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정오사항

v 1.3 l 2024.03.13
2024.02.27 2024.03.04

개념 20쪽 l 표 추가 개념 24쪽 l 두껍다 → 얇다


해양판 → 대륙판

3) 지각과 판: 지각은 해양 지각과 대륙 지각으로 구분되며, 판은 해양판과


대륙판으로 구분된다.

① 지각: 밀도는 해양 지각이 대륙 지각보다 크고 두께는 해양 지각이 대륙



지각보다 얇다.
· 해양 지각: 무거운 현무암질 암석이며 두께는 5~10km이다.
· 대륙 지각: 가벼운 화강암질 암석이며 두께는 30~70km이다.
· 해양 지각과 대륙 지각은 화학 조성(현무암질, 화강암질)으로 구분된다.
② 판: 평균 밀도는 해양판이 대륙판보다 크고 두께는 대륙판이 해양판보다 두
껍다.
· 해양판: 해양 지각을 포함하는 판으로, 두께는 50~140km이다.
· 대륙판: 대륙 지각을 포함하는 판으로, 두께는 100~200km이다.
· 한 개의 판에 해양판 부분과 대륙판 부분이 모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남아메리카판의 동쪽 부분은 해양판, 서쪽 부분은 대륙판이다.)


2024.03.06 2024.03.13

개념 96쪽 l 발산형 경계 → 보존형 경계 개념 133쪽 l 해설 수정

2) 단층: 지층에 균열이 발생해 이동하여 지층이 끊어진 구조


① 단층의 형성: 주로 깊이가 얕은 곳*에서 지층이 힘을 받아 끊어지며 형성
된다. 삼엽충 화석은 고생대 대표 표준 화석으로, 삼엽충은 고생대 초 캄브리아기에 출현하여
고생대 말 페름기에 멸종하였다. 고생대는 약 2억 5천만 년 전까지이므로, 이 시기에 멸종한
· 지하 깊은 곳에서 지층이 횡압력을 받을 때는 습곡이 형성된다. A가 삼엽충이며, B는 완족류이다. 완족류가 고생대에 번성하였다고 해서 이를 고생대에만
생존한 것과 헷갈리지 않도록 하자.
② 단층의 구조: 기울어진 단층에서는 단층이 일어난 면인 단층면을 기준*
ㄱ. (위에서 말한 것과 같이) 자료에 따르면 A와 B 모두 고생대에 번성하였고, B와 달리 A
으로 상반과 하반을 구분한다.
는 페름기 말에 멸종하였다. 그러므로 A는 삼엽충이다.
· 단층면의 위쪽이 상반, 아래쪽이 하반이다. ㄴ. ㉠ 시기는 5대 대멸종 중 첫 번째 대멸종이 나타난 오르도비스기 말이다. 갑주어는 오르
도비스기에 출현하여 실루리아기, 데본기에 번성하였으므로 갑주어가 ㉠ 시기에 멸종하
③ 단층의 종류: 단층은 가해진 힘의 방향에 따라 세분된다.
였다고 볼 수는 없다.
· 정단층: 지층이 장력(발산하는 방향의 힘)을 받아 형성된 단층
ㄷ. (가)에 따르면 B의 과의 수가 가장 급격하게 감소하는 시기는 고생대 말이다. 공룡은 중
(➡ 양쪽으로 잡아당기면 자연스레 상반은 단층면을 타고 아래로 내려올 것이므로) 생대 말에 멸종하였다.
➡ 상반이 하반에 대해 상대적으로 아래로 이동해있다.
답 ㄱ
· 역단층: 지층이 횡압력(수렴하는 방향의 힘)을 받아 형성된 단층
(➡ 모이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니 자연스레 상반은 단층면을 타고 위로 올라갈 것
이므로)
➡ 상반이 하반에 대해 상대적으로 위로 이동해있다.
· 주향 이동 단층: 지층이 수평 방향으로 어긋나는 힘을 받아 형성된 단층
· 변환 단층(보존형 경계)은 대표적인 주향 이동 단층이다.
2024.03.09 2024.03.09

개념 136쪽 l ➃ ㄱ, ㄷ → ➃ ㄴ, ㄷ 개념 136쪽 l (가) → (가), (나)

10 그림 (가)는 어느 지역의 지질 단면도로, f - f ′은 단층, A 11 그림 (가)와 (나)는 어느 두 지역의 지질 단면을, (다)는


~ E는 퇴적암, F와 G는 화성암이다. 그림 (나)는 F와 G에 포함된 시간에 따른 방사성 원소 X와 Y의 붕괴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방사성 원소 X의 함량을 붕괴 곡선에 나타낸 것이다. X의 반감기는 화강암 A와 B에는 한 종류의 방사성 원소만 존재하고, X와 Y
1억 년이다. … 220620 중 서로 다른 한 종류만 포함한다. 현재 A와 B에 포함된 방사성
원소의 함량은 각각 처음 양의 25%, 12.5% 중 서로 다른
하나이다. 두 지역의 셰일에서는 삼엽충 화석이 산출된다. …
231119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가) (나) (다)
보기

ㄱ. A는 고생대에 퇴적되었다. 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ㄴ. D가 퇴적된 이후 f - f ′이 형성되었다. 고른 것은? [3점]
ㄷ. 단층 상반에 위치한 F는 최소 2회 육상에 노출되었다.
보기
ㄱ. (가)에서는 관입이 나타난다.
① ㄴ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ㄴ. B에 포함되어 있는 방사성 원소는 X이다.
ㄷ. 현재의 함량으로부터 1억 년 후의
A에 포함된 방사성 원소 함량
은 1이다.
B에 포함된 방사성 원소 함량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024.03.13

해설 56쪽 l ④ ㄱ, ㄴ → ② ㄴ

13 ② ㄴ 240913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