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강 한국사회의 마이너리티

You might also like

You are on page 1of 30

한국사회의 마이너리티

토론 논제

Q1. 현재 한국 사회는 사회적 소수자 차별에 대한 사회적 감수성이 높아지 고 있다고


평가하는가? 그렇다고 생각한다면 그 이유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Q2. 다양한 사회적 소수자 중에서도 유달리 현재 한국 사회에 논쟁의 대상 이 되는


소수자 유형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Q3. 오늘 수업에서 인상 깊었던 점/생각해보고 싶은 점을 동료들과 이야기 나눠본다.


사회적 소수자(Social Minority)
사회적 상처에 관하여
Social Minorities
연령 학력
아동 저학력 , 재수생
지역 비명문대출신
청소년 성 지방출신 호
노인 LGBT 남 , 비수도권 비
여성 서울 , 비강남권
남성
민족
외국인근로자
결혼이주여성
신체 종교
소수종교 이
가족관계
장애인 싱글 무
정신질환자 단 , 무신론자
자녀 부부
단신 이혼가족
고도비만 국적
조선족 이주자
탈북자

직업
무직자 , 비정규직 생활문화 경제상황
생산직 , 하급직 빈곤층
일용직 , 자영업 아웃사이더 무주택자
누가 마이너리티(minority)인가?

▪ Numerical, Statistical Definition


▪ 인구학적 소수자 ( 少數者 ) “ 적음 ”

▪ Cultural Definition
▪ 문화적 전통을 달리하는 소수집단 “ 다름 ”

▪ Social Definition
▪ ( 인구비와 무관한 ) 사회적 약자 / 소외자 “ 약함 ”

▪ ‘Mixed’ Definition
▪ 주류 (Mainstream) 에 속하지 못하는 주변부 소수자
사회적 소수자(social minority)

▪ 사회적 소수자
• 신체적 또는 문화적 특성 때문에 자기가 사는 사회의 다른 구성원으로부터
구분되어 불평등한 대우를 받는 사람들

• 우월한 사회적 지위와 상대적으로 강한 권력을 갖은 지배 집단이 대칭적으로 존재

• 지배 집단에 대비한 피지배 집단


• 인종, 성적 지향, 종교, 장애, 국적 등과 같은 특성으로 인해 사회에서 소외되거나
차별 받는 집단

▪ 소수자의 개념은 반드시 수적 소수를 의미하는 것인가 ?

• 반드시 수적 소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


•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이 대표적인 예.
(인구학적)소수에 의한 다수의 차별

▪ 아파르트헤이트(Apartheid)

•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백인정권의
유색인종차별정책
• 1948년 법률로 공식화(1980년대까지
지속됨)

• 1:9의 사회
- 소수의 백인이 다수의 흑인을 차별하며
살아가던 사회

“차별이 아닌 분리에 의한 발전”


이라는 명분 하에 지속된 인종
차별정책
아파르트헤이트(Apartheid)
▪ 아파르트헤이트(Apartheid)
1990년10월 폐지

- 인구등록법은 3천7백만명의 남아공


국민을 백인·흑인·혼혈·인도계의 네
가지 범주로 나누어 모든 생활을 규
제해 옴.

-또 집단지역법은 흑인과 백인의


주거지역을 분리,흑인들에게는
도시의 외곽지역만을 거주지로
제한해온 법률.

- 인구의 13%에 불과한 5백만명의


백인이 남아공 토지의 83%를 소유.
-2천8백만명의 흑인은 단지 13%만을
갖도록 제한한 법률.
마이너리티 접근의 변천

▪ 1910-30 년대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실용주의 전통


▪ 소수민족을 접촉 (contact)- 수용 (accommodation)- 동화 (assimilation)
과정을 통해 주류사회로 병합해야 한다는 Melting Pot Thrust

▪ 그러나 근래 ‘ 멜팅 팟 ’ 대신 다원주의적 접근의 필요성 대두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

▪ 다문화주의 (multiculturalism)
: 다양한 문화를 단일 문화로 동화시키지 않고 인정하고 존중하면서
공존하고자 하는 것
▪ 동질성 아닌 이질성 , 보편성 아닌 다양성 , 일원성 아닌 다원성을 인정하
며 조화로운 공동체를 추구 – “ 인정의 정치 the politics of recognition”

▪ 관용과 연대의 정신이 중요시됨


▪ 다른 가치관과 문화를 지닌 개인과 집단에 대한 ‘ 관용 ’
▪ 서로 다른 타인과 함께 참여하는 ‘ 연대 ’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

▪ 기회구조의 개선을 통해 부당한 사회적 차별이나 배제를 극복


하고자 하는 제도적 혁신의 원리 및 실천 전략의 발굴
▪ 사회적 편견이나 다수자주의 (Majoritarianism) 극복을 위한
인본주의적 기획

▪ 마이너리티의 존재가치나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인정 (Recognition)

▪ 다수 - 소수 간 우열논리의 해체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

▪ From Biological/Demographic to Cultural/Social


▪ 다음과 같은 ‘Race’ 에 대한 최근 정의에서도 부분적으로 표출
- “Race is not a biological reality. It can be any categor y of people
who are defined and treated as a race.”

▪ From Being to Becoming


▪ “ 누가 마이너리티인가 ?” 라는 현상적 담론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마이너리티가 되는가 ?” 라는 과정적 담론으로 관심 이동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

▪ From Negative to Positive Turn

▪ Negative: 한 사회의 균열과 갈등의 핵심에 마이너리티의 문제가 내재 .


그들에 대한 차별과 배제 , 억압과 무시가 불신이나 분노의 불씨가 되어
사회체계의 해체가 초래

▪ Positive: 삶을 풍요롭게 할 수 있는 문화 자원의 주체 . 따라서 집단 간


차이를 배척하는 대신 개방적 ・ 포용적 자세를 통해 삶의 다양성을 증진
시키는 것이 바람직
한국 다문화 사회

⚫ 2021, 국민 다문화수용성 지수 약 52%(여성가족부)

⚫ 생각해봅시다!
• 다문화 집단에 대해 배타적 태도를 갖는 이유
• 다문화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한가?
• 다문화 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는 무엇이 있을까?
한국 다문화 사회

▪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주민수 약 223만명 / 국내 총인구의 4.5%

▪ 민족성
• 일제 시대 한민족을 강조하는 민족교육
• 국민교육, 국가가 개인보다 우위
• 그러나 현대에 민족과 국민, 영토가 일치하지 않는 상태 발생
다문화 사회의 흐름

▪ 1980년대부터 시작된 세계화, 신자유주의 확산→ 국민국가 국경


와해, 전 세계 인구이동 증가
▪ 한국 사회의 이주자 유입 증가/불법 체류자 외국인 급증
• 1986년 아시안 게임, 1988년 올림픽

▪ 2004년 [외국인 고용허가제] 도입


▪ 2005년 [외국인정책위원회] 구성
국익 우선, 통제 중심 -> 국익과 인권보장의 균형
▪ 2008년 [다문화 가족 지원법]: 외국인과 한국인이 결혼한 가정을
다문화 가족으로 규정
• 국제결혼에 의한 다문화 담론 형성
다양성과의 갈등: 마이너리티 이슈

1. ‘전체적 낙인범주’ (Ubiquitous Labeling Category)

2. 마이너리티의 규정 및 인정과 관련하여 첨예한 갈등 양상 발발

• 다양성과 인종, 문화적 차이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이전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아이덴티티와 소속감을 중요하게 생각. 더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속한 그룹이나 집단의 규정과 인정 요구

• 이러한 요구에 대한 반대 증가. 문화적 일치감과 통일성을 중요시하


는 사람들
다문화 사회의 대응

▪ 한국 사회의 反 다문화 정서
Ex) 이주여성에 대한 보육비 지원
▪ 사회성원권은 주민 개념에 기초해야 한다는 주장
• 국민교육의 대상이 민족에 한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
▪ 세계 시민으로서의 정체성
▪ 지구촌 시민의식 교육
코리안 디아스포라
디아스포라(diaspora)

▪ 디아스포라
• A.D.70년 예루살렘 성이 로마군에 함락되고, 전 세계로 흩어진 유대인들의 역사를
‘디아스포라’라고 부름. 즉, 민족 분산, 이산, 혹은 유대인들의 분산을 지칭하는 것에
단어의 기원을 찾을 수 있음.
• 현대에는 좀 더 폭넓은 의미에서 쓰임. 고향을 떠나 흩어져 살아가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로 쓰임. 식민 지배와 민족 분단이라는 외적 힘에 의해 이산 당한 사
람을 포함

• 디아스포라 정체성

참고자료: 윤인진, 2004, [ 코리안 디아스포라]


코리안 디아스포라 (Korean diaspora)

▪ 1860년-1919년

▪ 1919-1945년

▪ 1945-1962년
▪ 1962-현재

※참고자료: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2004)


코리안 디아스포라, 1세대 멕시코 한인들
코리안 디아스포라 (Korean diaspora)

▪ 1860년-1919년 코리안 디아스포라

“1,033명의 조선인들은 외교관은 커녕 교민 하나 없는


멕시코를 향해 출발했다. 1905년 4월 4일의 일이다”(
pg38)

“극심한 노동자 부족으로 곤란을 겪고 있던 유카탄 반도


의 에네켄 농장주들은, 스페인어를 못해 도주의 우려도
없고 외교관이 주재하지 않아 간섭의 여지도 없는 조선
인들에게 비교적 후한 값을 쳐 주 ♘ 다 ” (pg111)
1860년-1919년 코리안 디아스포라

"쿠바에서는 사탕수수를 자르는


노동자들도 와이셔츠에 넥타이를
매고 일한다. 물 대신 우유를 마시
고 원하는 대로 맥주를 마신다는 에
덴동산과 같다"

“우리가 이곳에 온 것은 돈을 벌기 위함이지 매를 맞기 위함이 아니다. 우


리가 여기에 온 것은 배가 고파서이지 미친 농장주의 개가 되자고 온 것은
아니다”(pg212)
코리안 디아스포라 (Korean diaspora)

→ 1905년 멕시코에 이주한 한인 애니깽

"이곳에 이민온 동포들은 낮이면


뜨거운 가시밭에서 채찍을 맞
아가며 일하고,
밤이면 토굴에 들어가 밤을
지새며 매일 품값으로 35전씩
받으니,
의복은 생각할 여지도 없고 겨우
죽이나 끓여서 연명할 뿐으로..
그 처지가 농장의 개만도 못하
다고 합니다"

※ 1905.11.17.북미한인공립협회에 보낸 편지에서, 동아일보 1998.3.10 <고국을 떠났던 선조들>


재인용
코리안 디아스포라, 1세대 멕시코 한인들

"멕시코 원주민인 마야족의 노예 등급은 5∼6등급, 한


인 노예는 7등급으로 가장 낮은 값이다. 조각난 떨어
진 옷을 걸치고 다 떨어진 짚신을 신♘다. 아이를 팔
에 안고 등에 업고 길가를 배회하는 한국 여인들의
처량한 모습은 가축같이 보이는데 눈물 없이는 볼 수
없는 실정이다. 농장에서 일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
무릎을 꿇리고 구타해서 살가죽이 벗겨지고 피가 낭
자한 농노들의 그 비참한 모습을 차마 눈뜨고 볼 수
없도다. 통탄, 통탄이라.“

황성신문 1905.7.29
코리안 디아스포라 (Korean diaspora)

▪ 1860년-1919년
이 시기에는 주로 농민이나 노동자들의 어려운 현실을 떠나 생존을 위한 이주 시기.
1902~1903년에 있 던 미국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으로의 이주도 이 시기에 속함

▪ 1919-1945년
1910년부터 한국이 일본 식민통치로부터 독립한 1945년까지. 이때에는 일제의
억압을 피해 만주와 일본으로 피한 노동자들뿐 아니라 정치적 난민들과 독
립운동가들이 외국으로 이주하기도 함. 특별히 일본이 식민 통치 기간 만주
지역 개발이나, 광산, 전쟁터로 끌려가는 일로 한인들의 대규모 집단 이주가 있
♘ 던 시기

※참고자료: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2004)


코리안 디아스포라 (Korean diaspora)

▪ 1945-1962년
1945년부터 남한 정부가 이민 정책을 처음으로 수립한 1962년까지. 이 시기에는
한국전쟁을 전후하여 전쟁고아, 미군과 결혼한 여성, 혼혈아, 입양, 유학 등의 이
유로 미국과 캐나다 등으로 떠남.

▪ 1962-현재
정착을 목적으로 한 이민이 시작. 초기에는 국내의 과잉 인구분산과 외화를 버는
것에 목적이지만, 이 시기부터 고등교육을 받은 많은 한인이 새로운 신분상승의 기
회를 찾아 떠나기도 함.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정점으로 이민이 감소하였다가 1
997년 IMF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다시 증가하기 시작함

※참고자료: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2004)


The end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