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Topics for Today

4th edition (2011.04.01 개정 4판)


READING FOR TODAY 5

UNIT 1. Society: School and Family


Chapter 2. My Husband, the Outsider 이방인, 내 남편
By Marian Hyun, Newsday

When my husband-to-be and I announced our engagement, people were curious about the kind of wedding
we would have. He is an Irish-Ukrainian from the Bronx, and a lapsed Catholic, while I am an American-born
Korean from New Jersey. Some of my husband's friends must have been expecting an exotic wedding
ceremony.

내 남편이 될 사람과 내가 약혼을 발표했을 때, 사람들은 우리가 어떤 결혼식을 치를까 궁금해했다. 그는 브롱크스
(Bronx, 뉴욕시 북부의 행정구) 출신의 아일랜드계 우크라이나인에 신앙심을 잃은 천주교 신자인 반면, 나는
미국태생인 뉴저지 출신의 한국인이다. 내 남편 친구들 몇 명은 분명 이국적인 결혼식을 기대했었을 것이다.

We disappointed many people. Far from being exotic, or even very religious, our ceremony was performed in
English by a Unitarian minister on a hotel balcony. But when my husband and I decided to have 50 guests
instead of 150, we caused an uproar among relatives and family friends, especially on the Korean side.

우리는 많은 사람들을 실망시켰다. 이국적이거나 아주 종교적인 것이기는커녕, 우리 결혼식은 한 호텔의


발코니에서 유니테리언교 목사님에 의해 영어로 치러졌다. 그런데 내 남편과 내가 150명의 하객 말고 50명만
초대하기로 결정했을 때, 친지들과 가족 친구들, 특히 한국사람들 쪽에서 큰 소란이 있었다.

"It's very embarrassing," my father complained. "Everyone wants to know why you won't listen to me and
invite the people you should."
"Well, whose wedding is this, anyway?" I asked.

“정말 당황스럽구나,” 아버지가 불평을 터뜨렸다. “네가 왜 내 말을 듣지 않고 초대해야 할 손님들을 초대하지 않는


지에 대해 세상 사람들이 다 궁금해 한다.”
“글쎄요, 어쨌든 이게 누구의 결혼인데요?” 나는 반문했다.

What a dumb question. I had forgotten for a moment that I was dealing with Koreans. It was bad enough that
I had decided to marry a non-Korean, but highly insulting that I wasn't giving everyone the chance to snicker
over it in person. I found out after the wedding that my father was asked, "How does it feel to have an
American son-in-law?"

얼마나 바보 같은 질문인가. 나는 잠시 내가 한국인들을 대하고 있다는 것을 깜박했었다. 내가 한국인이 아닌


사람과 결혼하기로 한 것도 충분히 좋지 않았지만, 내가 모두에게 몸소 내 결혼에 대해 킥킥거리게 해 주는 기회를
주지 않은 것은 대단히 모욕적인 일이었다. 나는 결혼식이 끝난 후 아버지에게 “미국인 사위를 가진 것에 기분이
어떤가?”라고 묻는 이가 있었다는 걸 듣게 되었다.

"My son-in-law is a good man," he said. "Better to have a good American son-in-law than a bad Korean one."

“내 사위는 좋은 친구라네,” 그가 말했다. “나쁜 한국인보다는 좋은 미국인 사위를 두는 것이 더 낫지.”

He hadn't always felt that way. For years, he ignored the non-Koreans I was dating―it took him about a year
to remember my husband's name. But when I was a freshman in college, I dated my father's dream of a son-
in-law, David, an American-born Korean from a respected family, who was doing brilliantly at Harvard and had
plans for law school. When the relationship ended, my father preferred not to acknowledge the fact.

아버지가 항상 그런 식으로 생각한 것은 아니었다. 수년 동안, 그는 내가 만나던 한국인이 아닌 사람들을 본체만체


했고 내 남편의 이름을 기억하는데도 1년 정도나 걸렸다. 그런데 대학 신입생이었을 때, 나는 아버지가 꿈꾸던
사윗감이었던 명문 가문 출신의 미국태생 한국인인 데이빗과 사귀게 되었다. 그는 하버드에서도 우수했고
로스쿨에 진학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었다. 우리 사이가 깨졌을 때, 아버지는 다른 사람들에게 그 사실을 알리지
말기를 바랬다.

When it became clear that David would never be his son-in-law, my father started dropping hints at the
dinner table about some handsome and delightful young doctor working for him, who was right off the plane
from Seoul―there seemed to be a steady supply. This started during my senior year in college, and continued
until sometime after my engagement.

데이빗이 절대 사위가 될 수 없다는 것이 분명해지자, 아버지는 자기 밑에서 일하는 잘생기고 마음에 드는 젊은


의사에 대해 저녁식사 자리에서 넌지시 말을 꺼내기 시작했다. 그는 서울에서 갓 미국에 건너온
사람이었고―아버지는 이처럼 계속 새로운 사람을 소개해줄 요량으로 보였다. 이 일은 내가 대학 4학년일 때
시작되어 내 약혼 이후 언젠가 까지 계속되었다.

The one time I did go out with a Korean doctor was at my mother's request. "Please, just once," she said. "One
of my college friends has a son who wants to get married, and she thought of you"
내가 한국인 의사와 데이트를 한번 한 건 어머니의 부탁 때문이었다. “딱, 한번만 만나보렴,” 그녀가 말했다. “내
대학 동창 아들 중에 결혼하고 싶어하는 애가 있는데, 걔 엄마가 너를 생각해두고 있는 것 같더구나.”

"You expect me to go out with a guy who lets his mommy pick his dates?" I asked.

“자기 엄마가 데이트 상대를 정해주는 남자랑 만나라구요?” 나는 물었다.

"He's very traditional," she explained. "If you refuse to meet him, my friend will think I'm too snobby to want
her son in our family. I'll lose face"

“걔가 순진해서 그래,” 그녀는 설명했다. “네가 걔를 만나는 걸 거절하면, 내 동창은 내가 너무 속물이어서 자기
아들을 사위로 우리 집안에 안 들이는 거라고 생각할거야. 그럼 내 체면이 뭐가 되니?”

"OK, just this once," I said reluctantly. A few days later, I sat in an Indian restaurant with the Korean doctor.
After several start-and-stop attempts at conversation, the doctor told me I should live in Korea for a while.

“좋아요, 딱 이번 한번만이에요,” 나는 마지못해 대답했다. 며칠 후, 나는 그 한국인 의사와 인도식 레스토랑에


만났다. 몇 번의 대화가 시작하고 끊기고 난 후, 그 의사는 내가 얼마간 한국에서 살아봐야 한다고 말했다.

"Korea is a great country," he said. "I think you ought to appreciate it more. And you should learn to speak
Korean. I don't understand why you can't speak your native language."

“한국은 대단한 나라에요,” 그는 말했다. “당신도 그것을 더욱 감사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당신은 한국말을
배워야 해요. 저는 당신이 왜 모국어를 말할 수 없는지 이해가 안되네요.”

"English is my native language," I said "I wish I could speak Korean, but I don't have the time to learn it now."

“영어가 제 모국어에요,” 나는 말했다. “저도 한국어를 할 수 있었음 좋겠지만, 그걸 배울 시간이 없네요.”

"You are Korean," he insisted. "You should speak your mother tongue." A mouthful of food kept me from
saying more than "Mmmm," but I found myself stabbing my tandoori chicken with remarkable violence.

“당신은 한국인이에요,” 그는 물러서지 않았다. “당신은 모국어를 할 수 있어야 해요.” 한 입 가득 음식을 먹은 터라


“음….” 말고는 아무 말도 할 수 없었지만, 나는 나도 모르게 눈에 띄게 폭력적으로 탄두리 치킨을 칼로 쿡쿡 찌르고
있었다.
Despite our obvious incompatibility, the doctor kept asking me out. For weeks, I had to turn down invitations
to dinner, movies and concerts―even rides to visit my parents―before he finally stopped calling.

우리의 명백한 불화합에도 불구하고, 그 의사는 계속 나에게 데이트 신청을 했다. 그가 마침내 전화를 안 하기
전까지 몇 주 동안, 나는 저녁식사, 영화, 콘서트 초대, 심지어 부모님을 만나러 갈 때 태워준다는 것까지도
거절해야 했다.

During a visit to Seoul a few years later, I realized that this kind of dogged persistence during Korean
courtship was quite common. In fact, my own father had used it successfully. My mother told me he proposed
to her the day after they were introduced at a dinner given by matchmaking friends. She told him he was
crazy when she turned him down. Undaunted, he hounded her for three months until she finally gave in.

몇 년 후 서울을 방문하면서, 나는 연애기간 동안 한국인의 일종의 이런 집요한 고집이 꽤나 일반적인 것을 깨닫게


되었다. 사실, 내 아버지도 그것을 성공적으로 활용했었다. 어머니가 말하길, 선을 주선해주던 친구들이 마련한
저녁식사 자리에서 소개받은 바로 그 다음날 아버지가 어머니에게 프러포즈를 했다고 한다. 어머니가 거절하자
아버지는 거의 미쳤었다고 말했다. 전혀 굴하지 않고 아버지는 어머니가 결국 마지못해 승낙할 때까지 세 달
동안이나 따라다녔다고 한다.

My parents have now been married for almost 40 years, but what worked for them wasn't about to work for
me. I think one reason my father didn't object to having a non-Korean son-in-law―aside from actually liking
my husband―was that he was relieved to have one at all.

부모님은 거의 40년간을 결혼생활을 이어오셨지만, 두 분에게 통하던 것이 나한테도 통하리라는 법은 없다.


아버지가 내 남편을 실제로 좋아하지 않으면서도 비한국인 사위를 반대하지 않았던 한가지 이유는 어쨌든 사위를
갖게 됐다는 사실에 안심했던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When I was 24, he started asking me, "When are you going to make me a grandfather?"

내가 24살 이었을 때, 아버지는 “언제 나를 할아버지로 만들어 줄 거냐?”라고 묻기 시작했다.

And when I turned 25, the age when unmarried women in Korea are considered old maids, my other relatives
expressed their concern.

그리고 한국에서는 그 나이까지 결혼하지 않는 경우 노처녀로 여겨지는 나이인 25살에 내가 접어들자, 내


친척들은 우려를 나타냈다.
"You better hurry up and meet someone," one of my aunts told me. "Do you have a boyfriend?"

“서둘러 누구든지 만나는 것이 좋을 텐데,” 내 숙모 중 한 분이 내게 말했다. “남자친구는 있니?”

"Yes," I said.... I had met my future husband a few months earlier in an office where I was working as a
temporary secretary.

“네,” 나는 대답했다…. 나는 내가 임시 비서직으로 일하고 있던 사무실에서 몇 달 전 미래의 내 남편을 만났다.

"Is he Korean?" she asked.

“그가 한국 사람이니?” 그녀는 물었다.

"No." My aunt considered this for a moment, then said, "You better hurry up and meet someone. Do you want
me to help?"

“아뇨.” 숙모는 잠깐 생각하더니 말했다. “서둘러 누구든 만나보는 것이 좋겠구나. 내가 도와줄까?”

My husband saved me from spinsterhood. Just barely, in some eyes―I was married at 26. We received
generous gifts, many from people who hadn't been invited to the wedding. This convinced my father more
than ever that we should have invited all of his friends and relatives. He felt this way for several years, until
one of my sisters got engaged and made elaborate plans to feed and entertain 125 wedding guests.

내 남편은 나를 독신에서 구해줬다. 사람들의 관점에서 보면 나는 간신히 26에 결혼했다. 우리는 결혼식에
초대받지 못한 많은 사람들에게 후한 선물들을 받았다. 이 점이 아버지로 하여금 우리가 자기 친구분들과 친척들
모두를 초대했어야 했다고 더욱 확신하게 만들었다. 아버지는 내 여동생 중 하나가 약혼한 후 125명의 결혼식
하객들을 대접하는 정성스런 계획을 세울 때까지 몇 년간이나 이렇게 생각했다.

As the expenses mounted, my father took me aside and asked me to talk to my sister.
"Tell her she should have a small, simple wedding," he said."Like yours."

예식 비용이 점점 올라가자, 아버지는 나를 한쪽으로 부르시더니 나더러 동생에게 말하라고 일렀다. “걔한테 작고
간소한 결혼식을 치러야 한다고 말해 주렴,” 아버지는 말했다. “네가 했던 것처럼 말이야.”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