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③ 공간 불평등

단원명 Ⅵ. 사회 정의와 불평등 04. 다양한 불평등 현상


• 의미: 지역을 기준으로 사회적 자원이 불균등하게 분배되는 것 (지역 간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차이)
학습목표 • 다양한 불평등 현상을 파악하고 그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 대표적 원인: 성장 거점 개발 추진
↳ 성장 잠재력이 큰 지역을 선정하여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이에 따른 성장 이익을 다른 지역으로 파급하여 효과를 확산하는 개발
(1) 의미
( ↔ 균형 개발: 정체 지역이나 낙후 지역에 우선 투자하여 지역의 개발을 통한 이익을 지역에 고
: 사회적 희소가치(부, 권력, 지위 등)의 불평등한 분배로 개인, 집단 및 지역이 서열화되어 있는 현상
루 나누고, 이를 통해 지역 간 발전 격차를 줄이려는 개발)

(2) 다양한 사회 불평등 현상


성장 거점 개발 균형 개발
① 사회 계층의 양극화
추진방식 위로부터의 개발 = ( ) 개발 밑으로부터의 개발 = ( ) 개발
↳ 사회 구성원들이 차지하고 있는 사회적 지위의 층 (상·중·하류층 등으로 나누어지며, 특유한 생활 태도나 의식, 관습 등 공유)
기술과 자본이 있고, 주민의 참여가 활발한
• 의미: 중간 계층이 점점 감소하면서 구성원들이 상층과 하층의 양 극단으로 쏠리는 현상 채택국가 자본이 부족한 ( )
( )
• 대표적 원인: 재산과 소득의 차이에 따른 경제적 격차
개발방법 투자효과가 큰 지역 집중투자 낙후지역 우선적 투자
• 문제점 -경제적 격차가 정치적·사회적 불평등 같은 다양한 격차(교육 격차, 문화 격차 등)로 이어짐
개발목표 경제적 ( ) 추구 지역 간 균형 발전, ( ) 추구
-부모의 계층이 자녀에게 대물림됨
-개인의 능력과 업적에 따른 계층 이동을 막아 폐쇄적인 사회 구조 형성 장점 자원의 효율적 투자(단기간에 큰 효과) 지역 격차 해소, 지역 주민 참여

단점 파급효과보다 역류효과가 클 경우 지역 격차 심화 낮은 파급효과, 지역이기주의 초래


탐구해보자 소득 격차로 본 사회 계층의 양극화

Q1. 다음 그래프처럼 소득 격차 배율1)이


높은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파급효과: 지역 개발 방식 가운데 성장 거점 개발 방식에서 중심지의 성장 효과가 주변 지역의 자원 생산과
사회 계층의 양극화 기술 발달을 촉진하여 주변 지역의 산업을 발전시키는 효과
*역류효과: 성장 거점 개발 방식으로 지역 개발을 했을 때, 성장 거점으로 자본과 인구가 집중함에 따라
Q2. 이러한 현상이 지속할 때 나타날 문제는? 주변 지역의 발전이 저해되고 이로써 지역 격차가 벌어지게 되는 현상
사회발전의 동력이 줄어들고, 계층 간의 위화
감이 조성됨. 사회 갈등이 심화되고 통합
• 문제점 -경제적 차원뿐만 아니라 생활 환경의 전반적인 불평등을 낳아 사회 통합을 저해함.
과 발전이 어려워짐.
-장기적으로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과 안정적인 국가 발전에 악영향을 끼침.

② 사회적 약자에 대한 차별
탐구해보자 왜 공간 불평등이 일어날까?
• 의미: 사회적 약자가 정치적·사회적·경제적으로 불평등한 대우를 받는 현상
• 대표적 원인: 성별, 장애, 출신 지역 등에 대한 선입견 및 편견, 차별을 용인하는 사회적 환경
• 문제점 -구성원의 기본적 권리(자유권, 평등권, 행복추구권 등)를 침해함
-개인이 능력을 발휘하고 업적을 쌓으려는 성취동기를 약화시킴
탐구해보자 유리 천장

유리 천장이란 여성과 소수자가 자격과 능력을 갖추어도 조직의 상층부


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가로막는, 보이지 않으면서 깨뜨릴 수도 없는 머리
위의 장벽을 의미한다.

유리 천장 지수가 낮을수록 소수자나 여성의 사회 참여 활동이 적고, 조


직 내 승진이 어렵다. 우리나라는 100점 만점에 25점을 받아 최하위인 29 Q. 수도권과 비수도권, 도시와 농촌 간의 격차가 벌어지는 이유는?
위를 기록했으며, 2013년 이래 연속으로 꼴찌를 면하지 못하고 있다. 성장 위주의 개발 정책으로 수도권이나 도시에 인구가 많이 유입되고 투자가 집중되었기 때문이다.

Q. 유리 천장과 같은 불평등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성별이나 인종과 같이 당연한 차이를 이유로 다르게 대우하고 서열화하는 차별로 인해 나타남

1) 상위 20%의 평균소득을 하위 20%의 평균 소득으로 나눈 값

- 1 - - 2 -
<관련기출문제>

1. 2020학년도 11월 모의고사

2. 2021학년도 11월 모의고사

- 3 -

You might also like