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03 퇴적암과 지질 구조 (p.

38~53)

<1> 퇴적암과 퇴적 환경

<2> 지질 구조
2024 서인혜의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 퇴적암과 퇴적 환경
퇴적암 퇴적 구조
사층리 점이층리 연흔 건열
① 속성 작용: 퇴적물이 쌓여
퇴적암이 되기까지의 전체 과
정. 다짐 작용과 교결 작용.
A→B, 공극의 부피↓ 밀도↑
사막, 삼각주 대륙대, 수심 깊은 호수 수심 얕은 물밑 건조한 환경

② 퇴적암의 종류: 퇴적물의 기원에 따라 구분함. 사층리의 형성 과정★ 퇴적 환경


쇄설성 퇴적암 화학적 퇴적암 유기적 퇴적암 선상지, 하천, 호수, 사막, 빙하 → 육상 환경
역암, 사암, 셰일, 응회암 석회암, 처트, 암염 석회암, 규조토, 석탄
삼각주, 해빈, 사주, 석호 → 연안 환경
모래입자 크기
1/16~2mm 대륙붕, 대륙 사면, 대륙대, 심해저 평원
→ 해양 환경
2024 서인혜의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2> 지질 구조
습곡 단층 절리
암석에 생긴 틈이나 균열

지표 부근, 단층면을 경계로 양쪽의 암석이 상


지하 깊은 곳, 횡압력을 받아 휘어진 지질 구조
대적으로 이동하여 서로 어긋나 있는 지질 구조
주상 절리 판상 절리
부정합 관입과 포획
퇴적이 오랫동안 중단된 후 다시 퇴적이 일어난 경우의 상하 지층 관계 평행 부정합

경사 부정합
마그마가 관입하면서 굳어진 관입암, A
부정합의 생성★ 퇴적 → 융기 → 침식 → 침강 → 퇴적 마그마가 관입할 때 주변 암석 일부가 떨어져
난정합 나와 유입된 포획암, D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