 (물 또는 함수광물 포함)
 안산암질 마그마 생성

A B C
마그마의 생성 장소
판의 내부(열점)
 열점(하와이)
 플룸이 맨틀 최상부에 도달 → 최상부 플룸 압력 감소 → 부분 용융
 현무암질 마그마 생성
마그마의 생성 장소

FELSIC : 규장질(산성)
INTERMEDIATE : (중성)
MAFIC : 철질(염기성)
ULTRAMAFIC : 고철질(초염기성)
마그마의 생성 장소
2 지구의 구성 물질

01. 변동대에서의 마그마


학습 목표

• 마그마의 조성과 온도 및 압력 조건에 따라 다양한


화성암이 생성됨을 설명할 수 있다.

• 화성암이 생성되는 고유의 환경이 가지는 의미를 이


해할 수 있다.

• 한반도에 나타나는 대표적인 지형과 화성암을 연계


하여 설명할 수 있다.
스스로 생각해보기
주상 절리는 암석이 어떤 과정을 거쳐 형성된 것일까?

그림은 용암이 빠르게 냉각되면서 수축하여 생긴 방사형 주상


절리이다. 동해안(경주)에 있는 이 주상 절리는 지표면과 약
10˚~20˚ 가량 기울어져 있다.
이러한 주상 절리는 아름다운 경관을 만들 뿐만 아니라 화산
활동이 있었을 당시의 환경을 유추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스스로 생각해보기
주상 절리는 암석이 어떤 과정을 거쳐 형성된 것일까?

→ 주상 절리를 이루고 있는 암석은 현무암이다.


현무암은 마그마가 지표로 분출한 이후
빠르게 냉각되어 형성되었기 때문에
광물 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힘들 정도로
작은 세립질 조직을 이루고 있다.
산출 상태와 조직에 따른 화성암 분류

해보기 : 한반도의 화성암 분류


 다음 그림은 한반도 대표적 화성암 지형과 구성 암석의
조직이다.

▲ 도봉산 화강암 ▲ 한탄강 현무암


산출 상태와 조직에 따른 화성암 분류

해보기 : 한반도의 화성암 분류


 두 지형을 이루는 화성암 색깔과 입자 크기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 화강암 ▲ 현무암

→ 도봉산 화강암은 밝은색을 띠고 조립질인데,


한탄강 현무암은 어두운 색을 띠고 세립질이다.
산출 상태와 조직에 따른 화성암 분류

해보기 : 한반도의 화성암 분류


 이와 같은 차이가 생긴 까닭을
화성암이 만들어진 과정을 바탕으로 설명해 보자.

▲ 화강암 ▲ 현무암

→ 화강암 : 마그마가 지하 깊은 곳에서 천천히 냉각되어 형성


조립질, 규장질 광물이 다량 포함되어 밝은 색을 띰.
→ 현무암 : 마그마가 지표 밖으로 분출한 후 빠르게 냉각되어
형성, 세립질, 고철질 광물이 다량 포함되어 어두운
색을 띰.
화성암의 산출 상태
부석
화산쇄설물 응회암

현무암질 유문암질
고철질 규장질
화산암/분출암

현무암 유문암

반암

반려암 화강암

반정
심성암/관입암

반암
석기
화성암의 산출 상태
화산암
응회암
각력암 (분출암)

유문암 현무암
(밝은색) (어두운색) 현무암 화강암
심성암
(관입암)
화강암

심성암(관입암)

밝다

화강암

섬록암

반려암 중간
어둡다
화성암의 산출 상태

기생화산
화산
화산암
화산재 / 용암

마그마 굄

암맥 암상 반심성암 병반
암상

심성암 암맥
심성암 복합체 암맥

저반
포획암
화성암의 산출 상태

 심성암 : 조립질
 반심성암 : 반상조직(반정+석기)
 화산암 : 세립질
화성암의 분류 : 조직과 조성

66

얕다 현무암 안산암 유문암

휘록암 섬록 반암 화강 반암

깊다 반려암 섬록암 화강암


화성암의 분류 : 조직과 조성
화성암의 종류
Mafic Intermediate Felsic

화산암
세립질

현무암 안산암 유문암

심성암
조립질

반려암 섬록암 화강암


화성암에 나타나는 지질 구조 : 절리 joint
주상 절리 현무암

용암이
빠르게 냉각, 수축하여 생성
화산암에 나타남
화성암에 나타나는 지질 구조 : 절리 joint
판상 절리 화강암

화성암 위의 암석이
풍화, 침식으로 제거되어
압력이 감소하여 생성
심성암에 나타남
화성암에 나타나는 지질 구조 : 절리 joint
방상 절리 화강암
화성암과 한반도 지형
A
A. 칼데라를 품고 있는 백두산

신생대 화산암
칼데라호
마지막 분화 1903년
화성암과 한반도 지형

B. 용암이 흐르는 한탄강(철원)

신생대 화산암
현무암
주상 절리
화성암과 한반도 지형

C/D. 한국의 갈라파고스 울릉도/독도

C D

신생대 화산암
독도 : 가장 오래된 화산섬
화성암과 한반도 지형

E. 180만 년 동안의 화산 분출 제주도

E
신생대 화산암
화구호
현무암 / 주상 절리 / 용암 동굴
화성암과 한반도 지형

F. 신의 돌기둥 무등산 주상 절리대

신생대 화산암 / 현무암


주상 절리(입석대 / 서석대)
화성암과 한반도 지형

G. 1억 7천만 년 전에 태어난 북한산

중생대 관입암
화강암
판상 절리
화성암과 한반도 지형

H. 화강암 암봉이 수려한 설악산

중생대 관입암
화강암
판상 절리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